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수행, 이동성 및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령 운전자들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운전능력 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다양한 운전 상황을 도식적으로 제시한 후 각 상황에서의 운전능력을 주관적으로 평정하게 하였고. 객관적 수행은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객관적 수행과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주관적 평가와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 긍정 정서와는 정적 인 반면, 부정 정서와는 부적인 상관이 관찰되었다. 둘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주관적 평가가 높을수록 이동성 수준이 높았고, 이러한 높은 이동성은 다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반면,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 운전자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객관적 운전수행보다는 운전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더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300원
        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가상-현실 융합의 VnR(Virtual and Real worlds)은 가상 환경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실재감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 세계의 실감화 평가는 다수의 독립적 요인으로 구성된 주관평가에 근거하여 평가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가상 실감화를 측정하는 문항 및 요인 규명에 대하여 논리적 근거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측정 방법에 대한 타당성 검증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일부 연구는 가상 환경에 의한 실재감을 시각적 요소 측면에서 진행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실감화의 구성요소인 실재감의 시각적 요소를 중점으로, 더욱 합리적이고 타당하게 주관적 가상 실감화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상 실감화를 연구한 문헌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21개의 문항을 수집하였다. 2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극사실주의 인물 이미지를 제시하여 상기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5점 척도로 보고하게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요인 적재량 값이 적은 문항은 제거하였으며, 도출된 요인 모형이 적합한지에 대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가상 실감화의 실재감을 측정하기 위한 주요 세 가지 요인이 결정되었다. 이는 시각적 실재감(3 문항), 시각적 몰입감(7 문항), 시각적 상호작용(4 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또한 실재감의 시각적 요소를 기반으로 3차원 가상 안구 모델을 표현함에 따라 제안하는 가상 실감화 측정 결과에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논리적 근거를 통하여 수집된 문항에 대해서 합리적이고 타당하게 가상 실감화의 실재감(시각적 요소)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측정 방법의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합리적으로 실감화 정도를 평가함을 검증 하였다.
        4,000원
        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불안과 우울 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Beck의 우울척도, 상태-특성불안척도)의 지표 값과 심박 변이도의 파라미터 간의 상호-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설문평가지의 지표 값을 대신 할 수 있는 심박 변이도 파라미터를 선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심박 변이도 측정 시, 휴식 및 업무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였고 각 유도된 상태에서의 심박 변이도를 이용하여 추출된 생리학적 특징값들과 주관적 설문 평가지의 지표 값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감성지표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화된 정량적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실은 심박 변이도의 비 정규화 파라미터가 상태불안척도와 우울척도보다 특성불안척도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는 점이다. 반면, 업무 상태와 휴식 상태의 비율인 정규화 파라미터 m_RRI(MeanRR interval), SDNN(Standard deviation of all NN intervals), LF(Low-Frequency), LF/HF(LF/HF ratio)는 특성불안척도, 우울척도보다 상태불안척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중, LF/HF는 상태불안뿐만 아니라, 특성불안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인 생리학적 파라미터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ilway nois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environment impact. Whenever a new railway line is planned or a housing project near an existing railway is proposed, an estimate of the relevant noise levels is usually requir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ose parameters that affect the railway noise.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noise level which subway trains generated passing through the block of test railway track between Hopo and Keumgok station in Busan. This paper show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train noise and a subjective evaluation.
        4,000원
        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음향증폭시스템 중에서 청취자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스피커 시스템의 배치방식과 스피커 특성변화에 따른 청취자들의 주관적 반응을 명료도와 음향선호도 측면에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공간의 음향증폭시스템의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실의 흡음률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천장의 흡음률이 높을수록 지각된 명료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커가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적용된 스피커의 개수가 많고 지향각이 좁은 스피커들이 사용된 경우의 명료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스피커가 천장 흡음면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60도 이하의 좁은 지향각을 갖는 스피커를 사용할 때 높은 명료도를 얻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검토범위에서는 8~10개 정도의 스피커가 적용되었을 때 주관적인 명료도 및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4,000원
        1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rections of the road are divided into two, the right-hand side and left-hand side of the road, by the convention and specific native method in the world.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drivers who are accustomed to drivin
        4,000원
        1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moral feeling,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consume organic beef. A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dult in Jeonnam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an excellent model-data fit. The covariance effects of belief and subjective norm, and belief and moral feel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belief and moral feeling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consume.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and intention to consume. Finally,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for the interrelation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and moral feeling towards organic food,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organic food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by future research. Other constructs, such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consumption, may be incorporated to form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1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감성 의류로 사용되는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 40종의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시료는 1차시료 14개와 2차 시료 26개로 나누어지며 국내와 국외 시료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물성분석은 Blind field test를 이용하여 전문위원단에 의해 주관적인 물성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Blind field test는 촉감(부드러움, 탄력감), 색상(선명도, 심색미), 외관(깨끗함, 자연광택), 비교 선호도 등으로 4개군으로 test는 총 7개의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전문평가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4,000원
        1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소모직물의 품질향상을 위해 국외 유명 브랜드 소모직물의 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소모직물을 시생산하여 국외 소모직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의류소재의 객관적인 평가방법인 KES-FB system과 국내 복지 전문가 등에 의해 평가된 주관적인 평가방법인 Blind field test 방법으로 소모직물의 물성을 평가하여 두 측정 방법 간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태리와 영국 그리고 국내에서 생산된 7개 품종의 14개 소모직물 시료를 사용하였다.
        4,000원
        1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을 바를 때 피부와 손가락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계수는 화장품의 주관적 평가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in-vivo상태에서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는 접촉자의 모양이나 거칠기의 정도 그리고 누르는 하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리니어 모터와 다축 로드셀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접촉자를 in-vivo상태에서 직접 피부에 접촉시키고 실시간으로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화장품을 바를 때의 전후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화장품을 바를 때 주관적인 평가에서 이용되는 형용사를 조사하며 마찰계수와의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와 접촉자 간의 마찰계수는 화장품의 종류와 접촉자의 성질에 따라 0.17-1.2사이에서 나타나며, 주관적인 평가 또한 화장품을 바른 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변하며, 그것은 마찰계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유연제 선택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향을 가진 섬유유연제 12종을 선정하여 일차적으로 선호도를 3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각 단계별로 빈도가 가장 많은 향을 2종씩 골라서 최종 6종의 향(후리지아, 블루비앙카, 바이올렛, 허브, 그린티, 피치)이 함유된 섬유유연제를 선정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주관적 선호도에서 가장 선호된 향과 가장 선호하지 않은 향 두 종류에 대해서 감성을 평가시켰다. 그 결과 가장 선호하는 섬유유연제 향은 후리지아 향이었고 피치 향은 가장 선호하지 않는 향이었는데, 선호하는 향의 순서와 선호도는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후리지아 향과 피치 향의 감성구조는 다르게 평가되었다.
        4,000원
        1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face fibers on the fabric is one of decisive factors which affects human sensory evaluation as well as heat and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length and distribution of surface fibers that are extruded from the fabric surface of the wool/wool blend fabrics (14 wool fabrics and 10 wool blend fabrics) and its contribution to subjective sensory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quantify the length and distribution of surface fibers, image analysis and wavelet transform technique were introduced. Instant warm-cool feeling of touch, Qmax/, and contact area were also measured and related to the quantified surface fiber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sensory evaluation, human sensory responses to three adjectives which represent surface characteristics and warm-cool feeling of touch were obtain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fied surface fibers assessed by wavelet energy and both warm-cool reeling of touch, Qmax, and human sensory response were discussed.
        4,000원
        1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역의 물이용 취약성을 평가하는 지표 기반 접근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강유역의 단위유역에 적용하였다. 평가 지표는 기후뿐만 아니 라 사회 · 경제 ·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16개를 선정하였으며, 취약성 정의에 따라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다기준 의사 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중 TOPSIS (Technique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적용 하여 유역에 대한 취약성을 도출하였다. 지표 자료는 2010년을 기준으로 수집하였으며, 국가 통계 자료 및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모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각 지표에 대한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산정된 주관적 가중치(Subjective weight)와 자 료 기반 엔트로피(Entropy) 개념을 활용하여 산정된 객관적 가중치(Objective weight)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수도를 포함하고 있는 한강 유역 에 대하여 표준단위유역별 취약성을 평가하고 우선순위 비교 및 순위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한 유역들은 대부분 용수사용량이 많고 상수도 누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중치 적용 방법에 따른 취약성은 일부 지역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북한강유역의 취약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 구 결과를 통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물이용 취약성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중치 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i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defmed the rural landscape using survey and developed the estimating equation for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Second, this study set up assessment units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n estimated mean of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in accordance with them through residents-participatory evaluation. Third, this study calculated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and evaluated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fields through mapp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satisfaction level for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village (urban area and residential area) was very high; 2) satisfaction level was very high in both Ye-Jeon reservoir and Hakwon farm,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of the study area.
        20.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sessment of the safety of ship's transit in the narrow channel consist of the maneuvering safety determined by the chance of running aground, the maneuvering difficulty determined by ship's workload and master's subjective evaluation.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st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maneuvering safety, this utilizes a real-time and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 in the Korea Marine Training & Research Institutes(KMTRI). The vessel chosen was 60,000-ton, Panamax-type ship. The findings regarding master's subjective evaluation were as follows: -Relation between mast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common logarithms of stranding probability is linear. -Stranding probability with more than 0.001 is master's subjective evaluation with more than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