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목적은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라이프스타일 및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06부의 설문지 배포 후 회수하였고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12부를 제외 총 294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노인의 재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재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3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D 가상현실은 이미 여러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리트운동 선수들의 훈련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주로 심상훈련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심상훈련의 가능성, 유용성, 적합성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이 더 이상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훈련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체육 등에 활발히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3D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의 장점은 안정성이 높으며 외부환경에 대한 제한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할 때 이는 노인체육에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심상훈련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가상현실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며 어떤 결과를 도출하였는지 면밀히 고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가상현실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후속 연구 과제를 위해 3D 가상현실 심상훈련의 간학문적 접근, 노인의 특성 및 지원요구를 고려한 지원, 습득된 기술의 일반화 및 유지 방안을 고려한 접근 필요성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5,4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사회적지원이 건강증진행위 및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총 305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21부를 제외하고 최종 284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는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 and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on after-school programs related with entering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performed in high schools, where after-school programs are not vitalized when compared with vitalized pr
        7,800원
        7.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uiding information in order to invigorate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make middle school students aware of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adolescence and induce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
        5,800원
        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arching effective operation plan of after-school program for enter the universiti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APEURPE) and efficient guidanc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understanding positive effect of school phy
        6,700원
        9.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basic data for enrichment and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of the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in After School by doing research and making an analysi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5,200원
        10.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undamental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a supplementary workout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fifth year elementary students influences their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
        4,300원
        14.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54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2주간의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여 남녀학생 각각의 집단을 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기술 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있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남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어떠한 하위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여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많은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천정 효과와 바닥 효과 그리고 운동 효과에 대한 정보적 피드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15.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2단계의 과정을 거쳤으며, 체육프로그램의 기본 모델은 학업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습내용’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참가 대상자는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중학생(n=76)으로 12주 동안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연구 방법을 혼합한 실험설계(parallel mixed method design)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학습 태도, 학습동기, 수업평가의 일부 요인들에서 심리적 변화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평가할 수는 없었다. 질적자료의 분석결과, 실험참가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재미와 흥미 요소를 경험하였다고 진술하였으며, 기존수업과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자기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수업을 구성하고, 적절한 교수전략 개발 및 게임상황에서 배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6.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육교육 상황에서 성취목표 이론은 숙련지향적 분위기가 수업에 대한 동기와 성취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예상한다.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집단, 평가, 시간)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분위기를 조성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숙련 및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육수업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성취목표 이론과 실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40명의 중학교 남녀 학생들은 15차에 걸쳐 숙련(n=72)과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n=68)으로 구성된 체육수업(농구)에 각각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목표성향, 수업분위기, 내적동기, 농구수행은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일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해 주고 있다. 수행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숙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집단의 학생들이 더욱 유의한 숙련분위기 수준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내적동기(흥미, 유능감)와 농구수행 역시 증가되었다.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접을 시행한 결과 숙련 프로그램 집단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체육수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이 체육교육의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17.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동기요인과 교수행동 및 학생 학습행동 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10주간의 교생실습에 참가 한 17명의 예비교사를 목적표집법에 의해 선발하였으며, 각각의 교생 및 학생의 교수-학습행동은 단일피험자 설계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행동관찰분석법을 통해서 관찰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잠재적 교수행동의 동기점수(MPS)는 교사의 신체적 지도 및 학생과의 비언어적 긍정적 상호작용이라는 교수행동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잠재적 동기점수는 학생의 적절한 수업과제 참여 및 지속빈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인지적 변인과 행동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교수행동의 관찰, 평가 및 교육이라는 측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인지적 변인과 교수-학습행동의 다양한 측면 및 연계성에 관한, 새로운 연구과제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