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세 가지 컴퓨터 마우스 작업 시 보조기 유형(미착용, 손목보조기, 팔꿉보조기)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는 20∼40대 사무직 근로자 36명을 대상으로 보조기 유형(미착용, 손목보조기, 팔꿉보 조기)에 따라 세 가지 컴퓨터 마우스 작업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마우스 작업은 과제 1(8개의 칸에 마우 스 왼쪽 버튼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클릭하기), 과제 2(검지를 이용하여 6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마우스 휠을 돌려서 가장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되돌아 오기), 과제 3(모니터 바탕화면에 깔린 아이콘 별로 폴더에 드래그하여 옮기기 로 구성하였다. 과제 수행 중 대상자의 근활성도는 표면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등세모근, 손가락굽힘근, 긴노쪽손목폄 근, 자쪽손목폄근을 측정하였고, 결과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과제 1에서 손목보조기 착용 시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팔꿉보조기 착용 시에는 긴노 쪽손목폄근 및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2에서는 손목보조기 착용 시 및 팔꿉보조기 착용 시 모두 긴노쪽손목폄근과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3에서는 미착용, 손목보조기 착용, 팔 꿉보조기 착용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근활성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과제 유형에 따라 손목보조기 또는 팔꿉보조기의 착용 효과가 근육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부 과제에서 보조기 착용이 긴노쪽손목폄근 또는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ployees used computer significantly(IT employee) is increas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workplac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magnitude of IT employees and the profile of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ill health experiences in South Korea.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was used with descriptive and mean difference test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 working conditions and ill health statu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the degree of using computer during work. Some of working condition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nsity of computer use such as work autonomy, the exposure of repetitive movement of hand and arms. The pain of upper extreme was also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highest user group of computer than lower user groups. Based o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computer using on the experience of work-related symptoms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was shown as U shape. This study as heuristic one suggest that some of depth analysis with hypothesis will be done to identify the causes and pathway of impact of computer use.
        4,200원
        4.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완전척수손상자(C5∼C6) 3명을 대상으로 목과 상지의 근활성도, 근골격계의 피로인지도, 그리고 보조도구로 인한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3명의 척수손상자는 손바닥 지지용 키보드 포인터를 착용한 채 두 가지 작업대(일반책상,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에서 5분간 초 당 1타 정도의 속도로 문서 입력 작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동안 목세움근, 위 등세모근, 중간 등세모근, 그리고 손목 폄근군의 근활성도(%RVC)를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의 불편함은 Borg RP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OPM은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작업수행 증진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사용하였다. 결과 :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사용한 결과 목, 어깨, 그리고 손목폄근군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피로인지척도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COPM의 작업수행도와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결론 : 일반책상과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비교한 결과, 척수손상자의 키보드 입력 작업시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가 유용 하였다. 이러한 과제 조정은 척수손상자의 상지 통증과 누적외상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기능수준의 척수손상자를 위한 인간공학 도구의 개발과 객관적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4,200원
        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위흉수손상군, 하위흉수손상군, 정상군을 대상으로 체간과 상지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여덟 가지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흉수손상자에게 적절한 키보드의 위치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미국 척수 손상 협회(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ASIA) A 또는 B의 흉수손상자 중 상위흉수손상자(T2-T8) 9명, 하위흉수손상자(T9-T12) 11명, 그리고 정상인 9명이었다. 적절한 키보드의 위치를 알아 보고자 두 가지 위치 즉, 팔꿈치 굽힘 100°위치와 팔꿈치 굽힘 70°위치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2분간 메트로놈의 박자에 맞춰 키보드 중간열의 키를 1초에 4타의 속도로 타이핑하였으며 이때 표면근전도기를 이용하여 목과 어깨의 목세움근, 위등세모근, 앞어깨세모근, 뒤세모근, 중간등세모근과 손목폄근군, 그리고 척수손상자의 체간유지 보조근육인 넓은 등근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RVC)를 측정하였다. 결과 : 상·하위흉수손상군의 측정치는 정상인과 동일하게 팔꿈치 굽힘 100°의 자세에 비해 팔꿈치 굽힘 70°인 위치에서 위등세모근, 손목폄근군, 앞어깨세모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하위흉수손상군의 경우 정상인과 다르게 팔꿈치 굽힘 100°높이에서 목세움근과 넓은등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흉수손상자의 체간과 상지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키보드 위치는 팔꿈치 굽힘 70°정도의 높이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척수손상자를 대상으로 장시간의 포괄적 컴퓨터 작업을 적용하여 장애특성에 적합한 VDT 환경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has been associated with long hours of computer work and prolonged periods of static posture. In clinical settings, postural correction is a common treatment approach for individuals with neck, shoulder, and back pa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al Device during computer work. Twelve healthy adults (mean age, 27.4 yrs; mean height, 165.0cm mean weight, 65.8 k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had no medical history of neurological or surgical problems with their upper extremit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Head Forward Posture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nd the measured angles were analyzed using a 3-D motion analysis system. Markers were placed on the C7 spinous process, tragus of the ear and forward head angle was between the line from the tragus to the C7 line and the Y-axis at the C7.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without" and "with" correctional device was tested by paired t-test. A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05. In comparison of the computer work between "without" and "with" correctional device, Forward Head Angl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conclusion, the range of Forward Head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computer work with the correctional devi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otor control problems in deep muscles in patients with neck, shoulder, and back pain.
        4,000원
        7.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컴퓨터 사용시 발생하는 통증 유무 및 그 부위에 대해 알아보고, 컴퓨터 작업 자세 및 환경과 통증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모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컴퓨터 사용 실태에 관한 항목(종류: 데스크 탑, 노트북, 이용 목적, 이용 장소, 이용 시간, 휴식 시간, 통증 정도, 통증 부위 등),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책상, 의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을 포함한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은 Ergonomics Working Group에서 개발한 Creating the ideal computer workstation: A step by step guide의 작업대 평가 부분을 번역, 수정한 것으로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을 유발시키는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거된 설문지는 총 414부였고, 결과분석은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21부의 설문지 결과를 SP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결과 :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통증을 느끼는 학생이 전체의 80.4%였고, 어깨/목(38.4%), 허리(28.5%), 손/손목(25.9%)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통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은 모니터, 의자, 키보드였고, 통증유무에 대한 컴퓨터 작업자세 및 환경평가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증이 있는 경우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5).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컴퓨터 작업대 환경이 좋지 않을수록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컴퓨터를 빈번하게 다루는 학생 또는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근골격계 예방을 위한 적절한 자세에 대한 교육 및 컴퓨터 사용 환경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8.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e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tandard and fixed-split keyboards on wrist posture and movements during word processing. The second was to select optimal computer input devices in order to prevent cummulative trauma disorder in the wrist region.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ed of thirteen healthy men and women who all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Kinematic data was measured from both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nd wrist radial and ulnar deviation during a 20 minute period of word processing work. The measuring tool was an electrical goniometer, and was produced by Biometrics Coop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t resting starting 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2. In the initial 10 minutes, the dynamic angle of wrist flexion and exten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dynamic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lit keyboard is more optimal than the standard keyboard, because it prevented excessive ulnar deviation during word processing.
        4,000원
        9.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머리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근전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상지에 근골계질환이 없는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근전도(MP100WS)를 이용하여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10분 동안 머리를 중립자세로 모니터를 보고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문서걸이(copy holder)를 보기 위해 머리를 회전하고 컴퓨터 작업을 하는 두 가지 조건을 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머리를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