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닭 진드기 구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살비제인 와구잡이 II® (WGJB, 편백정유 : 계피정유 = 20 : 56)에 대하여 토끼와 기니픽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일차피부자극시험에서 토끼의 피부에 WGJB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WGJB는 비찰과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과 같은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나, 몇몇 토끼의 찰과 부위에서 매우 약한 홍반과 부종을 나타내어 WGJB의 1차 피부자극 지수는 0.625이었다. 따라서 WGJB는 약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었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기니픽에 0.1 mL의 WGJB을 피내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감작 1주일 후 WGJB를 함유한 패취를 주사 부위에 부착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2주 후에 WGJB 를 함유한 패취를 부착하여 감작을 야기시켰다. WGJB는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WGJB는 약한 피부 자극성을 가지며 감작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4,000원
        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o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Chrysanthemum dye in Sprague-Dawley (SD) rats. SD rats were or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t a dose of 0, 1 and 2 ml/kg body weight.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SD ra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nd observed for 3 days. To ensure the safety of Chrysanthemum dye such as the following were observed and tested. We examined the body weight, the feed intake, the clinical signs, the ophthalmological test, the histopathological test, the mortality and skin irritation.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weight, feed intake and histopathological test between control and Chrysanthemum dye treated group. In the result of skin irritation test, Chrysanthemum dye did not induce erythema and edema after topical application. Primary irritation index was “0” in the te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hrysanthemum dye has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is non-irritant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Lamia-Kill®, disinfectant,containing 20% benzalkonium chloride and 10% citric acid. In acute oral toxicity, Lamia-Kill® was orally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0 mg/kg body weight.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both sexes of SD rats,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 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Lamia-Kill® for 24 hr and observed for 3 days. All rats treated with Lamia-Kill® were induced no toxic signs in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body weights and gross findings. Also, the disinfectant did not induce any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on intact skin sites for the most part rabbits, but on abraded skin sites, some rabbits showed very slight erythema on 24 hr after topical application.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Lamia-Kill® have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5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4,0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research on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rmis and composition of ion have been performed. Traditionally, bamboo extract wa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enhancing healthy condition of a skin. Bamboo salt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famous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P/S (Polyol-in-Silicone) emulsions containing a fair amount of bamboo salt in the range of 0.5~5.0 w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emulsions, we varied the quantity of fatty alcohol and wax ester in emulsions and the stability was checked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We also studied the efficacy of treating the P/S emulsions containing bamboo salt. From the experiment, the emulsions show the mitigation of stimuli, enhancing the skin hydration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4,000원
        7.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피부분절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강직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손기능 변화와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의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피신경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굽힘근의 피부분절에 20분간 고주파(100Hz)와 가시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저강도로 전기자극을 실시하였다. 측정 시기(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 간 손기능 검사는 Box and Block test로 사용하였고,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비는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 요인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 Box and Block test의 결과는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간의 동시수축 비는 측정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피부분절 전기자극 방법은 손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므로 향후 실시되는 연구에서는 피부분절 전기자극과 동시에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기능적인 과제 활동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4,000원
        9.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chang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four groups of 15 persons each and 2) to compare the effect of conventional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and laser at auricular acupuncture points on experimental pain threshold measured at the wrist. Sixty healthy adult men and women(M:32, F:28), aged 20 to 28 year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our groups. Group 1 received TENS to the appropriate auricular point for wrist pain, Group 2 received laser to the appropriate auricular point for wrist pain, Group 3 received placebo TENS to the appropriate auricular point for wrist pain, Group 4 received no treatment and served as controls. Experimental pain threshold at the wrist was determined with a painful electrical stimulus before and 20 minutes after ear stimulation. Group 1 was the only group that showed a sta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pain threshold after treatment whereas the Group 2,3 and 4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NS has the capability to higher pain threshold but laser does not.
        4,000원
        10.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sensitization and flooding on the behavior of dogs during grooming, focusing on their response to the sound and skin stimulation while using a clipper. A total of 20 adult dogs over two years of age with complete personality forma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en dogs, of which three were Bichons (average weight 5 kg), four were Poodles (average weight 5 kg), and three were Malteses (average weight 4 kg), were subjected to the desensitization process. The remaining 10 adult dogs were subjected to the flooding experiment, and were of the same breed and average weight as the adult dogs used in the desensitization process. The desensitization and the flooding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day (approximately 1 min per session) for 10 days. For desensitiz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only on the fifth day, when compared by breed (p<0.05). Overall, when compared by measurement day, the results of desensitization for Bichon, Poodle and Maltese dog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results for the Bichon, Poodle, and Maltese dogs that were subjected to flooding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flooding on the second and ninth days (p<0.05); however, flooding had no effect on the other days (p>0.05). Desensitization using the clipper, a beauty tool, was faster than flooding in achieving stabilization. In conclusion, desensitization and flooding showed positive results on the stress relief and emotions of dogs during grooming, with respect to cosmetic fear response.
        1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헤어조절 및 사이클에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 다. 특히, 모근세포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피질관련호르몬과 세포손상 및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 고 있지만, 현재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고에 의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 자가 증가되면 모근세포의 마이토콘드리아 활성을 저해하여 초기단계의 세포사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임상학적 으로 보고된바가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와 부신피질관련 호르몬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모발의 outer epithelial sheath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스트 레스의 변화는 마이토콘드리아 손상을 초래하여 초기단계세포손상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 염스트레스가 피부의 모근세포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 이다. 우리는 NC/Nga 마우스에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피부염을 유발 후, 피부 스트레스 생성에 의한 초기단계 세포손상을 스트레스관련 인자,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그 관련 인자, annexin V 및 마이토콘드리아 반응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피부염에 의한 스트레스는 체내의 부신피질 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관련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모근세포에 영향을 주어 초기단계세포사멸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토피피부염관련 헤어손상을 일으킨다는 중요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조절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보조적 요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12.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70% ethanol extract from Persicaria nepalensis (PNE) as a cosmetic ingredient by primary skin irritation, ocular irritation, and maximization tests for delayed hypersensitivity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and Hartley guinea pig. Skin safety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toxicity of PNE using the primary irritation test. In the primary irritation test, 50% PNE was applied to the skin, and no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were observed at the intact skin sites. Therefore, PNE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a primary irritation index of "0.0.". In the ocular irritation test, the 50% PNE applied did not show any adverse reactions in the different parts of rabbit eyes, including the cornea, iris, and conjunctiva. Thus, PNE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an 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of "0.0.". Skin sensitization was tested by the Guinea Pig Maximization Test (GPMT) and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using an intradermal injection of 10% PNE. Edema and erythema were not observed 24 and 48 h after the topical application of PNE in skin sensitization test, which exhibited a sensitization score of "0.0.".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P. nepalensis could be used as potential candidates for cosmoceutical ingredients, without any major side effects.
        1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낮 동안 태양빛과 인공 빛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으며, 그중 5%는 UV 영역, 50%는 가시광선, 나머지 45%는 적외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자외선의 피부에 대한 영향은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나, 나머지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가시광선에서 적외선 사이의 파장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광처리에 의한 효과는 광파장, 처리 시간, 광세기, 광조합 등 다양한 파라미 터들의 조합에 의해 그 효능이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콜라겐 합성과 관련된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광처리 조건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 사이의 6개의 파장을 처리한 결과, 레드(630 nm)와 그린(520 nm) 파장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광처리 시간은 콜라겐 합성량 증가를 위해서는 10 min의 광처리가 30 min의 광처리 보다 적합한 조건이었다. 광세기는 0.05 ∼ 0.75 mW/cm2에서 6개의 광세기로 분할하여 실험한 결과, 레드 0.3 mW/cm2와 그린파장 0.15, 0.3 mW/cm2 세기가 type I collagen의 mRNA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두 개 파장을 순차적으로 조합 처리하였을 때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레드와 그린파장의 조합 조건은 섬유아세포의 수적증가를 목적으로 할 때 효율적인 방법이며, 콜라겐 합성에는 레드 단독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광처리 조건을 이용시 피부 세포의 성장이나 콜라겐 합성에 긍정적 영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재생 및 피부 미용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