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an optimal pattern among transition methods applied during changes in traffic signal timing was investigated. We aimed to develop this pattern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reinforcement-learning model to assess its effectiveness METHODS : By developing various traffic signal transition scenarios and considering 19 different traffic signal transition situ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se scenarios, a sim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patter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Subsequently, a reinforcement-learning model was developed to select an optimal transition time model suitable for various traffic conditions. This model was then tested by simulating a virtual experimental center environment and conducting performance comparison evaluations on a daily basi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the change in the traffic signal cycle length was less than 50% in the negative direction, the subtraction method was efficient. In cases where the transition was less than 15% in the positive direction, the proposed center method for traffic signal transition was found to be advantageous. By applying the proposed optimal transition model selection, we observed that the transition time decreased by approximately 70%.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guidance for the next level of traffic signal transitions. The importance of traffic signal transition will increase in future AI-based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s, requiring ongoing research in this field.
New motor development requires high-speed load testing using dynamo equipment to calculate the efficiency of the motor. Abnormal noise and vibration may occur in the test equipment rotating at high speed due to misalignment of the connecting shaft or looseness of the fixation, which may lead to safety accidents. In this study, three single-axis vibration sensors for X, Y, and Z axes were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test motor to measure the vibration value of vibration. Analog data collected from these sensors was used in classification models for anomaly detection. Sinc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around only 93%, commonly used hyperparameter optimization techniques such as Grid search, Random search, and Bayesian Optimization were applied to increase accuracy. In addition, Response Surface Method based on Design of Experiment was also used fo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s to improving accuracy with these methods. The reason is that the sampling data from an analog signal does not reflect the patterns hidden in the signal. Therefore, in order to find pattern information of the sampling data, we obtained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mean,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percentiles of the analog data, and applied them to the classification models. Classification model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mprovement.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as a monitoring system that detects abnormal conditions of the motor test.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BSC(Balanced Score Card) 기반의 성과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성과평 가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BSC 모형을 교육 분야에 맞게 수정하여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평가 체계를 설계하였다. 재무, 수요 자, 운영, 프로그램의 네 가지 관점에서 성과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의 다양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정 프로그램들이 높은 성과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개선 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BSC 기반 성과평가 모형은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다각도에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 하여 대학 교수학습센터가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대학 교 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대학생 대상 중국어 관련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중국어, 상호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관련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중국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상 황을 제공할 수 있어 원어민 학생들과 유의미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중국어 학습과 함께 중국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소개 및 성찰할 수 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온라인 매 체 관리, 학습 방안, 매체 활용 단계 및 방안,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학습자 간 역할 및 상호작용 확대, 학습 전략, 교수 전략 등의 절차가 명확하게 계획되고 구성될 필 요가 있으며,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과 한중 상호문화교육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고, 국내 중국어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역량, 글로벌 역량 등에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교수자가 학습자를 위해 긍정적 가치탐색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4D 프로세스 기반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학습유형을 분류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긍정적 가치탐색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사고방식과 행동 변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의미와 가치발견에 중점을 둔 강점 기반 접근을 통해 학습 참여를 증진하고 지속 가능한 학습 환경과 배움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긍정적 가 치 탐색의 4D 프로세스를 토대로 한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 가치탐색 4D 프로세스 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와 지향하는 역량개발에 따라 4D 프로세스에 적합한 학습 유형 분류와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학습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4D 프로세스 기반 4가지 학습유 형을 구조화하여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모형타당화를 진행하였다. 4D 프로세스 기반 학습모형 구성요소 도 출은 선행 문헌의 검토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구성요소의 구조화는 사례연구를 통해 진행하였다. 그 리고 해당 분야 전문가 검토를 통한 타당성 평가를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Discover, Dream, Design, Destiny 4D 프로세스는 탐색과 발견, 사고와 상상, 공유와 구성, 발표와 실천으로 개선되어 적용되었다. 학습에 적합하도록 보완된 4D 프로세스는 도달할 학습 목표와 개발할 학습자의 역량에 따라 탐구형, 창의 형, 과제해결형, 실천형으로 세분화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학습모형에서의 학습유형은 다양한 교육 환경 에 맞게 긍정적 가치탐색 활동이 선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 conjunctives –ko and –ese, and the Turkish converb –Ip, which have various meanings, and reveal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visually using the semantic map model. –ko and –ese are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but Turkish learners have shown many errors. Those two Korean conjunctives express different temporal meanings, however, the corresponding Turkish converb expressed them in a single form. Korean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meanings of –ko and –ese as [sequential] and [continuous], but it can be made more confusing for learners by presenting the meaning using the same te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meanings of the two connectives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ir syntactic characteristics. Since most textbooks of Korean do not clearly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 and –e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urkish-speaking learners based on the Focus-on-Form approach are proposed. To teach the conjunctives –ko and –ese, distinguishing between features of different meanings and to recognize those differences is encouraged.
In this study, BSC model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using balanced scorecard suitable for non-profit organization. Firstly, relevant literature survey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various CTL and institution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Next, a draft BSC model was designed through interviews of specialists. Lastly, the BSC model was proposed by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model by conducting two Delphi surveys. The BSC model of CTL has 4 perspectives: resource,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9 critical success factors: 2 factors in resource,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3 fac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23 key performance Indicators: 4 indicators in resource and learning and growth, 7 indicators in customer perspective, 8 indica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oposed BSC model showed an evaluation model suitable for a non-profit organization. Second, the BSC model was linked to the organization’s mission and vision. Third, it could contribute to the long-term development of CTL. Lastly, if it could be applied to management, and evaluated,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budget support and spread of the university.
협동학습은 소그룹에 소속된 학생들이 그들 자신은 물론 다른 구성원들의 학습효과를 극 대화시키기 위해 서로 협력하도록 구조화된 교수학습방법이다. 본 논문은 중국어 고문 교육 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고문 교육에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결과 그 효과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학습효과 측면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고문해석에 대한 학습자의 자신감 상 승, 고문학습에 대한 흥미도 향상, 효과적인 고문해석 연습 기회 제공, 학습자의 고문 독해실 력 제고와 이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인간관계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협동학 습을 통해 조원과 상의하고 서로 의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조원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였으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체험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진행 과정에서 협동학습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개인적 책무성이 강조되면서 학습자들은 다른 조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성실히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이 향 상되었다. 다만 협동학습이 본연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책무성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협동학습은 고문학습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최근 아동학대 등 인성 부재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인성교육이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그 문제의 해법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연구적인 차원에서 찾고자 노력 하고 있다. 연구적인 차원에서는 주로 인성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반면, 코칭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성교육의 실천을 돕기 위해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학습에 적용해 봄으로써 인성을 함양하여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인성교육의 분석과 인성코칭의 이해, 그리고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 한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 모형은 범주, 영역, 구성요인,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범주는 크게 ‘개인적 인성코칭-관계적 인성코 칭-공동체적 인성코칭’ 세 가지 핵심코칭으로, 영역은 ‘나-너-우리-세계’로 구성되었다. 이 네 가지 영역은 14개의 구성요인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세분화하여 하위내용으로 정리하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motivational factors affect Korean EFL secondary students’ motivated learning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t further examined differenc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L2 motivation over time. A total of 489 second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t two time points during an academic semester: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Results of the SEM showed that students’ ideal L2 self wa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their motivated learning behavior at both time poi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ereas for high school students, ought-to L2 self had the strongest direct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otivated behavior in learning English throughout the semester. It was also found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nternational posture of English and their parents’ involvement in English learning made indirect effects on their motivated behavior.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nglish writing model using pattern-based reading materials and to apply it to the elementary classroom. The meaning of “patterns” was searched for in the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nd their roles were examined in terms of language acquisition and learning. The writing class was connected to the reading class so that learners could properly model and transfer their forms and meanings of the patterns recognized in the reading class to what they want to write in the writing clas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one class of grade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hich the reading and writing class was integrated into the regular English class during one semester. Six pattern-based reading materials were selected with a range of genres including stories and poems. The effect of the pattern-based reading materials on the writing class was examined through writing test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 affective domai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 showed that writing scor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e leveled-group learners. As for the affective domain,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and adventure each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 The sense of adventure increased the most. This is considered attributable to the feedback which ignored grammatically trivial errors and focused on how to properly express the contents learners wanted to write.
In recent years, the globalization has raised the interest in the overseas experiential learning. Overseas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by learning from various cultures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achieve the global insights and leadership. However, the regulations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and Ministry of Education tend to recommend not to travel abroad without a special purpose. The results were found that teachers seek the exchange program with the local students in the partner country, and, overall, the cost-effectiveness was relatively low. Also, with the fact that the revisit was not recommendable, the satisfaction of the previous activities has been questioned. Teachers agreed with the critical points on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ositively rated the suggested prototype of oversea experiential learning based on career education.
본 논문에서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게임화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고 있는데, 게임화(gamification) 학습 메커니즘을 이용한 교수학습 활동에서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된 교육학습모형 개발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적용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학교현장에서 게임화 모델을 이용한 모형 개발로 학습자 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게임화에 대한 교육학적인 기능설명과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탐구학습과 과정중심 쓰기 통합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널리 활용되어 온 기존의 읽기 지도 모형들은 쓰기 과정과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읽기 지도 모형 중 가장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수·학습 모형이며, 읽기 과정과 쓰기 과정을 통합한 모형인 ‘Neo-SQ3R’ 모형을 적용하여, 실험반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학생 소감문을 통해 모형 투입 전후의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에 대한 학습자 체감 정도를 검증하였다. 모형 투입 전·후 텍스트 재구성 여부 및 창의적 재구성 여부를 통해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 신장 정도를 검증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학습과 과정중심쓰기 모형을 적용한 문학 수업을 통해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읽기와 쓰기 과정을 통합한 교수․학습을 통해 총체적 국어사용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수․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독자가 되었다.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facilitate studen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growth. The researcher applied the sport education model in real school settings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 pur
21세기 전문대학의 창의적 인재의 육성을 위해서는 교수의 일방적이고, 지시적 수업보다는 교수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쌍방향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한 수업방식과 더불어 학습자 간의 적극적인 수업참여의 유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때문에 학습자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저해하는 교수의 일방적인 수업진행을 지양하고, 학습자를 수업에 적극 참여시키는 수업모형의 개발이 어느 때 보다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활발히 유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자의 참여도와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의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을 통한 수업참여 모형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첫 수업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강의계획서 소개와 더불어 수업모형을 설명하였다.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을 통한 수업참여모형은 적극적인 학생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1주일에 1회 A4용지 1~2매 이상의 분량에 NIE(Newspaper in education) Scrap의 제출을 의무화 하였으며, 정해진 형식의 양식2)을 제공하였다. 또한 수업모형에 있어서의 학생들의 역할과 참여범위에 대한 규정, 발표자로 선정되는 조건과 교수의 역할 및 의견교환에 대한 요령 등을 설명하였으며, 성적 반영에 대하여 공지하였다. 한편, 한 학기 동안 진행된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을 통한 수업참여모형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개선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15주차에 설문을 통하여 결과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6주차에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효율적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을 통한 수업참여모형을 개발하였다.개발된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을 통한 학습참여모형에 대한 전체적인 학습자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정책과 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더불어 논리력, 표현력이 증진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개발된 학습모형이 학습자의 학습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모형임이 입증되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1주일에 한번씩 scrap하여야 하는 부담감이 있긴 하지만, 신문기사를 보는 습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넓혀지고, 사회복지에 대한 흥미와 더불어 문제의식을 갖게 하는데 유효한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특히, 교수보충설명(comment)단계가 학생들의 사회복지수업 이해정도를 높이는데, 크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수보충설명(comment)에 대한 정형화된 매뉴얼 개발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모형개발에 있어서, 주간반, 야간반, 산업체 반별 맞춤형 NIE 학습모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개발된 NIE(Newspaper in education)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실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자의 학습참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NIE(Newspaper in education)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학습흥미를 유발시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함양하게 할 수 있었으며, 복지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최신의 뉴스와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고, 나아가 학습자가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통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신문내용을 요약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서 표현력과 사고력, 논리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정보 활용 능력을 강화시켜주고, 정보 마인드를 함양케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교수가 기존의 이론 중심의 학습패턴에서 탈피하여 변화하는 현장의 흐름에 민감성을 가지게 되어, 효과적인 학습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