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학 평생교육체제 사업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중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토 대를 마련하고자 성인학습자를 심리적 특성별로 집단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학업지속의향 및 소진의 차 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소재 A 대학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108명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특성(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학업열 의, 학업목표)으로 집단을 분류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그후 이를 독립변인, 학업지속의향과 학업소 진을 종속변으로 두어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위험집단, 위험잠재집단, 성장가능집단, 고 성장가능집단으로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이 군집별 학업지속의향, 학업소진의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 개인적 특성에 따른 군집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개인적 특성에 따른 군집유형을 좀 더 다각화하고 위계적으로 분류하며 맞춤형 밀착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5,400원
        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both primary ELL(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English teachers on MMP(Multimodal Media Production)-embedded English instruction at a primary English clas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182 primary ELLs and 2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focal participants and an open-end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perceptions on MMP were comparably high among ELL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grades and English levels in terms of learning interest. The teachers’ interview revealed that MMP would trigge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sson and ELLs’ voluntary active class participation by heightening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 sum, the implementation of MMP-embedded English instruction has positive pedagogical effects for young ELLs since it may promote essential literacy skills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help in affective domains.
        5,500원
        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교육이 다. 어떤 언어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학습은 또 하나의 다른 언어적 도 구를 학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 어휘의 중추적 요소이 다. 곧 한국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는 더 많은 한자계 어휘를 습득하고 활 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한자와 한자계 어휘교육은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 교육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높여주며, 긍정적 전이를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한국어 교육에서 수행되는 한자와 어휘 교육은 1차적으로는 한국어를 교육하려는 목적에서 그 유용성을 가지지만,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 한자문화권 모 든 국가의 전통문화를 수용하고, 그 국가의 개별 언어를 학습하는데 일정 정도 기 여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문”교과의 교과목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문교과가 한국만의 독특한 개별교과로 만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기초교양교과로 역할이 변경 혹은 증대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한자계 어휘 교육이 특정 국가의 언어를 벗어나 한자문 화권 전체의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15,500원
        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업의 3가지 맥락(자료, 과제, 역할)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그룹의 상호작용에 따른 그룹과 개인의 반성적 탐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반성적 탐구활동을 위한 소그룹 구성과 교사의 지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해서 반성적 탐구활동수업을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분석틀과 수업상황의 3가지 맥락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학생개인과 그룹의 반성적 탐구는 학생들의 개별특성 그 자체보다는 다튼 학생과 학급에서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800원
        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focuses o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for young learners in Korea questioning how far the special needs of young language learners (YLL) are being catered by the current English language assessments. First of all, this paper identifi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and the related assessments and provides several examples in the European context to explore how European programs apply the distinctive conditions of YLL on the assessing practices at schools. Secondly, four tests of oral proficiency which are currently administered in Korea (SEPT-general vs. SEPT-Junior; ESPT-general vs. ESPT-Junior) are explored to compare how the assessments for YLL take account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Test content is analyzed on item types, test criteria and level descriptors. Lastly,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ssessment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paper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YLL test development in Korea.
        6,600원
        7.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한 국어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를 한국어 발음 능력에 따라 상·중·하위 그룹으로 나눈 후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성격과 발음 능력의 연관성을 살 펴보았다. 상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민감한 어린이 페르소나와 배려지 향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강함추구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발음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8.
        2013.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가 어두와 어중에서 발화한 파찰음을 다양한 음성학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에 대한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어두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으로 마찰 구간의 길이와 후행 모음의 음높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중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분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이 후행 모음의 음높이, 마찰 구간의 길이, 폐쇄지속시간이다. 그러므로 어두 초성 파찰음과 어중 초성 파찰음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세 자음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ducational method of Equality Particles, {mankeum/cheorum/kachi} for Korean learners. In Korean linguistics, these morphemes can not be explained clear. Moreov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ly some limited meaning of {mankeum/cheorum/kachi} is introduced at the level 2, and then their actual usage is showed many errors. To identify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ankeum/ cheorum/kachi}, it is used Sejong 21'th century's Project corpus and Korean learner's error corpus. As a result, {mankeum} is used as a bound noun and a particle, {cheorum} as a particle and {kachi} can be used as a particle and a adverb. In this case investigations, {mankeum}'s meaning is extended, "the difference between a certain amount of> different levels of degree> degree of similarity of> equivalence" In contrast, {cheorum} has the meaning of 'degree of similarity' and 'equivalence' between two comparative objects. Lastly, {kachi} is derived from {katta} as an adjective and has the meaning 'equivalence' like {cheorum}. (SoonChunhyang University)
        1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학습자 특성, 교사 특성, 학습환경 특성, 학습내용 특성)이 학습효과(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에 대한 칭찬이나 격려,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자에 대한 관심 및 배려 등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이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다양한 칭찬이나 보상 등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가 교사를 바라볼 경우, 긍정적인 시각이나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로서의 열정과 사랑도 필요하다. 셋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받는 학습자가 컴퓨터 게임을 하는 시간을 줄이고, 컴퓨터 및 인터넷을 통해 학교 수업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검색하고, 교과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