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목적: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은 췌관에서의 협착과 폐쇄를 유발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협착 및 폐쇄가 심하여 악세서리가 통과하지 않아 ERCP 시술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한다. 이때 투열 카테터의 일종인 cystotome은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cystotome을 사용한 시술 경험을 논해보고자 한다. 방법: 2019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단일 삼차병원에서 ERCP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가이드 와이어는 통과되지만 액세서리가 통과하지 않는 7명의 환자에서 cystotome이 8번 활용되었다. 결과: 8번 전부 기술적 성공을 이루어 cystotome 시행 이후 협착부를 풍선 카테터가 원활히 통과되었다. Cystotome을 사용한 첫 번째 ERCP 이후 두 번째 ERCP에서, 추가 시술 없이 풍선 카테터가 협착부를 통과하는 기능적 성공은 8번 중 6번(75.0%)에서 달성하였다. 합병증의 경우, 시술 중 1번에서만 시술 후 2일가량 추가 입원하게 되는 경한 췌장염이 발생하였고 보존적인 치료 후 호전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췌관의 심한 협착에서 대안 중 하나로 cystotome은 좋은 선택지로 보인다.
Gallbladder cance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ilar biliary obstruction; however, it rarely causes combined biliary, duodenal, and colon triple obstruction. In this case, the quality of life for a patient with recurrent gallbladder cancer with combined duodenal, colonic, and biliary obstruction was improved by endoscopic and endosonographic palliation, despite its technical difficulty and complexity. Seven metal stents were implanted one by one using only endoscopic methods. Successful stent-in-stent placement and endoscopic ultrasound-guided stenting after failed ERCP improved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to the extent that there was no need for any external drainag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imaging role for indeterminate bile duct stricture is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on whether the stricture is highly likely to be malignant or benign. Compared to benign stricture, malignant stricture is longer, thicker, and has indistinct outer border and irregularity of the lumen i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MR). Also, in the contrast-enhanced portal phase, malignant stricture has a stronger enhancement than the liver parenchyma. There are studies to differentiate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stricture in diffusion weighted image, a functional MR image, but there remains controversial. Sometimes, malignant biliary stricture may be caused by bile duct invasion of gallbladder cancer, pancreatic cancer, hepatocellular carcinoma, biliary metastasis, and lymphoma. Among the potential causes of indeterminate biliary strictur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ocal biliary stricture mainly suggest benign sclerosing cholangitis, and various external compression factors that cause biliary stricture can be differentiated by radiologic imaging. There are causes of biliary dilatation without obstructive lesion, radiologic diagnosis can be made by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Percutaneous balloon dilation with or without placement of an external biliary drain is a nonoperative alternative method for treating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Although this procedure has a high technical success rate, outcomes are less optimal when attempting to dilate refractory tight strictures. For the stricture, cutting balloon can be an option. We present four patients with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refractory to conventional balloon dilation. To the patients, a peripheral cutting balloon over-the-wire system was inflated, following subsequent conventional non-compliant balloon dilation. After the balloon dilation treatment, an external drainage catheter was placed through the stricture site and maintained for up to 30 days. Technical and end-treatment success was achieved in all four patients. In conclusion, the use of cutting balloon dilation may appear to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benign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s refractory to conventional balloon dilation.
Angiography has excellent advantages to visually observe the internal morphology of the stenosed blood vessel. For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t is possible to directly provide a reliable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information as compared to conventional angiography. In the present study, both velocity and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stenosed blood vessel models (0%, 25%, 50%, and 75% stenotic expansion rate). The blood vessel geometry was prepared based on the human stenotic aorta from OCT image. Commercially available software (CATIA V5) was used to reconstruct 3D blood vessel for numerial analysis. Pulsatile blood flow boundary condition was applied. The numerical study could help our understanding of the hemodynamic differences in a stenosed blood vessel.
만성 췌장염은 지속적인 췌장 염증과 섬유화로 비가역적 췌장 기능의 손상과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만성 췌장염에서 발생한 췌담관 협착은 통증 또는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 내시경 배액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내시경 치료 단독은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불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항상 다학제 기반의 진단과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추가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만성 췌장염 진료지침의 개발을 기대한다.
미리찌 증후군은 담낭결석증의 드문 합병증으로, 담낭 경부나 담낭관의 결석에 의한 압박으로 인해 총간관의 폐쇄가 발생하게 된다. 미리찌 증후군은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되며 그 방법은 질환의 세부 분류에 따라 다양하다. 미리찌 증후군의 외과적 치료 후 발생한 담관 협착은 드문 합병증이며 담도-장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이를 내시경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증례는 미리찌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담관 문합부 협착을 장기간 경피경간 담도배액술로 치료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담도 협착은 흔히 다각적 접근법을 필요로 하지만, 실제는 어려운 과제이다. 조직 검사를 포함한 내시경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협착의 원인을 밝힐 수 없을 경우 ‘모호한 담도 협착’이라 정의한다. 자기공명영상 (MRI), 자기공명 담췌관 검사(MRCP) 및 다중검출 CT (MDCT) 등의 영상학적 검사들은 협착 부위, 정도, 길이 및 종괴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기에 정확히 악성 협착을 진단할 수 있다면 적절한 수술 시기를 결정할 수 있고, 적절한 항암 치료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아직까지 악성 협착과 양성 협착을 감별할 수 있는 확실한 진단법은 확립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담도 협착의 원인을 분석하고, 담도 협착에 대한 진단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검사, 영상학적 검사, 최근 발전하는 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에 관하여 소개하려 한다.
Background: The continuous co-contraction of the trunk muscles through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is important to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LSS). However, intentional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IAMC) for trunk stabilization has been used only for specific training in the treatment room.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eedback to adults with LSS to enable IAMC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Methods: The participants with spinal stenosi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5 adults and a control group of 16 adults. Electromyographic signals were measured while the subjects kept their both hands held up at 90°. The measured muscles were the rectus abdominis (RA), external oblique (EO), internal oblique (IO), and erector spinae (ES). Pelvic tilt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pelvic inclinometer. The degree of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functional capacit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Result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ctivities in the RA, EO, and IO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elvic til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s in the VAS and KODI (p<.01). In terms of the levels of changes,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arger decline only in the VAS and the pelvic til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s: The subjects could stabilize their trunks, and relieve their pain and dysfunctions and reduce pelvic tilt by learning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during ADLs.
담관 협착의 원인을 양성인지 악성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어 많은 임상의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그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 영상검사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에 의한 반복적인 세포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양성 담관 협착과 악성 담관 협착을 수술 전 정확히 감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50 세 남자환자에게 원위부 담도 폐쇄 소견이 있어 세포 검사와 조직검사를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시행하였으나 악성세포는 나오지 않았고, 간흡충 충란이 다량 발견되어 간흡충증에 의한 양성 협착과 악성 협착의 감별이 어려운 상황에서 1개월 후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췌장실질의 위축과 췌관확장이 진행하여 악성종양을 강력히 의심하고 유문부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에서 췌장 머리의 선암으로 진단하였다. 악성 담관 협착을 수술 전에 정확히 진단하기는 쉽지 않지만, 담관 협착은 악성이 의심되면 수술적 진단 등의 적극적 검사를 주저해서는 안될 것이다.
목 적 : 좌심실의 기능(left ventricular function)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임상적 진단이나 치료 전략 및 예후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좌심실 기능평가를 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DSCT)와 two dimensional-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2D-TTE)와 비교하여 심장 검사에서 MRI의 활용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08월부터 2010년 09월까지, AS로 진단된 환자 중, 2주 이내에 DSCT, 2D-TTE, CMR를 모두 시행한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세)을 수술 전 비교 평가하였다. EDV, ESV, SV, EF은 M mode를 사용한 2DTTE, threshold-based technique를 사용한 DSCT,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을 통해 계산하였다. LV 기능의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CMR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두 명의 방사선사 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값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 과 : 총 환자수는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1±13.7, 1.5T MRI 69명, 3.0T MRI 24명) 이었다. EDV, ESV, SV, EF을 위한 CMR과 DSCT는 매우 우수한 상관관계(r=0.93, 0.94, 0.83, and 0.85, 각각, p<0.01)를 나타내었으며, CMR과 2D-TTE는 우수한 상관관계(r=0.81, 0.92, 0.56, and 0.77, 각각, p<0.01)를 보여주었다. DSCT는 CMR에 비해 EDV(130.48ml), ESV(40.74ml), 그리고 SV(89.74ml)에서 낮은 측정치를 보였으나, EF(71.1%)은 높게 나타났다. CMR을 이용한 LV 기능 평가의 관찰자간 일치도 평가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r=EDV; 0.96, ESV; 0.94, SV; 0.92, EF; 0.84, 각각, p<0.01)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DSCT의 회귀계수(Β=EDV; 0.91, ESV; 0.72, SV; 0.86, EF; 0.68)는 2D-TTE의 회귀계수(Β=EDV; 0.21, ESV; 0.53, SV; 0.13, EF; 0.3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2)는 각각 0.88, 0.91, 0.71, 0.78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 측정은 재현성과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가진 환자의 LV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CMR의 폭 넓은 활용과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resent numerical study, simple stenotic artery models using pulsatile flow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 reversing sinusoidal velocity for pulsatile flow was imposed at the flow inlet and the corresponding based on the vessel radius. The stenotic geometries modeled using mechanical 3D CAD. It has been used that consist of 0.2, 0.4, 0.5 0.75 and 0.8 stenotic rate in a cylindrical tube. In this paper, numerical solutions are presented for a second harmonic oscillatory flow using commercial code CFX 14. As stenosis rate increases, the maximum wall shear stress(WSS) increases while the minimum WSS decreases. As the stenotic rate increases, the pressure drop at the throat severely decreases to collapse the artery and plaque. It is found that the fluid mechanical disturbances due to the constriction were highly sensitive with rate of stenosis. When stenosis rate increases, the recirculation region exists. In this recirculation region the possibility of plaque attachment is increasingly higher. The present result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hemodynamics of a stenotic artery.
뇌혈관 질환은 우리나라의 주요 10대 사망 원인 중 3대 사인에 해당하며, 이러한 질환은 동맥경화와 관 련이 있으므로 동맥경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의 진단 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령대별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와 뇌동맥 혈관 협착 및 혈압, 비만도, 복부비만과의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뇌동맥 혈관 협착과 연령대별 유의성 평가는 50대의 연령대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동맥경화의 위험인자인 혈압, 비만, 복부비만의 경우 전체 연령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완-발목 동맥 맥파전달속도가 상승하였을 경우, 뇌동맥 혈관 협착은 전체 1,376명중 788명으로 57.2%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위험인자인 혈압의 경우, 전체 7,557명중 3,255명으로 43%, 비만도는 2,708로 35.8%, 복부비만은 2,941명으로 38.9%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 검사 시, 동맥경화가 의심된다면 우선적으로 뇌동맥 혈관 협착을 의심하고 뇌동맥 혈관 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한다. 동맥경화의 위험인자인 혈압, 비만, 복부비만과의 유의성 평가를 통하여 향후 유사 연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