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의 기주식물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주식물로 제주 감귤의 주요 품종인 한라봉, 감귤원 에서 많이 서식하는 잡초인 왜제비꽃과 대조군으로 강낭콩을 선정하였다. 항온조건 20℃, 25℃, 30℃에서 발육실험과 산란실험을 진행하고 생명표 분석을 수행하였다. 차응애는 한라봉 어린잎, 왜제비꽃, 강낭콩에서 발육을 완료했지만 한라봉 구엽에서는 발육을 완료하지 못했다. 한라봉 어린잎을 섭식하는 차응애의 총 발육기간은 각 온도조건에서 17.4, 13.4, 10.2일로 강낭콩에서 조사된 16.1, 9.5, 7.0일보다 길었다. 한라봉 어린 잎에서의 차응애 성충의 수명은 각 온도에서 19.1, 15.0, 12.3일로 강낭콩에서 조사된 22.1, 14.1, 10.9일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산란수는 각 온도에서 18.1, 23.9, 17.8개로 왜제비꽃(93.3, 105.8, 115.0개)과 강낭콩(127.4, 121.0, 117.1개)에서 보다 적었다. 조사된 발육데이터를 기반으로 생명표 통계량을 추정한 결과 서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자연증가율(rm)은 각 온도에서 강낭콩(0.1542, 0.2563, 0.3251), 왜제 비꽃(0.1087, 0.2007, 0.2673), 한라봉(0.0868, 0.1002, 0.1217)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감귤원(한라봉)의 차응애 관리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200원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ick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icks using tick traps attached dry ice and a flagging method at each four sites in Busan, Ulju, and Geoje areas of Gyeongnam Province from April to November, 2018.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representing 99.8% in Ulju. A total of 27,247 ticks were collected as H. longicornis (Trap Index; TI 283.2), H. flava (TI 0.3), and Ix. nipponensis (TI 0.3). In the collection environment, a total number of 15,672, 5,798, 4,876, and 901 ticks were collected from glassland, tump, tomb, and mountain path,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H. longicornis and Ix. nipponensis were collected with flaggings at the four sites in Ulju, Busan, and Geoje in May and June, 2018. A total of 1,517 ticks collected H. longicornis (Flagging Index; FI 9.3) and Ix. nipponensis (FI 0.1) in Ulju. Haemaphysalis longicornis were collected 2,183 (FI 13.6) and 1,596 (FI 10.0) in Geoje and Busan,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isola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from the ticks, no pathogens detected from RNA of 557 pools of the tick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in 2018.
        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6 to March 2017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biologicalcontrol of the two 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 TSSM) in the strawberry greenhouses. Natural enemy plot and conventionalplot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mean density of T. urticae. T. urticae was sampled by taking three leaflets (1 stalk)from each plant (3 three-leaflet) leaves from each sampling position. Natural enemy plot was released with Phytoseiuluspersimilis and conventional plot was sprayed with pesticides(abamectin, cyenopyafen, etc). Each stage of TSSM densitywas higher in conventional pesticides than natural enemy.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was used to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index of aggregation   , index of clustering  ,  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distribution. Also, the clustering indices were mapped as red-blue plot.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was varied, particularly, feeding ability and density of P. persimilis caused regular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
        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monitoring is to surve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ick species using dry ice bait traps and flagging methods at each ten provinces (GangwonⅠ,GangwonⅡ, Gyeonggi, Chungbuk, Chungnam, Gyeongbuk, Gyeongnam, Jeonbuk, Jeonnam and Jeju area) and one Metropolitan area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eight months from April through November, 2016. A total of 65,339 ixodid ticks (8,200 females, 1,988 males, 31,453 nymphs and 23,698 larvae) was collected, belonging to three genera (Haemaphysalis, Ixodes and Amblyomma).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the most commonly collected species, which is represented for 96.88% of all the collected ticks and followed by H. flava (2.69%), I. nipponensis (0.35%), A. testudinarium (0.05%) and H. japonica (0.03%)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study period.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a dominant species observed in these eleven areas.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미기록종 Pyemotes moseri Yu et Liang (Acarina: Pyemotidae)는 곤충기생성 응애로 매실 씨앗 속 유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응애가 기생하고 있었던 기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는 실험실 조건하에서 P. moseri의 번식과 기생 능력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을 기주로 이용하여 P. moseri의 교미한 암컷 성충을 사육하면서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새로 태어나는 자손의 수와 성별을 조사한 후 제거하였다. 기생 능력 조사는 원예용 상토가 깔린 스테인레스 바 트에 대량 사육한 응애가 들어 있는 튜브와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이 가해한 매실 씨앗을 함께 담은 후 지퍼백에 넣어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 또는 번데기에 응애의 기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달 후 매실 씨앗을 조사하였으며 본 실험은 5반복씩 3회 실시하였다. 교 미한 암컷이 기생하기 시작한 이후부터 생식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24.4일(n=8)이었으며 교미한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04.0마리(n=8)의 암컷을 낳았디.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유충 또는 번데기가 들어 있는 매실 씨앗은 바트당 평균 7개 이상이었고 이중 단 2개의 씨앗에서만 기생에 성 공한 응애를 관찰하였다.
        4,000원
        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살비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용식물 25과 35 종의 메탄올 또는 헥산 추출물을 이용하여 잎 침지법과 살포법으로 실내와 pot,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 다. 살비활성은 약용식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다. 강남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잎을 1,000 ppm 농도의 추출물에 1분간 침지한 후 점박이응애에 대한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열매 추출물과 팥꽃나무(Daphne genkwa)와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나팔꽃 (Pharbitis nil) 씨앗 추출물이 각각 56.8%와 47.8, 47.7, 47.7%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잎 침지시간을 30초로 단축시켜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효과검정 시는 1분 침지에 비하여 효과가 감소하였고, 나팔꽃과 도꼬마리의 살비 활성이 가장 높았다. 도꼬마리와 나팔꽃 씨앗 헥산 추출물의 반수치사농도는 각각 1,824 ppm과 1,899 ppm이었다. 두 식물의 1,000 ppm 온수 및 냉수 추출물은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효과가 20% 이하로 낮았다. Pot의 강낭콩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분무법으로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살포한 결과 도꼬마리와 나팔꽃 씨앗 헥산추출물은 각각 76.3과 71.3%의 높은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온실에서 국화의 점박이응애를 대상으로 나팔꽃 씨앗 헥산 추출물을 2,000 ppm과 1,000 ppm으로 처리 시에 는 50.8%와 35.1%의 방제가를 보였다.
        4,300원
        1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채집을 위해 야생설치류를 포획하는 대체 방법으로 고안된 진드기 접착채집기를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경상북도 고령군 및 경기도 화성시에서 계절적 발생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고령군에서 1,354개체, 화성시에서 153개체, 총 1,507개체의 털진드기 가 채집되었으며, 개체군의 환경별 발생밀도는 각 조사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고령군에서는 논두렁에서 581개체(42.8%)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그 다음으로 밭(356개체, 26.3%), 냇가(318개체, 23.5%), 산(99개체, 7.3%)순이었으며, 화성시 에서는 밭에서 135개체(88.2%)로 가장 많았고, 수로(11개체, 7.2%), 산(6개체, 3.9%), 밤나무숲(1개체, 0.7%)순이었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계절적 발생양상을 보면 연 중 2개의 정점(peak)을 보이는데 4월에 작은 정점을 보인 후 여름에는 채집되지 않 았다가 11월에 큰 정점을 나타냈다. 본 조사를 통해 주목할 만한 점으로 가을철 발 생 이후 털진드기가 겨울을 지나 봄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채집기를 이용한 진드기 발생밀도조사는 설치류 채집을 통한 밀도조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보균율 검사와 종합하여 쯔쯔가무시증의 유행예측에 적 용할 수 있을 것이다.
        1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pormate™, a new gas formulation of ethyl formate (EF) with carbon dioxide, is an alternative fumigant to methyl bromide (MB). The efficacy of the vapormate fumigation was evaluated on an acaricide susceptible and resistant Tetranychus urticae strains. A resistant strain showed resistance ratio (RR) of 21.9 and 379.6 to acrinathrin and chlorfenapyr, respectively. Fumigation was done in desiccators (6.8 L) which were empty or filled 30% in space with paprika for 6 h at 15℃ in the laboratory. The concentration adopted were 9.6, 17.2, 24.5, 36.4 mg/L in empty desiccator and 10.2, 17.9, 24.9, 35.2 mg/L in paprika-filled desiccator. In empty desiccator, susceptible and resistance T. urticae showed 100% mortality at higher concentration than 17.2 and 24.5 mg/L, respectively. In paprika-filled desiccator, susceptible and resistance T. urticae showed 100% mortality at higher concentration than 24.9 and 35.2 mg/L, respectively. Hatchability was greatly reduced by the fumigation. Hatchability was 3.7% in the empty desiccator at 9.6 mg/L and 37.2% in the paprika-filled desiccator at 10.2 mg/L.
        12.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stablishment of Economic injury levels(EILs) of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on Rubus coreanus. T. kanzawai was innoculated on May 7 in differently 0, 5, 10, 20 and 40 adults per plant. And pesticide was treated in late April, early May, middle May and late May, respectively. After inoculated of T. kanzawai, the density was increased until the mid-June and decreased gradually in all plots. And higher inoculation density were increased higher than lower inoculation density. Growth variables were not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plots except number of fruit set, but the number of fruit set and yield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Densities of T. kanzawai on treated time of pesticide was lower in later treatment time than early treatment time. The late April treatments were not effective of pesticide in harvesting season. The rates of yield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6545X + 3.0425, R2=0.9313.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0. And EIL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8.3 adults/leaf in mid-May.
        1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dation of Neoseiulus fallacis was observed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that is one of the major insect pests on citrus. The daily predation of development stages of P. citri by an adult female of N. fallacis were 20.1 eggs, 26.1 larvae, 18.2 protonymphs, and 7.4 deutonymphs at 25℃. The daily predation of P. citri eggs by N. fallacis was observ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The predation wa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ise. At this time, ratio of eggs production of N fallacis after predation of P. citri eggs (number of eggs N. fallacis/number of eggs P. citri consumed by N. fallacis) was 0.09. The daily predation of P. citri eggs by N. fallacis was 21.1, 17.3, and 16.7 on the different arenas (diameter: 20, 40, and 60 ㎜), respectively. The predation was decreased as the arena of the leaf increase. The functional response of N. fallacis to P. citri showed Holling"s Type Ⅱ response: the consumption of prey by N. fallaci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prey increase but increasing rate was gradually reduced. As the result, it seemed that N. fallacis can be use for biological control of P. citri.
        4,000원
        1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4,000원
        1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계통 점박이응애와 저항성계통 점박이응애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발육, 수명, 산란수, 산란기간)을 미니장미를 기주로 조사하였다. ftsZ PCR결과 감수성 계통만이 Wolbachia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수성계통은 저항성계통에 비해 높은 산란율과 빠른 발육률이 관찰되었으며, 성충수명과 산란기간은 감수성계통에서 길었다. 이는 적합도가 디코폴저항성 수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조사를 상호교배 자손에서 조사한 결과, Wolbachia에 감염된 수컷과 Wolbachia 비감염 암컷을 교배한 조합에서 높은 난사망율과 수컷편중 성비가 관찰되어 전형적인 Wolbachi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질 불화합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Wolbachia에 감염된 암컷과 Wolbachia 비감염 수컷조합의 내적자연증가율값(0.01)은 다른 조합(0.0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점박이응애 적합도의 발달과 진화가 저항성 수준과 Wolbachia 감염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18.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방사에 의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의 방제효과를 비닐하우스 재배 신선초(Angelica utilis)에서 조사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약성충을 7월 23일 당 25마리 방사했을 때 피해잎 4당 차응애 밀도는 7월 22일 25마리에서 9월 9일 0.4마리로 감소했으나 다시 10월 16일에는 9.3마리로 증가했다. 차응애의 밀도는 8월 13일로부터 10월 1일까지 낮았다.
        4,000원
        19.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의 5개 차재배지에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를 채?하여 7종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살비제의 종류 또는 지역 계통별로 상당한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전과 제주 계통은 azocylotin, tebufenpyrad, fenpytoxi-mate, propargite 와 fenpropathrin에 대해 , 해남 계통은 propargite와 fenyroximate에 대하여 , 보성 계통은 propargite에 대해, 영암계통은 pyidaben에 대하여 저항성비 20이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성전과 제주계통에 있어서는 다른 대체살비제들의 사용이 요망된다. 그러나 해남, 보성, 영암 계통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차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과 캐나다는 한국에 분포하는 잎응애속(Tetranychus)중 범세계적 분포종인 점박이응애(T. urticae Koch)를 제외한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ensis Zacher), 차응애(T. kanzawai Kishida), 뽕나무응애(T. truncatus Ehara)를 검역대항으로 하고 있다. 잎응애속 응애들은 암컷성충으로 월동휴면에 들어가는데 기존의 수컷생색기의 형태를 위주로 한 동정방법으로는 이 휴면태의 암컷을 정확히 동정하기 어렵다. 월동을 위해 사과 과실 꼭지부에 우발적으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되는 잎응애속 응애들의 월동휴면태에 대한 신속, 정확한 동정법이 수출검역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사과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와 과수원 주변에서 발견되는 벚나무응애, 뽕나무응애, 차응애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증폭된 DNA의 종간 변이를 이용하여 발육영기나 암수에 관계없이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쌍의 primer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일부(680 bp)를 중복되게 증폭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제한효소 AluI, DdeI, Sau3A 대하여 응애종간 특이적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특이적 DNA 단편은 Tetranychus 응애류를 동정하는데 유용한 표식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증폭한 CO-I 유전자내의 제한효소 인식부위에 대한 이들 4종 응애의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였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