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자평진전에 나타난 유력(有力)⋅무력(無力) 개념의 이론적 의 미와 해석 기준을 체계화하고, 유력⋅무력 사주 사례 분석을 통해 통변(通辯)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명리 해석과 상담에서 이 개념이 갖는 의미와 확 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력한 사주 사례로는 식신제살(食神制殺)과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있다. 식 신제살은 강한 일간이 식신으로 칠살을 제어하는 구조로, 실행력과 위기 대응 능력이 뛰어나 실무⋅보안⋅상담 분야에 적합하다. 관인상생은 관성이 인성을 통해 조화롭게 작용하는 구조로, 신뢰 기반 리더십을 바탕으로 공직⋅교육⋅법 조 등 제도권 직무에 어울린다. 무력한 사주 사례로는 제살무력(制殺無力)과 무식상 편재격(無食傷編財格)이 있다. 제살무력은 칠살을 제어할 식신이 부 재하고 일간과 상신이 무력해 격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분석과 정리 중 심의 보조적 역할에 적합하다. 무식상 편재격은 식상이 없어 편재 운용이 어렵고 재성⋅관성 혼잡으로 환경 의존성이 높은 구조이므로 외부 자원에 따른 실적형 실무에 어울린다. 현대 사회는 유력하거나 무력한 사주라도 개인의 역량, 자원, 아비투스 등 에 따라 적용되는 방식이 달라지므로 유연한 통변(通辯)이 필요하다.
Periodon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ive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 and alveolar bone loss. To develop effective treatment strategies, a model that mimics this disease must be implemented. From this perspective, animal models can be used to investigate its mechanisms by reproducing disease progression and providing insights into host-microbe interactions, immune responses, and bone remodeling. In addition, periodontitis-associated bone loss fundamentally differs from systemic bone loss. Targeted treatments require distinguishing periodontitis-induced and systemic bone loss mechanisms. This review examines the rationale for using animal models in periodontal research and evaluates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es, such as bacterial inoculation,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and chemically induced inflammation. These models have advanced our understanding of periodontal disease but have limitations in replicating the chronic nature of periodontitis and human immune responses. However, current models cannot fully replicate chronic disease progression and human immune responses. Recent developments have focused on improving animal models to more accurately simulate disease progression and host responses, which has led to the elucidation of the immunomodulatory mechanisms of periodontitis and their relevance to the human dental environment. Moreover, new approaches, such as developing age-related periodontitis models and improving ligature techniques, could enhance experimental reproducibility and translational potential.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reflect these improvements and enhance the clinical relevance of periodontitis models.
딥페이크란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합성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미디어로서 실제 존재하지 않거나 발생하지 않은 사건 등을 묘사한 것을 뜻하며, 창의적인 콘텐츠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 께, 여론조작을 통한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범죄에의 활용 등 여러 사회적 위험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딥페이크 기술의 악의적 활용의 위험성에 기초하여 딥페이크 기술 이용에 대한 규제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이 인공지능 기술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해 본다. 이를 위하여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하는 행위의 위험에 대하여 살 펴보고, 이에 관련된 국내외 입법동향 및 딥페이크 기술 일반에 관련된 전 반적인 대응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딥페이크의 일반 규제를 위해서는 딥페이크에 대한 규제내용을 담은 기 본법이 필요하며, 딥페이크의 특징인 허위성, 미디어의 파급력, 디지털 형 식의 빠른 유포를 고려한 고려한 규제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딥페이 크 생성물에 대한 표시강제제도 도입, 악의적 딥페이크의 유통 금지, 그 외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의무로서 사전 모니터링 및 자율규제, 피해자 지원 을 위한 신속 삭제 등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입법 및 개발자와 온라인 플 랫폼 업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칭연구의 다변화 및 경영학연구에서 코칭접근의 활성화를 도모 하기 위해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영학적’으로 접근한 전체 발간 논문의 수와 발간학회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한 결과, 2010년에 1편으로 시작하여 2023년에는 9편으로 점증하였다. ’코칭관련 학회에서 발간된 ‘경영학적 접근’의 연구 동향을 알기 위해 4개 학 회에서 발간된 전체 논문 493편을 대상으로 한국경영학회 편집위원회에서 구분 한 ①경영전략 ②경영정보 ③국제경영 ④마케팅 ⑤생산계량 ⑥인사조직 ⑦재무 관리 ⑧회계 ⑨융합에 준해 빈도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6년부터∼2024년까지 발간된 논문 중, 동향은 인사조직, 융합, 경영전략, 경영정보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학적 접근’에 따른 ‘주제어(keyword)’의 구성 동향을 알기 위해 개별 논 문의 초록에 제시된 ‘주제어’를 중심으로 빈도분석한 결과, 조직몰입, 코칭리더 십, 코칭,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혁신행동의 순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 먼트, 자기효능감, 코칭역량,조직성과은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회의 설립 목적과 특성을 고려한 경영학적 연구를 강화할 필요성이 크며, 특히 ‘융합’적 연구가 확충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이 직면한 대북 딜레마를 분석하고,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흔히 혈맹관계로 인식되지만, 중국은 이를 부인하고 전통 적 우호관계로 규정한다. 시진핑 집권 초기 중국은 북핵문제와 북한문제 를 동일시 하였고, 북한의 무력도발로 인해 북중관계는 악화되었다. 그러 나 2018년 이후 중국은 북핵 문제와 북한 문제를 분리하여 접근하기 시 작하였고, 북중관계는 다시 회복된다. 중국은 주변외교를 강화하는 한편 북한을 운명공동체로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 다. 특히 운명공동체는 ‘풍우동주’ 및 ‘휴척여공’의 개념으로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 외에 군사 영역까지 포함하는 매우 적극적인 관계 의 형태이다. 중국의 대북 딜레마는 여전히 존재하고, 북한의 정치상황과 미중관계의 변화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대북 접근법에 대해 새로 운 관점이 필요하다.
The Earth’s radiation belts, which extend from near the Earth to approximately geosynchronous orbit, contain highly energetic particles that actively interact with various plasma waves. This study reviews two numerical approaches to studying waveparticle interactions in the Earth’s radiation belts and discusses their respective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 first approach involves diffusion simulations based on quasi-linear theory, which is well-suited for describing the collective dynamics of many particles from a statistical perspective. The second approach, test particle simulation, focuses on the detailed motion of individual particles, revealing nonlinear phenomena such as phase trapping and bunching. Both methods allow for the derivation of diffusion coefficients, which quantify the timescale of wave-particle interactions and help explain how particles either precipitate into the atmosphere or accelerate to higher energies in the Earth’s radiation belts. Additionally, these methodologies can be adapted to study the dynamics of planetary radiation belts, such as those around Jupiter and Saturn, by adjusting for the specific environmental parameters of each planet.
Fueled by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AI standardization, including those by the European Commission,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is study introduces a AI-driven framework for analyzing advancements in drone technology. Utilizing project data retrieved from the NTIS DB via the “drone” keyword, the framework employs a diverse toolkit of supervised learning methods (Keras MLP, XGboost, LightGBM, and CatBoost) enhanced by BERTopic (natural language analysis tool). This multifaceted approach ensures both comprehensive data quality evaluation and in-depth structural analysis of documents. Furthermore, a 6T-based classification method refines non-applicable data for year-on-year AI analysis, demonstrably improving accuracy as measured by accuracy metric. Utilizing AI’s power, including GPT-4, this research unveils year-on-year trends in emerging keywords and employs them to generate detailed summaries, enabling efficient processing of large text datasets and offering an AI analysis system applicable to policy domains. Notably, this study not only advances methodologies aligned with AI Act standards but also lays the groundwork for responsible AI implementation through analysis of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s.
최근 가로수, 공원 등에 수목이 많이 식재되어 우리 생활 주변에 녹지가 조성되고 있었고, 이를 생활권 수목 또는 도시숲으로 불리다. 이러한 생활권 수목의 증가로 따른 현상으로, 대상 수목을 가해하는 해충 또한 증가하였 다. 생활권 해충에 대한 방제 수단으로는 농약 살포, 나무 주사 등의 화학적 방제법이 있으나, 생활권 주변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농약 살포나 나무주사 등은 바람직한 방제 수단으로 여기기 어렵다. 이에,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중의 하나인 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법이 하나의 대안으로 판단되어 수목 해충 중 나비목 해충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적용해 보았다. 대상 수목과 해충으로는 무궁화-큰붉은잎밤나방, 동백나무-차독나방, 왕벚나무- 복숭아유리나방으로, 잎을 가해하는 해충 2종과, 천공성 해충 1종을 선택하였다. 큰붉은잎밤나방은 무궁화의 가장 큰 식엽성 해충이다. 차독나방은 남부지역 동백나무에 발생하는 식엽성 해충으로, 접촉시 피부염을 일으켜 일부 관광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복숭아유리나방은 줄기를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으로, 화학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본 발표에서는 큰붉은잎밤나방, 차독나방, 복숭아유리나방의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방제 효과와 방제 효과 평가법에 대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use of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approaches in online instructional videos in a fully online asynchronous learning context across four different grammar lesson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analyze two aspects about these two options for grammar instruction; their impacts on effectiveness in learning the grammar, and also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wo options in terms of interest, effectiveness, and difficulty. To address these research aims,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where 8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was taught via only deductive instruction or only inductive instruction. As for the results, regarding effectiveness, an ANCOVA test resulted in no differences when comparing across all four lessons combined. Furthermore, Mann-Whitney U tests indicated no difference in effectiveness for each individual grammar lesson. Regarding student perceptions, ANOVA tests indicated no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interest, effectiveness, or difficulty.
Cerebral palsy (CP) is a prevalent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motor and postural impairments caused by central nervous system dysfunction. It significantly impacts children’s da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Physical therapy is a cru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P that aims to improve motor skills and functional abiliti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holistic physical therapy approaches methods specifically designed for children with CP and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and their implications for optimizing outcomes in this population. This study employed a narrative review approach, conducting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urrent literature pertaining to physical therapy methods for children with CP. The review encompassed studies exploring assessment techniques,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nd innovative approaches in the field. It was discerned that encompassing physical therapy strategies, which encompass individualized treatment plans,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nd the integration of innovative techniques, yiel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motor skills and functional capacities of children with CP. This review synthesizes the current knowledge on effective physic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CP. Furthermore, this review highlights the need for continu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field of pediatric physical therapy for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