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지속적인 증가로 해양의 수온 상승 및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주변 해역은 온 난화와 산성화가 더욱 가속화되어 연안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연간 우점하는 규조류 Chaetoceros constrictus를 단일종 배양체로 분리하여 수온 (20, 22,5, 25°C)과 pH (8.6, 7.6, 6.6, 6.1) 변화에 따른 성장 반응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온이 증가할수록 성장률이 급격히 감소하고 최대 세포밀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되었으며, 특히 25℃에서는 최대 세포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성장에서는 pH가 낮아질수록 성장률과 최대 세포밀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온 변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C. constrictus가 20℃와 pH 8.6의 조건에서 가장 적합한 성장을 보이는 것을 시사하며, 수온 증가가 규조류 성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온도와 pH 변화에 따른 생리적 스트레스와 적응 기작의 차이를 반영하며, 기후 변화 가 해양 생태계와 생물학적 탄소 펌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ew automated coliform enumeration system (TEMPO® CC) for the quantitative test of coliform bacteria contaminated in domestic livestock processed foods, a total of 507 samples of livestock foods were tested by the TEMPO® CC method, the most probable number (MPN) method, and Petrifilm metho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ose three method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Of 507 samples of livestock processed foods used in this study, 217 samples were contaminated artificially with coliform bacteria and the rest (n=290) were contaminated naturally. The results of the TEMPO® CC method for all samples were equivalent to those obtained from the MPN method, except 8 samples. In addition, 496 (97.8%) out of 507 samples made agreement between the TEMPO® CC method and the Petrifilm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MPO® CC and MPN methods as well as between TEMPO® CC method and Petrifilm method were above 0.9, and the slope and intercept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different in less than 1 value. In conclu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levels of performance between the TEMPO® CC and the reference and alternative methods for the enumeration of coliform bacteria in livestock processed foods in this study.
CC 프로세스는 부가 구성물들뿐만이 아니라 전체구조물을 자동화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새로운 Trowel 메카니즘이 3D 자유형상을 만들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 논문은 선회하는 Side towel을 사용하여 3D 자유곡면의 제작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 및 개념을 보여준다. 특히, ceramics 재료를 이용하여 실험과 개발과정, 및 장래의 적용범위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논문은 Contour Crafting(CC) 프로세스의 압출과 적층 단계에서 물질 흐름의 형태를 연구하기 위한 실험과 모델링을 보여준다. 특히, 실험재료로써 진흙을 이용한 압출과 적층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유한성분분석(FEA)을 실행하였다. FEA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CC의 성능에 있어서 압출구멍의 기하학적인 효과에 대한 분명하고 기본적인 이해를 하게 되었다. 네모난 형상이 원하는 외부 표면특성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그리고 층간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end of biometrics-related product standardization in the world and that of Korea, and to suggest ideal directions and building plans for domestic biometrics industry. Its purpose also includes constructing promptly a standardization of domestic biometrics industry based on the suggested standards.
국제 공통평가기준(CC)은 정보보호제품의 개발. 평가. 사용을 위한 ISO 15048 국제 표준이다. 국제 공통평가기준의 제 2 부 보안기능 요구사항은 정보보호제품의 보안 기능을 11개 클래스로 분류하였고, 13개국 인증제품 상호승인 협정(MRA)에 의하여 교차 사용이 가능한 평가된 보안제품을 해설할 수 있는 공통 언어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보호프로파일(PP)은 특정형태의 제품군이 지녀야 할 보안 목적을 사용자 그룹에서 요구한 명세서이다. 보호프로파일은
디지털콘텐츠 산업분류체계를 비롯한 기존 방식으로는 현재의 디지털콘텐츠를 통찰력 있게 보기 힘듭니다. 이는 디지털콘텐츠 일반에 대한 인식의 틀이 부실한 탓입니다. 넓은 의미의 텍스트에서, 시점(視點)은 인식의 틀입니다. 문학과 미술, 영화와 관련된 콘텐츠 하부영역에서는 시점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시점 연구결과들을 통합하고 정리하여 디지털콘텐츠에 접목시켰습니다. 연구자는 콘텐츠와 그것의 사용자에 대한 관계를 두가지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하나는 콘텐츠와 사용자 자아인 페르소나 사이에 성립되는 '맥락인지적시점(ContextualView)'이고 나머지 하나는 콘텐츠를 비추는 눈인 '시각적시점(CameraView)'입니다. 맥락인지적시점은다시 '인물', '상대', '관객'으로 구분하였고 시각적시점은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으로구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를 씨실과 날실로 연결하여 'CCmatrix'라 하였습니다. 그리고 월드 오브워크래프트를 'CCmatrix'로 분석하고 캐릭터 수준별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였습니다. 또 다른 활용으로는 디지털콘텐츠의 시점역사를 정리하고 활용가능성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