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ge-stage two sex life table was constructed for a predatory lacewing, Chrysoperla carnea feeding on 3 different canola feeding aphids; mealy cabbage aphids, Brevicoryne brassicae (L.), mustard aphi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and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t 25± 1oC and 65 ± 1% RH. The immature development duration was shortest on M. persicae (17.3 days). While, C. carnea completed its immature developmental period in 21.1 days, which was longest among other, tested aphids. Similarly, survival of C. carnea was higher on feeding M. persicae and lowest on L. erysimi. Female egg laying of predator was also higher on M. persicae, followed by B. brassicae and L. erysimi. These results show that M. persicae favors the quick development and higher reproduction of C. carnea as compared to B. breassicae and L. erysimi. This information is useful in relation to mass rearing of C. carnea and in biological control of canola aphids by using C. carnea.
        4.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화석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악화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에너지 절약 및 배출가스의 저감은 동시에 해결해야 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연료는 대체연료의 하나로서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먼레일 터보과급디젤기관에서 카놀라유 바이오디젤연료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연료는 ULSD(초저황 디젤유), BD20(체적비로 20%인 카놀라유와 80% 디젤유 혼합) 및 PCO(순수한 카놀라유)를 사용하였다. 카놀라유 바이오디젤연료의 혼합율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상물질(PM)과 일산화탄소 (CO)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질소산화물(NOx)은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4,000원
        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canola oil biodiesel (BD) blended fuel on the combustion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4-cylinder common-rail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In this study, with the increasing of engine loads, the biodiesel blend fuels(100 vol.% ULSD and 0 vol.% biodiesel blend, BD0; 80 vol.% ULSD and 20 vol.% biodiesel blend, BD20; 0 vol.% ULSD and 100 vol.% biodiesel blend, BD100; ULSD: ultra low sulfur diesel) were used at an engine speed of 1,500rp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increasing of biodiesel blend rate, the combustion pressure decreased slightly at engine load of 20~60Nm. However, the rate of heat release (ROHR) increased clearly and ignition delay time was shortened. With the increasing of biodiesel blend rate, the carbon monoxide (CO) and particulate matter (PM) emissions were more decreased at all of the engine loads.
        4,000원
        6.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se as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we analyzed the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organic compounds, minerals and vitamin C of canola honey which were produced in South Korea. The condensed rate of methanol extraction in honey was 90.5% and main organic compounds that extract by organic solvents in GC-MS analysis were propyl carbinol, cyclopentane, trichloromethane, vinegar naphtha and so on. Also, main aromatic compounds that extract by organic solvents in SPME analysis were diisooctyl adipate, furole, furaldehyde, cyclotetrasiloxane, trisulfide and many more. As proximate composition, crude ash content was lower than acacia honey (0.06%) and manuka honey (0.24%) by 0.01%, and crude protein was higher than acacia honey (0.10%) by 0.23%, but the crude fat of canola and manuka honey was lower content than acacia honey (0.44%) by 0.10%. Free sugar that analyze by HPLC consisted of fructose 44.11%, glucose 22.72%, and total sugars was 66.83%. Minerals by ICP analysis were detected total 15 kinds, Na 7.157 ppm>Ca 5.934 ppm>Si 4.049 ppm>K 1.443 ppm>Mg 1.218 ppm etc. Vitamin C was not detected.
        4,000원
        8.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nola(Brassica napus) 엽에서 추출한 미세막으로부터 PEG-dextran 2상분획법을 이용하여 세포막과 세포내막을 분리하였다. U2 상에 있는 원형질막의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미세막에 비하여 25℃에서 자란 canola는 6.6배, 10℃에서 4.6배 각각 증가되었다. 원형질막(U2)은 미세막이나 세포내막(L2) 보다 cytochrome-c-oxidase 활성이 적게 나타난 반면, 세포내막에서는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10℃에서 생장한 canola의 18:3/18:2 률은 25℃보다 29.2% 더 높게 나타났다. 원형질막의 2중결합지수는 10℃에서 생장한 canola가 25℃에서 생장한 것보다 8.9% 더 증가되었으며 세포내막에서도 같은 경향으로써 10℃에서 19.7% 더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10℃에서 생장한 것이 25℃에 비하여 17.3% 낮았다. Canola가 저온에서 생장시 주로 C18 지방산들이 변화되어, 세포막 내에 불포화 지방산이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리롤렌산(18:3)이 크게 변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생리적으로 canola의 세포막이 저온에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추정된다.
        4,000원
        9.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용매별(methanol, ethanol, acetone 및 water)로 추출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canola meal 용매 추출물들은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낮은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0.9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3.5 m
        10.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soil properties and nutrient availability are not well documented for cassava cultivation in Vietnam. In 1990, a field research plots were established with 12 treatments to test the effect of different rates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on soil properties in Acrisols at Thai Nguyen University in Northern Vietnam. In 1999, composite soil samples (0 to 20cm depth) were collected from eight selected plots for measurements of nutrient supply rates by ion exchange membrane probes and for growing corn and canola in a growth chamber with and without added lime. Generally, long-term nitrogen (N) fertilization increased available N supply rates but decreased available potassium (K) and magnesium (Mg). Long-term phosphorus(P) applications increased canola N, calcium (Ca) and Mg uptake. Canola P uptake increased with increased P rates only when lime was added. Long-term K applications increased canola N, K, Ca, Mg uptake but only significantly increased corn N uptake. Liming significantly increased uptake of N, P, K, Ca, Mg and S for both corn and canola. However, N H4- N, K and Mg soil supply rates were reduced when lime was added, due to competition between Ca from the added lime and other nutrients.
        11.
        199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most attractive short-term possibilities for increasing freezing tolerance of winter crops may be the application of chemica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wo plant growth regulators. Terpal-C and Cerone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Three cultivars were planted on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onimy Farm at East Lansing. MI. on Sept. 10. 1992 and 1993 Chemicals were applied to one-month-old plants when they reached the 5 leaf stage. Ion leakage tests for freezing toleranc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chemical treatment. Winter survival was evaluated by counting the plant standing in the fall and spring. Neither of the chemicals. Terpal-C. inhibited natural cold hardening.
        12.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종시기는 작물의 월동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본 실험은 케놀라의 파종시기에 따른 내동성의 증가형태 및 이러한 내동성이 궁극적으로 월동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여섯 가지의 케놀라 품종을 8워 25일, 9월 10일과 9월 25일의 세 파종시기로 구분하여 포장에 파종하였으며, 파종 후 15일 간격으로 11월 중순까지 잎 표본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elec-troleakage test 법에 의하여 내동성을 측정하였으며, 월동율은 포장상태에서 가을과 봄에 걸쳐 살아있는 개체수를 세어서 산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내동성이 증가하는 형태는 파종시기에 따른 양태를 보였는데, 일찍 파종할수록 생육기 전반에 있어서 내동성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 반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는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식물체의 생장정도에 따라 저온에 반응하여 내동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2. 세 파종시기에 있어서 공히 내동성의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기간은 기온이 케놀라의 저온적응에 알맞은 2∼5일 때임을 미루어 볼 때 식물체의 저온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저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3. 내동성과 월동율은 긴밀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내동성이 월동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러한 실내에서의 내동성측정이 월동율 향상을 위한 육종도구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장상태에서의 케놀라의 저온반응성 유전자인 BN28 과 BNl15 의 발현정도와 그 유전자들의 내 동성에 대한 역할을 구명하기 위하여 6개 품종 ( WRG86, CDH3, Dusul Ceres, Accord, KWC-4113)을 파종기를 달리 하여 파종하고 파종후 15일 간격으로 Sample를 채취하여 RNA를 추출하고 northern blot analysis로써 두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두 유전자의 발현시 기는 내동성이 증가하는 시기보다 조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물체가 내동성을 얻기 위하여 이 유전자의 발현을 필요로 하거나 혹은 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요인중 온도 이외의 환경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전자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가 세 파종시기 처리에 있어서 일치하는 점과 또한 내동성의 급격한 증가시기와 일치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저온인 것으로 생각된다. 2. 발현양식에 있어서 두 유전자간의 차이가 관찰 되었는데 이는 두 유전자가 각각 다른 조절기작을 통하여 발현이 통제되는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포장에서의 발현양식은 실험실에서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전자가 발현되어 증가되는 시기는 식물체의 내동성이 증가되는 시기와 일치되었다. 하지만 특정한 시점에 있어서 각 품종간의 내동성의 정도와 유전자 발현정도는 일치하지 아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