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brasion characteristics of coarse aggregate using the Los Angeles (L.A.) abrasion test and the accelerated polishing machine (APM) test. The coarse aggregates are randomly exposed on the surface of asphalt concrete pavements and on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s. The exposed aggregat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kid resistance. Therefore, the adequate abrasion resistance of coarse aggregate must be ensured to maintain the skid resistance during service life. In Korea, the LA abrasion test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KS F 2508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abrasion resistance of coarse aggregate. However, the road surface abrasion is caus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structure; hence, whether the LA abrasion test, which evaluates the abrasion caused by the impact of coarse aggregates and steel balls, can evaluate the road surface abrasion is questionable. A comparison and an analysis between the APM and LA abrasion tests were conducted herein to evaluate the road abrasion. A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analyze whether the abra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arse aggregate.
METHODS: The results of the APM and LA abrasion tests for various aggregate types were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and literature revie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 abrasion loss and the PV data was derive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aggregate type on the abrasion resistance was investigated.
RESULTS : An abrasion resistance database was establish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ck types and the abrasion resistance was statistically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V was increased to 0.54 along with a 1% increasing rate of the LA abrasion loss with a 0.67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abrasion resistance was also influenced by the aggregate type, which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PV and the LA abrasion loss was obtained, allowing the use of the LA abrasion test (KS F 2508) alone, to reasonably evaluate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xposed aggregate texture. The aggregate types were also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abrasion resistance.
PURPOSES :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s have been adopted in several countries because of their advantages of pavement texture characteristics, which can produce low tire-pavement noise and higher load-carrying capacities. The magnitude of tire-pavement noise greatly depends on the wavelength of pavement texture. The wavelength of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can be controlled with maximum sizing an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oarse aggregates in the concrete mixture. In this study, the maximum size and the amount of coarse aggregate in the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are investigated to produce equal levels of wavelength in the asphalt pavement.
METHODS: A simple method to measure the average wavelength of pavement texture is introduced. Subsequently, the average wavelength of typical asphalt pavement is investigated. A set of mixture designs of exposed aggregate concrete with three maximum-sized coarse aggregates, and three amounts of coarse aggregate are used. The average wavelengths are measured to find the mixture design needed to produce equal levels of wavelength as typical asphalt pavement.
RESULTS : With a cement content of 420 kg/m3 and fine aggregate modulus of 30%, the number of exposed aggregates was 48, and the shortest texture depth provided a wavelength of 4.2 mm.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posed aggregates, the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could be rendered low-noise, because its wavelength was similar to that of asphalt pavement ranging from 3.9 to 4.4 mm.
CONCLUSIONS : Selection of appropriate maximum sizes and the amount of coarse aggregates for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can produce a wavelength texture closely resembling that of asphalt pavement. Therefore, the noise level of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can be reduced with an appropriate maximum size and the amount of coarse aggregates are employed.
콘크리트에서 강도는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에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것이 골재이다. 또한 시멘트는 콘크리트 만드는 결합재로서 이 역시 강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골재와 시멘트의 특성이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전단파 속도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굵은 골재 최대치수와 시멘트 종류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멘트는 1종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했고, 골재는 서로 다른 지역의 3가지 골재를 사용하였다. 골재의 입도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 19mm와 13mm의 단입도 골재를 사용하여 동일 배합시 압축강도와 전단파 속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골재의 특성을 정량화 하고자 LA마모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와 전단파 속도의 상관관계는 시멘트 종류에 따라 달랐으나, 골재의 종류, 입도 및 마모감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은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며 균열의 원인이 되어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수축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골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변형을 구속하여 수축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골재의 특성은 수축 현상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한편, 골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천연 골재 대체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되는 재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 트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수축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기존 예측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함에 따라 수축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수축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모델과의 비교 시 건조수축과 자기수축 각각 GL2000 모델과 Tazawa 모델이 가장 유사한 예측값을 나타냈으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골재 및 혼화재의 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 특성이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높은 밀도를 가진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 건조수축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적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건조수축 발생량이 저감되었으며, 이는 일반 골재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진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골재는 다량의 부착모르타르를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감소, 내구성 저하,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에 고로슬래그미분말(GGBFS)을 0 및 50% 대체한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대한 나일론섬유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섬유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섬유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나일론섬유를 0 및 0.6kg/m3 두 단계로 혼입하여 소정의 재령동안 수중양생하였다. 제조된 콘크리트의 압축 및 쪼갬 인장강도, 투수공극량 및 총통과전하량을 측정하여 섬유보강 부순골재 콘크리트의 성능과 비교, 고찰하였다. 또, 재령 28일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SEM 기법을 이용하여 미세조직구조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순환골재 콘크리트는 부순골재 콘크리트에 비하여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나일론섬유를 혼입할 경우, 나일론 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F2(19 mm)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NF1(6 mm)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역학적 성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RA 콘크리트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 휨강도에 비하여 전단성능 저하가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섬유를 콘크리트 보강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SFRC 보의 전단실험을 통하여 강도 및 변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강섬유 혼입률(0, 0.5%, 1%), 순환골재 치환율(0%, 100%), 전단경간비(a/d = 1, 2) 등이다. 실험결과 실험에 의한 전단강도는 강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전단경간비가 작아질수록 증가하였다. 강섬유 1% 혼입한 순환골재의 경우 일반 골재에 비해 최대전단내력이 1.77~6.25% 증가한 반면에 강섬유 0∼0.5% 혼입한 실험체에서는 일반골재에 비해 순환골재가 24.2%∼49.2%의 전단강도가 저하되었다. 이를 볼 때 1% 강섬유 보강에 의하여 순환골재 사용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콘크리트 배합 방식(NMA, TSMA1, TSMA2)에 따른 순환 굵은골재 치환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다. 실험은 순환 굵은골재를 0%, 50%, 100%로 3수준으로 콘크리트의 배합 방식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공기량, 슬럼프, 단위용적질량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경화 콘크리트에서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NMA 방식과 비교하여 TSMA 방식에서 강도 저하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순환 굵은골재가 다량 치환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 굵은골재가 다량 치환됨에 따라 슬럼프 증진, 공기량 증진, 강도 저하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ncrete beams containing recycled aggregate was evaluated. The test variable are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tent of 0, 30, 50, and 1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concrete beam underestimates the actual flexural strength.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were evaluated by making 50% and 100% admixture ratio of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through nano bubble carbonation modification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Impact fractur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The types of fiber are Hooked-ended steel fiber and it was mixed 0.5, 1.0 vol.% in concrete and 1.0, 2.0 vol.% in cement composites. The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fracture grade, penetration depth and scabbing depth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were evaluated by making 50% and 100% admixture ratio of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through nano bubble carbonation modification.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Impact fractur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The types of fiber are Hooked-ended steel fiber and it was mixed 0.5, 1.0 vol.% in concrete and 1.0, 2.0 vol.% in cement composites. The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fracture grade, penetration depth and scabbing depth
In construction industry, large scales of construction waste has been produced with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but its efficient reutilization has not been sufficient yet. Therefore, this study has a main objective of using high volume of recycled aggregate by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lacement ratio of natural coarse aggregate by recycled one on the strength of concrete.
본 연구에서는 고압송용 고유동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펌프압송시 압송관내 콘크리트가 받는 압력을 재 현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펌프압송할 경우 발생되는 품질변화의 원인 중 압력에 의한 단위수량 감소에 중점을 두어 가 압에 따른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흡수 특성 및 고유동콘크리트 내부 굵은골재의 흡수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고유동콘크리트의 가압 전·후 압 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250 bar의 높은 압력이 작용할 경우 부순굵은골재 및 강자갈의 흡수율은 표건 흡수율 이상으로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량굵은골재의 흡수율은 표건 흡수율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valuates the material performance of slump valu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hich was made by recycled sand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BFSP). The main variables are replacement ratio of BFSP.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is needed in long-term strength development and the compensation of slump value to the replacement ratio of BFSP.
So far, vario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published on recycled aggregates. But the structural use of recycled aggregates were very limited. To use a recycled coarse aggregate as structural materials,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were proceed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coarse aggre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