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oday’s project environment,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prompting a shift in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from a traditional process oriented approach to one that is principle and performance based, allowing for more flexible application across diverse industry contex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four key knowledge areas from the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stakeholder management, planning management, project work management, and delivery management on both project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the target sector and additionally analyzes whether project size and company size function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er level of maturity in the key knowledge areas leads to improved project and corporate performance, with such positive effects being particularly pronounced in large scale projects and large enterpri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four knowledge areas were found to be clos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roject performance but also with non-financial corporate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corporate image.
본고는 1960년대 군사정부 시기 한국 사회에서 마약이 통제와 처벌의 대상으로 제도화되고 반사회적 이미지로 고착되는 과정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틀에서 당대 모습을 고찰했다. 첫 째, 보건사회부, 국회, 대검찰청 자료 등 1차 사료를 활용해 당시 유통된 마약류와 그 통제과정을 검토했다. 그 결과 1960년대 초반까지 아편계 마약이 주류였으나 1961년 이후 정부의 강력한 단속과 처벌 강화로 그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었고, 1965년 제도적 허점을 틈타 정부의 마약 통 제를 우회한 합성마약 메사돈이 확산되면서 이후 마약문제가 더욱 다양 하고 복잡한 국면으로 전환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정부 공보자료, 대통 령 연설문, 신문자료 등을 분석해 군사정부가 마약문제를 인식하고 규정 하는 방식을 추적했다. 그 결과 정부가 경제개발을 통한 조국 근대화라 는 국가적 과제에 필요한 ‘건강한 국민’을 주조하는 과정에서 마약은 ‘3 대 사회악’, ‘5대 사회악’ 담론에 포함되며 반사회적·반국가적 이미지로 고착되었음을 밝혔다. 그것은 집권 명분 확보와 전 정권과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정치적 장치로 이용되었을 뿐 아니라 해방 후 짧은 시간 동안 분단과 전쟁, 경제개발 등의 역사적 변화를 압축적으로 경험하며 마약을 개인의 차원을 넘어 국가·민족적 생존의 문제와 연결해 받아들이는 한국 적 마약 인식의 특수한 경향을 만들어 내었다고도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statutory calculation standards and actual field conditions in estima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OSHME)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fixed-rate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type and cost, fails to account for on-site factors such as project complexity, duration, and workforce structure, often leading to discrepancies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costs. To address this, data from 21 completed projects over KRW 5 billion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including material and labor costs, project duration, floor area,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safety personne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and actual OSHME, and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95.3% of the variance (R2 = 0.953).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by addressing multicollinearity. The model offers practical value for early budgeting and supports policy improvements that align safety expenses with real on-site nee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status of major construction machines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generated by these machines. In addition, we tri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nstruction machine noise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oise level of the working breaker was the highest at 101.5 dB(A). This suggests that it can act as a major factor in the spread of noise to the residence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occurrence of civil complaints from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noise problem of construction machinery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noise management policies and system improvemen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carbon-based non-metallic catalysts in various fields, such as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electrocatalysis, thermal catalysis, and photocatalysis, owing to their uniqu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odifying carbon catalyst surfaces or incorporating non-metallic heteroatoms, such as nitrogen (N), phosphorus (P), boron (B), and sulfur (S), into the carbon structure has emerged as a promising approach to improve the catalytic performance. This method enables the adjustment of the electronic structure of the carbon catalyst's surface, leading to the formation of new active sites or the reduction of side reactions, ultimately enhancing the catalyst's performance. Here, the preparation methods for doped non-metallic heteroatom carbon catalysts have been systematically explored, encompassing techniques, such as impregnation, pyrolysi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nd templating. Finally, the existing challenges in the application of non-metallic atomic catalysts have been discussed, insights into potential future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new preparation methods of carbon catalysts in the future have been offered.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s amotivation in South Korean EFL students through the lens of activity theor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ged 10 to 16 years (Grades 4 to 10), to explore key psychological constructs, including the ideal L2 self, the ought-to L2 self, the perceived meaning of English learning, parental expectations, and social pressures. The findings reveal that motivation in L2 learning is contextually constructed and often shaped retrospectively rather than serving as a precursor to proficiency. Notably, some students with minimal motivation still achieved high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suggesting that motivation is not necessarily an antecedent of L2 success but rather an outcome shaped by broader socioeducational forces. This challenges conventional models that assume a direct causal link between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and sociohistorical influences in shaping L2 motivation and calls for a reevaluation of the rigid dichotomy between motivated and amotivated learners in competitive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choices and career aspiration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ith a particular focus on institutional responses to their evolving needs. Drawing on survey data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research identifies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major selection—such as language proficiency, information asymmetry, and perceived employability. It also examines the mismatch between students’ educational trajectories and career expectations. The findings reveal structural gaps in current academic support and career guidance systems, which hinder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professional integration. In response,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n exclusive academic program tailor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program emphasizes flexible curricula, integrated support services, and cross-cultural inclusivity. Finally, the study outlines strategic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institutional innovation, aiming to foster sustainable models of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with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도시정비사업에서 공사비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도면 확정전 면적 당 총액 계약을 하고 준공시점에 정산하는 방식을 진행하다보니, 초기계약단 계에서 세부내역서 부재로 정확한 공사비 확정이 안된 상태에서 향후 도면확 정으로 변경계약시에 조합과 시공사 간의 공사비 의견 차이가 큰 원인이다. 정 부는 이를 개선하고자 2019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공사비 검증 제도 를 신설하여 법적보호장치를 마련했지만 공사비 분쟁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행 「도시정비법」상 공사비 검증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부동산원 공사비 검증제도, 정비사업 표준계약서, 코디네이터 파견제도, 건설분쟁 조정위원회 등 현행 제 도의 내용과 문제점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부동산원 공사비 검증의 강제성 도입, 표준 공사계약서의 세부 내역서 포함, 코디네이터의 법적지위 보장, 건설분쟁 조정위원회의 조정 효력 강화 및 전문가 양성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했으며 개산견적을 활용한 세부내역서 작성방법을 도입하고 이에 초기계약에 적용하도록 법적강제성을 부 여하면 공사비 분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설계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민간공사의 단가도급 건축 인테리어 공사에서 각 공사의 기성율에 약정금액을 적용하여 공사대금을 산정하는 공사 대금 감정시, 설계 변경 전의 ‘미시공(제외) 물량’과 기시공 부분의 물량 증감에 대한 공사 내용을 내역서와 공정표를 기반으로 하여 약정금액을 감정인이 임 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를 단계별 COST & TIME TABLE분석을 통한 변경약정 금액 적용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계약 시 또는 공사중 변경 계약된 약정 총공사비를 기준으로 각 공정의 계획물 량과 실적물량을 종합하여 기성율을 산정하고 약정금액을 곱해 기성고 및 추 가공사대금을 산정한다. 기성고 공사대금 산정 시 약정을 우선하고 추가공사대금 약정이 되어 있지 않 더라도 감정 신청에 따라 추가 공사비 약정 존부를 법원에서 최종 결정하기 전 감정인이 추가 공사한 사실을 전제로 감정인이 감정서에 추가공사비의 기성율과 추가공사대금을 산출하게 되는데 각 공사대금의 약정금액은 기시공에 소요된 공사비 이외 설계변경 발생시 미시공(제외)물량과 물량증감, 기시공 중 철거후재시공, 변경시공, 기시공의 하자보수와 지연분석 및 공정표를 함께 고 려해서 최종 약정금액을 적용해야 한다.
고속국도 건설공사는 「국가계약법」에 따른 부합계약의 성격을 지닌 공공사업 으로, 발주기관의 우월한 지위와 계약 상대방의 책임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지 적되어 왔다. 특히 장기계속공사의 구조 하에서 발생하는 하자담보책임, 계약 단절 기간의 책임 문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정산 방식 등은 시공자의 부담 을 가중시키고 실무 현장의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속국도 건설공사의 제도적 구조를 분석하고, 현장에서 반복 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 시하였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정산 기준의 이중성, 하자담보책임기간 기산일 의 불합리성, 살수차 운용 기준의 비현실성, 비계 설치 기준의 미비, 장기계속 계약 차수 간 단절로 인한 무과실 책임 부담 등 주요 쟁점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관련 법령과 지침, 계약 문서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 였으며, 일부 쟁점에 대해서는 총괄계약의 법적 효력 부여, 계속비계약으로의 제도 전환 등 구조적 접근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건설계약의 형평성과 실효성을 제고하고, 고속국도 건설 현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 기 위한 정책적·법적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dentity category of “Korean” is constructed, represented, and ideologically reproduced in digital discourse. Focusing on user comments on the YouTube channel LEOTV, run by a Finnish creator residing in South Korea, the research drew on the concept of imagined communities and a post-essentialist view of identity to analyze how everyday discourse defines symbolic boundari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It critically examined how such discursive constructions differ from traditional, essentialist definitions based on ethnicity and bloodline. The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 identity is not a fixed attribute but a fluid construct shaped through linguistic and social practice. By identifying the discursive elements that index “Koreanness,” the study reveals how identity is negotiated rather than inherited. Furthermore, it uncovers the ideological power of discourse in maintaining in-group/out-group boundaries, showing that identity recognition is often governed by implicit norms and expectations that reproduce exclusion under the guise of cultural familiarity. This study highlights how identity in contemporary Korea is continually reshaped through everyday language and symbolic acts in digital spaces.
이 연구는 건설소송과 관련해 2025년부터 법원이 시행하는 감정관리센터 와 감정관리위원제도 운영방안에 관한 것이다. 감정관리센터는 그동안 재판부별 로 진행하던 감정인 후보자선정 및 감정절차 업무를 총괄하고, 감정관리위원 은 감정절차관리와 상임전문심리위원 업무를 병행하며 법관을 보조한다. 법원은 감정관리센터를 통해 적격한 감정인을 선정하여 소송기간을 단축시키 고, 감정의 신뢰도를 높이며, 감정인추천과정의 불공정에 대한 우려를 제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 확인된 건설감정의 문제와 해결방안 및 상임전문심리위원제도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감정관리센터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정관리센터 및 관계자 업무구분(감정관리위원 vs 상임전문심리위원, 감정관 리위원 vs 실무관), 감정관리 통합(감정관리센터 & 감정인등록), 감정인관리(감 정인자격 세분화, 감정평가기준 마련. 감정인등급제)와 건설감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감정인교육을 통해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소송기간단축과 더불 어 건설감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어에서 “你什么时候来了?”와 같은 ‘의문사+VP+了’ 형식의 표현은 ‘是……的’ 구문의 오류 유형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는데,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의문사와 ‘了’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是…… 的’ 구문과 비교해 볼 때, 초점 범위와 담화 전제에 차이를 보이며 본질적으로 상이 한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了’는 의문사 구문의 초점 구조를 재 편성하며, 주로 ‘의외성’과 ‘반문’의 의미를 함축한 간접화행으로 실현된다. 화용적 측 면의 역할에 맞춰 ‘是……的’ 구문과 ‘의문사+VP+了’ 구문을 이해하자면, 전자는 정 보의 전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감정과 태도의 전달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 담화적 필요에 의한 사용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에게 서 자주 보이는 ‘了’의 대치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차별적 활용 원리를 제시할 수 있 으며, 문법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화용적 맥락의 인식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 한다.
This paper examines recent trends in stadium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a comprehensive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It highlights the innovative use of advanced building materials, such as high-performance composites and sustainable concrete mixes, which enhance structural integrity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The integration of smart technologies—including IoT technologi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digital twin—is explored for its role in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safety, and maintenance processes. Additionally, th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engineering techniques like seismic design, advanced AI-based structural analysis, which streamline construction processes and optimize resource usage. Emphasizing sustainability, the paper also discusses strategies for energy-efficient designs and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Overall, the findings demonstrate how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ing material science, smart technology, and sustainable engineering are shaping the future of stadium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