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5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Under the Traffic Safety Act,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facilities and attachm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ransportation, such as roads, railways, and terminals) must take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raffic safety, such as enhancing safety facilities. Recently, railway operators have graded the congestion level inside railway stations and vehicles, addressing safety and convenience issues arising from congestion and providing this information to users. However, for bus-related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bus stops, terminals, and transfer facilities), criteria and related research for assessing traffic congestion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for the congestion risk factors of four bus-relate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proposed criteria for classifying congestion risk levels.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selecting congestion risk influence variables for each traffic facility through field surveys, calculating congestion risk index values through evacuation and pedestrian simulations, and constructing a congestion risk influence model based on the ridge model. RESULTS : The factors influencing congestion were selected to include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effective sidewalk width, and number of bus stops. As a result of developing congestion risk grades, the central bus stops were determined to be in a severe stage if the Average Waiting Time (AWT) was 2.7 or above. Roadside bus stops were considered severe at 4.2, underground metropolitan transit centers at 3.7, and bus terminals at 5.9 or above. CONCLUSIONS :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gested areas in transportation facilities. When the congestion risk prediction results correspond to cautionary or severe levels, measures that can reduce congestion risk must be applied to ensure the safety of road users.
        4,000원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는 강재 대비 약 4배의 강도와 25% 수준의 경량성을 보 유한 신소재 복합재료이며, 부식과 같은 화학적 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 해 전 세계적으로 부식에 취약한 철근의 대체재로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CFPR 보강재에 대한 성능 평가의 경우, 재료의 단편적인 물성치 조사를 통한 단기 성능 평가(인 장 등)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고 있어, 보강된 RC(Reinforced Concrete) 구조물 내 장기 거동 특성(피 로 등)이 반영된 CFRP 보강재 자체의 성능 검증이나 품질 기준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 구에서는 기존의 단기 성능 평가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건설 산업 분야에 서 상용화된 건설용 CFRP의 장기 거동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RC 구조물 내 ‧ 외부에 보강된 CFRP 보강재의 실제 하중 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ASTM D7772 및 D6272를 바 탕으로 4점 휨 시험 기반 휨-인장 피로 시험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섬유 함침율이 50%인 CFRP 시편 을 대상으로 3, 5, 7, 9mm의 변위 하중을 고려하여 보강재의 장기 거동 분석 및 피로 성능 한계 곡 선(r-N curve)을 구성하였다. FRP의 피로 거동은 유효 응력이 감소하다 일정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 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CFRP 시편의 피로 파괴를 초기 응력이 80% 감 소된 시점으로 정의하여 피로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결과, CFRP 보강재의 피로 거동은 하중이 급 격하게 감소하는 영역(영역 I), 변곡점 이후 감소가 미미한 영역(영역 II), 변곡점 이후 감소가 미미한 영역(영역 III)으로 구분되었다. 평균적으로 약 105 사이클까지 영역 I를 보였으며, 이후 영역 II와 영역 III가 순차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r-N curve를 구성하였으며, 이 를 기준으로 상용 CFRP 보강재의 피로 성능 합불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5.
        2024.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rength criteria is the acceptable strength for allowable a vehicle start on a concrete pavement at an early age without causing significant damage. The different agencies have provided the strength criteria based on empirical judgement. To make more comprehensive, the ACI specification provided strength criteria by consideration traffic conditions, slab thicknesses, and slab support based on the concept of damage. However, its neglected to consider the damage caused by curling stress due to temperature gradient in concrete pavement.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strength criteria for opening traffic on concrete pavement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damage caused by curling stress and traffic loading. The tensile stress at critical locations was determine due to curling and traffic loads every hour of early age throughout different seasons. The fatigue damage taken throughout early age was assessed. After this procedure, the strength criteria was established as the evaluated damage that did not exceed an acceptable limit. Accordingly, the strength criteria for opening traffic was determined to ensure that the specified damage level existed subject to the construction season, construction period, traffic type, slab thickness, and slab support of concrete pavement.
        6.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태계서비스란 자연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혜택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생태계서비스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InVEST는 대표적인 생태계서비스 모형이며 그 중 서식지질 평가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서식지질 평가를 위해서는 서식 지질 초기값으로 위협인자에 대한 민감도 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는 국가 및 적용분야에 따라 판이하다. 그래서 그동안 진행된 국립공원 서식지질 평가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AHP)을 실시하여 서식지질 초기값인 민감도의 기준을 조정하였다. AHP실시 결과 자연초지, 경지정리가 안된 밭 등 10개 항목이 상향조정되었으며, 하천, 호소 등 8개 항목이 하향조정되어 총 18개 항목이 조정되었다. 조정된 민감도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형인 북한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 원, 사적형인 경주국립공원, 해상해안형인 한려해상국립공원 그리고 산악형인 지리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지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립공원내 분포하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수역에 대한 부분이 서식지질 평가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기준을 이용하여 자연공원의 서식지질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4,3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재계획중 타당성조사 기준과 방법의 적절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 설악산과 주왕산국립공원은 절대평가(제2차) 방법이 상대평가(제3차) 보다 ‘해제 대상’이 낮은 비율로 도출되었다. 제3차 평가방 법이 해제가능지역 10%라는 비율을 정해놓고 해제보다는 존치를 통한 공원면적 유지를 지향한 방법임에도 절대평가 방법이 결코 해제가능 지역을 더 많이 추출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지에 제2차와 제3차 생태기반평가를 적용했을 때 2011년 실제 해제지역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제2차, 제3차 생태기반평가 모두 해제지역을 반영하지 못했다. 생태기반평가는 해제지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이 아닌 보조수단일 뿐이었다. 공원계획 타당성조사의 구역조정 중 해제는 외적 요소인 상호교환, 해제기준의 우선적용 등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4,8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6년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하 테러방지법)』이 제정 되었다. 동법은 제정 당시에 일부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세력들로부터의 강 력한 반대에 부딪혀 태생적으로 내재적인 한계점을 가진 채 법률로 탄생하 였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테러방지법이 통과될 당시에는 법안이 통과된 그 자체로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생래적 문 제는 결국 현행 테러방지법의 실효성에 큰 제한으로 이어졌다. 법안통과 이 후에도 테러방지법을 개정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여러 실무자 및 전문가들의 강한 의견개진과 주장들이 있어왔다. 특히 테러방지법과 관련해서 가장 심 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테러행위 판단에 있어 유엔이 지정한 테러 단체와 그 조직원, 지지자, 추종자들에 국한시킴으로서 한국의 실정과 상황 에 맞는 테러판단기준으로서 그 효용성이 매우 미흡하다는 점이다. 이 같은 현행 테러방지법 상 테러판단정의는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변화되고 있는 오 늘날의 테러행위의 양상과 테러행위자들의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 다. 이러한 상황에 비춰볼 때, 현행 테러방지법 상의 테러개념규정은 지나치 게 경직되어 있고 현실성이 없다. 또한 테러행위의 판단 역시 특정행위들의 나열로 구성되어 있어 테러행위 일반적 개념이 무엇인지도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테러 개념에 대한 법적 정의의 필요성도 대두된다. 이와 같은 테러 행위자와 테러행위 판단에 대한 테러방지법 상의 경직성과 비현실성은 테러 방지법의 자체의 효용성을 상당히 저해하는 부정적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 서 현행 테러방지법의 테러판단기준을 다시 살펴보고 테러판단기준이 되는 테러개념을 한국의 안보현실에 맞게 보다 유연하고, 실효성 있게 개선함으로서 테러방지법을 수정, 보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현행 테러방지법의 테러판단기준에 있어서의 제정경과와 한계점을 살펴보고 그리 고 한계점을 보완하기 방안을 제안한다.
        9.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엔해양법협약에서 우리는 기국주의와 연안국주의가 절충되어 규정되어 있 는 정신을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중 하나가 바로 연안국의 피추적선 에 대한 추적이 공해상까지 확장되어 행사 가능하도록 해주는 추적권 행사이 다. 유엔해양법협약에서는 기국주의와 연안국주의는 그 권한의 행사에 있어서 긴장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 의미는 기국의 관할권과 연안국의 권한이 유엔해 양법협약이 규정하고 있는 바와 그 취지를 잘 살려 행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국제적으로 추적권이 발전되어 온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과 함께 유엔해양법협약 조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적권의 개념과 의의 는 장기간에 걸쳐 등장해오면서 학설, 판례, 성문화 작업 등을 통하여 다듬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금은 유엔해양법협약협약 공해 편에 명문으 로 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법적 지위는 관습국제법에 해당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유엔해양법협약 제111조 조문 내용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요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염두에 두고 이어지는 사례 연구에 적용하 고자 하였다. 추적권은 유엔해양법협약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 고 협약 제111조제3항의 추적권의 소멸에 대하여는 긍정설, 부정설 및 절충설 등 학설의 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이에 대하여 협약 조문 자체를 중시하여 해석하되, 그 당시 사정과 상황, 법령 위반 결과의 심각성 및 피추적 선 행위 전반에 대한 비난가능성에도 무게를 두어 추적의 재개의 가능성을 고 려할 수 있다고 하여 절충설의 입장을 따랐다. 이는 이어서 논의한 M/V Tyumen호 사건 판결에서 법원의 입장을 살펴볼 때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연안 국의 관헌은 유엔해양법협약 조문을 중시하여 권한을 행사해야 할 것이며 또한 추적권이 연안국에게 주는 취지도 잘 살려 그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600원
        12.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safe and successful decommissioning,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dures that establishing the goal and complying with regulations of which final status of decommissioned site and building. The dose criteria for cyclotron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pplied to reuse the site and building, since building and component of a cyclotron facility have been activated by incident secondary neutrons from radioactive isotope processes (e.g. 18O(p,n)18F, etc.). Furthermore, appropriate approaches should be applied to demonstrate compliance with the dose criteria for reliability of reuse. It is of noted that U.S. 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has confirmed that the residual radioactivity which distinguishable from background radiation results in a TEDE (Total Effective Dose Equivalent) does not exceed 25 mrem (0.25 mSv) per year as radiological criteria for unrestricted use of not only nuclear power plants but also cyclotron facilities referred to 10 CFR Part 20.1402. In addition, U.S. NRC noted the two approaches (i.e. dose assessment methods and, DCGL and final status surveys) which can be applied for demonstrating compliance with the dose criteria of 10 CFR Part 20 and recommended DCGL and FSS approach based 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wo approaches. In order to using DCGL and FSS approach, U.S. NRC suggested screening approach; using DandD Version 2 which assesses TEDE under ICRP 28 and site-specific approach; using all models or computational codes which approved by NRC staff. There are several foreign cases that release of cyclotron facilities after decommissioning (i.e. U.S. and Japan). U.S., for examples, there are two DCGL approach cases and one dose modeling case based on 25 mrem per year same as reactor facilities. The dose modeling case, however, which may not be really used in Korea because of its low applicability. On the other hand, Japan case did not establish any radiological criteria for site and building reuse such as DCGL and just confirm “no more contamination” which is all residual radioactivity is lower than MDC based on real survey. Japan case also may not be used in Korea since criteria of “no more contamination” is not clear and hard to apply for all sites. Considering regulations and criteria for site release and reus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suggest radiological criteria and the demonstration approach of compliance for decommissioning of cyclotron facilities based on Nuclear Safety Acts and NSSC notices.
        13.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AD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http://www.korad.or.kr) has stored slightly contaminated ascon (asphalt coated concrete mixture) that was introduced to Gyeongju repository about a decade ago waiting for a final disposal. It is believed to be mainly contaminated by radioisotope 137Cs due to impuriti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ascon manufacturing process.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radioactive waste to see whether this material would be proper enough to be disposed in Gyeongju LILW repository or be other ways to reduce the disposal volume including self-disposal before its final disposal otherwise. KORAD looked into the properness of characteristics of ascon in terms of WAC (Waste Acceptance Criteria) documented by KORAD that includes genera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asphalt, density, size of grains, content of organic material and possibility of existence of chelate materials that qualitatively limited to be disposed by the criteria. And other associated characteristics such as gas generation and bio degradation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study, we proposed various plausible solutions in associated with operational and disposal safety and economic view points. This study will be used for KORAD’s decision on how to control and safely dispose the spent ascon within a reasonable time period. And also those experiences may be applied for other LILW issues that require treatment or conditioning of radioactive wastes in the future.
        14.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light of recent significant seismic events in Korea and worldwid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evaluate the adequacy of seismic assessments conducted during facility construction. This study reexamines the ongoing viability of the Safety Shutdown Earthquake (SSE) criteria assessment for the Combustible Radioactive Waste Treatment Facility (CRWTF) site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originally established in 1994. To validate the SSE assessment, we delineated 13 seismic structure zone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nd employed two distinct methodologies. Initially, we updated earthquake occurrence data from 1994 to the present year (2023) to assess changes in the site’s horizontal maximum earthquake acceleration (g). Subsequentl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ame dataset, contrasting the outcomes derived from the existing distance attenuation equation with those from the most recent attenuation equation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applied attenuation model. The Safety Shutdown Earthquake (SSE) criterion of 0.2 g remains unexceeded, even when considering recent earthquake events since the original evaluation in 1994. Furthermore, when applying various assessment equations developed subsequently, the maximum value obtained from the previously utilized ‘Donvan and Bornstein’ attenuation equation is 0.1496 g, closely resembling the outcome derived from the recently employed ‘Lee’ reduction equation of 0.1451 g. The SSE criteria for CRWTF remain valid in the current context, even in light of recent seismic occurrences such as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Additionally, the attenuation equation employed in the evaluation consistently yields conservative results when compared to methodologies used in recent assessments. Consequently, the existing SSE criteria remain valid at pres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SSE criterion assessment of similarly constructed facilities within KAERI.
        15.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uctural stability of a waste form can be provided by the waste form itself (steel components, etc.), by processing the waste to a stable form (solidification, etc.), or by emplacing the waste in a container or structure that provides stability (HICs or engineered structure, etc.). The waste or container should be resistant to degradation caused by radiation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domestic waste acceptance criteria, irradiation testing of solidified waste forms containing spent resin should be conducted on specimens exposed to a dose of 1.0E+6 Gy and other material 1.0E+7 Gy. Expected cumulative dose over 300 years is about 1.770E+6 Gy for spent resin and 0.770E+6 Gy for dried concentrated waste generated from NPPs generally. According to NRC Waste Form Technical Position, to ensure that spent resins will not undergo adverse degradation effects from radiation, resins should not be generated having loadings that will produce greater than 1E+6 Gy total accumulated dose. If it necessary to load resins higher than 1E+6 Gy, it should be demonstrated that the resin will not undergo radiation degradation at the proposed higher loading. This is the recommended maximum activity level for organic resins based on evidence that while a measurable amount of damage to the resin will occur at 1E+6 Gy, the amount of damage will have negligible effect on disposal site safety. Cementitious materials are not affected by gamma radiation to in excess of 1E+6 Gy. Therefore, for cement-stabilized waste forms, irradiation qualification testing need not be conducted unless the waste forms contain spent resins or other organic media or the expected cumulative dose on waste forms containing other materials is greater than 1E+7 Gy. Testing should be performed on specimens exposed to IE+6 Gy or the expected maximum dose greater than 1E+6 Gy for waste forms that contain ion exchange resins or other organic media or the expected maximum dose greater than 1E+7 Gy for other waste forms. This is suggestion as a review result that requirement for irradiation testing of solidified waste forms has something to be revise in detail and definitively.
        16.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onfinement of a spent fuel storage systems is maintained because if the confinement is damaged, the gaseous radioactive material inside the storage cask can leak out and have a radiological impact on the surrounding public. For this reason, leakage rate tests using helium are required for certificate of compliance (CoC) and fabrication inspections of spent fuel storage cask. For transport cask, the allowable leakage rat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scenario presented by the IAEA. However, for storage cask, the allowable leakage rate is determined by the canister, facility, and site specific information, so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standardized leakage rate criter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derive system-specific leakage test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leakage test of actual storage systems. First, the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allowable leakage rate for normal and accident conditions were derived. Unlike transportation systems, for storage systems, the dose from the shielding analysis and the dose from the confinement analysis are summed up to determine whether the dose standard is satisfied, and even the dose from the existing nuclear facilities is summed up during normal operation condition. For this reason, the target dose is used as an input variable when calculating the allowable leakage rate for the storage system. In addition, the main variables are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of the exclusive area, the number of cask, the inventory of nuclide material in the cask, the free volume,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Utilizing domestic and US NRC guidelines, we derived basic recommended values for the selected variables. The GASPARII computer code that can evaluate the dose to the public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was utilized. Using the above variables, the allowable leakage rate is calculated and converted to the allowable criteria for helium leakage rate test. The developed system was used to calculate the allowable leakage rate for normal and accident conditions for a hypothetical storage system. The leakage rate criteria calcul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CoC and fabrication inspections of storage systems in the future, and a GUI-based program will be built for user convenience.
        1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양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위험·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중 아연을 대상으로 국내 서식종을 기반 으로 한 독성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아연의 해양 수질 준거치(Marine Water Quality Criteria)를 제안하였다. 시험생물은 국내 연근해에 분포하고 산업적으로 유용하며, 표준 시험방법이 존재하는 종을 우선으로 5개의 분류군(Algae, Rotifer, Crustacean, Mollusc, Fish)의 총 10종을 선정하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급·만성비(Acute-Chronic Ratio) 산출을 위하여 무척추동물, 어류 분류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종 독성시험에서 산출된 독성값을 활용한 수질준거치는 US EPA의 CCC (Criterion Continuous Concentration) 산출 기준으로 9.56 ㎍/L, 호주/뉴질랜드의 산출 기준으로 15.50 ㎍/L 로 나타나 호주/뉴질랜드에서 권고하는 기준인 14.40 ㎍/L 와 유사하였다. US EPA 및 호주/뉴질랜드는 자국의 생태독성 데이터베이스(US EPA Ecotox Database, Australasian Ecotoxicology Database)를 보유하고, 신뢰도 높은 독성값들을 생성하여 수질 기준 및 산출 기준을 갱신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국내종 기반 급성 독 성값을 적용하고 있지만, 중요한 산출 지표인 급·만성비는 US EPA 또는 유럽의 결과값을 활용하여 해양 수질 준거치를 산출하고 있으며, 국내의 생태독성 자료 또한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해양 서식종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독성시험과 준거치 설정 체계를 확보하 여 국내 해양생물과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해양 수질 준거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부터 우리나라 생물종을 대상으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종 평가를 실시하여 국가생물적색자료집을 발간하여 왔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관속식물,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등 주요 분류군 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총 10권의 자료집을 발간하였고, 2019년부터는 기존 평가 종을 대상으로 재평가를 실시 하여 지금까지 총 9권의 자료집을 재발간하였으며, 내년에 거미류 자료집 발간으로 재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 다. 현재까지 총 4,353종에 대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평가를 완료하였으나 이는 전체 자생생물종 58,050 종 대비 약 7.5%에 불과하다. 따라서, 2024년부터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신규 분류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2019년부터는 IUCN 적색목록팀과 함께 우리나라 고유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IUCN 적색목 록에 등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총 150종의 고유종을 IUCN 적색목록 사이트에 등재를 완료하고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