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living in natural and semi-natural environments located in Gongju,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nd thereb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rban planning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his study, we documented 128 spider species through pit-fall trapping, sweeping, and manual collection methods and analyzed their alpha and beta diversity, nestednes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natural habitats (forests) showed higher biodiversity and more complex species interactions. Despite anthropogenic impacts, such as human activities, urban habitats have shown notable biodiversity. Nestedness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learning reveal diverse community structures in multiple habitats and intricate interspecies relationship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abitat heterogeneity in supporting biodiversity an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ultiple ecological factors in urban planning.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등 생태환경요소가 도시재생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분석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를 통해 생태환경지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선도지역 및 일부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각 현황별 하위 항목을 지표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지고 도시재생의 중요한 평가 지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인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주택보급률, 기초생활수급자비율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표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녹지율과 기초생활수급자 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 니라 공원 및 녹지 등의 생태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도시 재생 연구는 건물, 산업, 문화 지표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에는 생태환경 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에 대한 정의와 통계 데이터 부족 등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 한 연구의 한계가 남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구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유추된다.
        4,000원
        4.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생태계는 기존 자연생태계와 달리 야생생물 및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상호복합적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genus Vespa)은 도시생태계에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시민에게 물리적·심리적 피해를 초래하는 불균형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어린이공원은 접근성이 높아 도시민 및 어린이가 쉽게 이용하는 도시 녹지이며 말벌속이 거점 및 서식지로 활용하는 공간임에도 아직까지 어린이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에 대한 서식환경 및 출현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말벌속의 생활사 기간을 고려해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32주간 천안시 어린이공원 27개소 내 말벌트랩을 설치해 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좀말벌(Vespa analis parallela), 장수말벌(Vespa mandarinin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을 포획하고 출현 종 구성 및 어린이공원의 입지 특성 및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말벌속의 출현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말벌속은 총 818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종별로는 좀말벌 290개체(35.4%), 말벌 260개체(31.8%), 꼬마장수말벌 100개체 (12.1%), 장수말벌 87개체(10.6%), 등검은말벌 81개체(9.9%) 순으로 포획되었다. 대부분의 말벌속은 계칩(啓蟄) 이후 5~6 월에 여왕벌 위주로 포획이 이루어지다가 분업기인 6월 중순부터 포획 개체 수가 급감한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나, 등검은말벌 은 타 말벌속의 쇠퇴기가 이미 시작된 10월 3주차부터 80% 이상 포획되어 계절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어린이공원 입지별 말벌속 포획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 포획량 상위 6개소에서 363개체(44.3%), 하위 6개소에서 35개체(4%)가 포획되어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 6개소의 평균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0.79로 하위 6개소의 평균 NDVI인 0.38과 유의한 평균간 차이를 보였으며(t=2.67*, *=p<0.05), 주변 토지이용이 초지 혹은 나지일 경우 말벌속 포획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의 생태적 기본 특성을 확인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효율적인 도시 녹지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 도심하천인 갑천에서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2007-2016년도까지의 이화학적 수질,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 생태학적 건강도를 어류를 이용한 다변수 모델(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및 질적 서식지 평가 모델(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를 이용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 평균 총인(Total Phosphorus)은 10년 동안 13배 가까이 감소해왔으며, BOD값은 5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영양염류의 감소와 유기물 오염의 감소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어류의 군집 특성을 이용한 분석 결과, 10년간 일부 민감종 비율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서식 지 평가 모델(QHEI)을 이용한 결과 하류로 가면서 일부 구간에서 뚜렷한 물리적 서식지 교란이 발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IBI와 QHEI, 이화학적 수질 변수간의 상관분석 결과 QHEI값과 IBI값간의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 = 0.569, p<0.001) 그 밖에 총질소(Total Nitrogen) 및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 부유물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 >-0.3, p<0.05)를 나타냈다. 이는 도심 하천에서 장기간 수질 오염의 개선이 이루어져도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가 회복이 되지 않으면 수생태계 건강성의 회복이 제한되는 것으로 보인다.
        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산림, 하천, 자연 녹지 등 자연생태환경과 격리된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로 다양한 입지 조건으로 조성되어 활용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경기도 과천시 상하벌로 110일원) 일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생태적 패치(patch) 입지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사 구역 별 결과에서 곤충상은 Ⅰ구역에서 61과 135종, Ⅱ구역에서 31과 46종, Ⅲ구역에서 31과 42종, Ⅳ구역에서 13과 14종 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역의 군집 분석 결과, 다양성 지수 4.30, 종풍부도 22.74, 균등도 0.84 등으로 구분되었다. 조사 결과, 수환경과 키 작은 수목을 중심으로 하고 경작 및 원예가 재배되는 Ⅰ구역에서 종 조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소규모 생태적패치를 조성할 경우 수환경과 원예화원, 소규모 경작지 등이 분포할때 종 다양성이 높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양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dea that the approach and method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Studies are rooted in regional planning, and to trace the legacy that can be borrowed from modern city and landscape planning.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relationship between Geddes’ Urban Evolution and McHarg’s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theory,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planning that can be accommodated in both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Studies areas at present. As a result, the Geddes’ theory and the McHarg’s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emphasized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lans based on evolutionary theories and local research in regional planning. However, the McHarg’s theory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Geddes’ theory and offered its own unique identity and possibilities. First, it was completely focused on the environment. Second, it suggested a concrete methodology consisting of a technique of land suitability analysis to visualize an environmental or regional investigation. Third, McHarg advocated drawings as a visualization tool. McHarg’s theory of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can be thought of as an evolutionary version of the theory of urban evolution. The study was limited to an applicable range to solidif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in real situation, and more concrete and substantial approaches were suggested accordingly.
        4,000원
        1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인구 증가와 함께 도시화·산업화로 인하여 도시 내 에서 미세먼지, 폭염, 소음, 수질오염 등 심각한 환경문제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의 악영향을 완화하고, 도시주민들에게 자연을 접근하여 환경교육을 통해 생태의 식을 양성할 수 있는 녹색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적 으로 생태공원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도시 내 생태공원은 녹지가 부족한 도심에서 생태계서비 스 제공하는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징검다리 녹지를 제공 함과 더불어 동식물 서식지를 제공함에 따라 도시 생물다양 성 증진에 큰 의미를 가지며, 환경생태교육장으로 활용되어 일반 도시민의 생태의식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생물다양성 증진을 고려한 조성 및 관리 방안이 생태 공원마다 특성에 맞게 도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 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고양생태공원을 대상으로 도시생물 다양성 증진을 고려한 도시림 조성 및 관리 방안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WOT 분석을 통하여 고양생태공원 자연 인문 현황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표적인 생태공원 사례를 검토하고 GAP 분석을 진행하여 고양생태공원 도시생물다양성 증진 을 고려한 전략방향 및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고양생태공원 내부 공간 재구획 : 생츄어리 공간 확대; 탐방 경로 단순화; 생츄어리 공간이 체험실습 공간과 이격 2. 각 생태계 간의 연결성 증진: 인접한 수생태계인 대화 천과 연결 및 수질 개선 작업 실행; 인근 농업생태계와 연결; 구역 내 현존 녹지와 연결; 새로운 공원 조성 후 그린웨이로 연결하여 도시숲 네트워크 구축 3. 인위적 관리를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고양생태공원 내 적합한 서식지 개선 또는 조성으로 멸종위기 종 동물 도입; 구역 내 소형공원의 생태계 다양성 증진, 생태공원 성격 부여 재 조성 4. 환경교육을 통한 간접적으로 생물다양성 증진: 그린리 더 양성과정 운영; 시민 생태의식 강화 과정 운영; 생태치유 체험프로그램, 도시농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장기적으 로 고양시 생태교육 시설 통합사업 진행하여 고양시 생태교 육재단을 설립하고 고양시 전체 지역의 생태교육 자원을 총괄 관리
        1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concentrates on the status of ecological environment development in Shenyang, uses the remote sensing images and social statistics in different periods as the data base, establishes a dynamic monitoring system and model of urbanization and ecological security. Through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ecological security dynamic monitoring information, with the support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we have formed a key technology system which combines ecological security warning with ecological security structure optimization. Moreover, the spatial database of ecological key elements in Shenyang city was constructed. The vertical pattern, horizontal pattern and ecological function of urban ecological system is organically combined,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for the layout and regulation of green space and water system. With these efforts, a key technology system is formed, including the warning of urban ecological security- the space regul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the optimization of urban ecological security pattern - the regulation of urban elements' spatial layou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scientific and accurate data base for ecological planning and regulation in Shenyang City , carry out effective ecological secur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of Shenyang, protect the ecological integrity of the system as well as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 Shenyang City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
        4,000원
        1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scapes are dynamic and therefore they experience frequent changes over time. This research analyzed the landscape chang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oodlands in an urban fringe landscape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sustainabl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ied landscape changed between 2002 and 2014 mainly due to new road construction and residential development. Several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were used to assess the woodland changes and the overall effect of woodland changes on the landscape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revealed a decrease in patch size of less 5ha (n=13) and between 5ha and 9.9ha (n=2). AWSI decreased from 4.03 in 2002 to 3.89 in 2014, and MND increased from 38.41m in 2002 to 49.12m in 2014, and SDI of land cover type decreased from 1.16 in 2002 to 0.18 in 2014. The results suggest that woodlands have become smaller and more isolated. The shape of the woodlands has also become simpler and more regular. These spatial woodland changes adversely impact the biodiversity. For further information on landscape ecological conditions,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more landscape ecological metrics and ec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abitats and species surveys is needed in future studies.
        4,000원
        1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evaluate the aquatic environment of an urban stream using various ecological parameters of biological biomarkers, physical habitat and chemical water quality and to develop a “Multi-metric Eco-Model” (Mm-E Model) for the ecosystem evaluations. The biomarkers of DNA, based on the comet assay approach of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were analyzed using the blood samples of Zacco platypus as a target species. The condition factor (CF) as key indicators of the population evaluation indicator was analyzed along with the weight-length relation and individual abnormality. The four metrics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ere added for the evaluations of physical habitat. In addition, the parameters of chemical water quality were used as eutrophic indicators. Our results suggested that attributes of biomarkers and bioindicators in the impacted zone (Iz) had sensitive response largely to the chemical stress (eutrophic indicators) and also partially to physical habitat quality, compared to the those in the control zone. Hereafter, applying Multimetric Eco-Model to stream ecosystem, it will be able to evaluate ecological health state.
        1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습지의 일반적 정의는 육상생태계와 수상생태계 사이의 전이대(ecotone)로서, 양 생태계의 중간역을 점유하는 공간 이다.습지에는 물이 있음으로 해서 독특한 식물종과 식생군 락, 독특한 동물군 등이 하나의 생태계를 구성하게 된다(이 기철 등, 2008). 그러나 지속적인 도시 발전으로 인해서 습 지가 훼손되어졌으며 서울시에서는 도시화와 각종 개발을 통해 자연적으로 존재하였던 다양한 종류의 습지들은 사라 지고 있고,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0.3%의 소규모 면적만 남아있어 매우 희귀한 비오톱 유형이라 할 수 있다(장재훈, 2013). 때문에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인공적인 습지 라 할지라도 중요한 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에서 의 습지는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비록 인공습지일 지라도 공원내의 습지조성도 많이 이뤄지고 있다. 2010년 서울시의 공원녹지 면적은 약 28%로 도시전체에 서 차지하는 비율 면에서는 낮지 않은 수준이다. 그러나 실 제 도시 외곽의 급경사 산림지역과 도심내 한강을 제외하고 인간의 이용 측면에서 가용하다고 판단되는 완경사지역에 분포하는 녹지는 매우 협소하다. 또한 녹지도 도시 외관산 림과 내부 조성녹지로 단순화되어 있어 생물의 서식처 다양 성 측면에서는 질적 가치가 매우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단위면적당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유형인 습지는 인공화된 하천을 빼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이 경재 등, 2011). 때문에 도심습지에 대한 중요성 최근 서울 시에서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한 한강난지공원을 보 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서울시에서 한강난지공원을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 함에 따라 서울시는 우면산, 수락산, 진관사 습지와 더불어 총 4개 구역을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관리·보전하고 있다. 2013년 난지 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가 양서류의 집단 서식지 보전을 위해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대 상지는 북쪽으로 노을공원, 하늘공원 및 대덕산 등이 위치 하고 있으나 강변북로로 인해 생태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이 외에도 대상지를 포함한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 는 주변환경과 생태축으로서 연결되는 지역으로 보호구역 의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는 동·식물자원을 중심으로 난지 한강공원 생태 습지원 일대의 관리방안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 을 두고 있다. 이에 야생생물 보호구역의 보호를 위한 감시, 생태계 변화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진행 하였다.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은 난지한강공원 총 면 적 56,633㎡으로 생태습지원 일대와 폐쇄형 늪지의 일부구 간과 한강 호안에 위치한 생태섬(하중도) 주변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을 중 심으로 진행되었고 야생생물보호구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인근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를 포함하여 조사하 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내 자연생태계에 대한 생태현황조사(모니터링)를 통해 보호구 역 내 야생동식물의 분포현황과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서식지 위협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항목은 식물생태 (현존식생도, 식물상), 동물생태(양서·파충류, 조류), 무기 환경(토지이용변화와 주변환경)으로 설정하고 각 항목에 맞는 세부항목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목들에 대 한 결과를 토대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의 종합 관리계획을 위한 자료를 수립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식물분야는 현존식생도 작성, 식물상 현장 조사를 하였으며 현존식생도는 대상지의 상관식생을 기준 으로 작성하였고 2010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현존식생도 (서울시, 2005), 1:5,000 수치지형도(국립지리원, 2011)등 을 활용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3년 4월부터 2013년 8월 까지 총 2회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이우철(1996)과 이창복(2003) 및 이영노(2006)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동물생태의 조류상 조사는 6월 29일 과 8월 24일 양일에 걸쳐 대상지역에서 약 1시간씩 조사하 였고, 양서·파충류조사는 출현시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2013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무기환경분야는 2005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토지이용도 (서울시, 2005)와 2010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토지이용 도(서울시, 2010), 1:5,000 수치지형도(국립지리원, 2011), 항공영상(www.daum.net, www.naver.com)을 활용하였다. 식물생태 조사결과 현존식생유형을 보면 물억새가 49.64%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갈대가 11.07%, 달뿌리풀이 1.89%의 면적으로 출현하였고 목본의 경우 버드나무가 19.09%로 가장 넓게 나타나고 갯버들이 4.48%로 나타났다. 식물상은 보호식물에 법종보호종은 확 인되지 않았으며 희귀식물로는 약관심종(LC)에 해당하는 낙지다리 1분류군과 멸종위기종 왕벚나무 1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나 왕벚나무의 경우 식재된 종으로 희귀식물로서 의 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또한 특산식물은 능수버들, 은사시 나무, 키버들, 개나리, 벌개미취 등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 능수버들, 키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분류군은 식재된 종으로 특산식물로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귀화식물 및 위해식 물 현황으로는 대상지에 출현한 식물종 총 110분류군 가운 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이 확인되어 귀화율은 20.00%, 도 시화 지수는 7.1%를 보였다. 귀화식물중 환경부 (2012) 지 정 생태계교란식물로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 이와 서양등골나물이 확인되었으며 생태계안정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제거 관리가 필요하다. 동물생태분야는 총 16종 의 조류가 서식하며 서울시 보호종으로 꾀꼬리가 관찰되었 다. 양서·파충류의 경우에는 이번 조사에서 보호종은 총 6 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주 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는 상암동의 일부지역에 새로 준공 된 아파트단지를 제외하고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습지라는 공간의 중요성과 서울시에 서 도심습지로 인해 생물다양성 측면의 개선을 위한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습지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는 기후조절의 기능, 수질정화의 기능, 생물종 다양성 유지 기능, 여가활동과 관광을 위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 역과 생태습지원은 그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습지를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최선의 관리는 습지 생태계 의 자연적인 순환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가장 간단하 며, 저렴하고 지속적인 관리 방법은 습지주변에 방책을 둘 러쳐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연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다(장재훈, 2013).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역 시 가양대교 아래 쉼터 뒤쪽으로의 이용이 통제되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통제해야 하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출현에 있어 완충구역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상지 특성 상 이용객들이 많다보니 주변 시설들에 지속적으로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인공적인 훼손방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 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동물생태 역시 지속적 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방음숲, 방음벽 설치, 이용객 관리 등과 같은 방안도 필요하다. 양서·파충류 역시 지속적인 개체군 유지를 위하여 물웅덩이를 중심으로 관리활동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강공원의 이용객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난 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에 대한 이용압력도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용객들이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 역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쓰레기 투기, 애완동물 출입 등 제한되는 행위를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이용객들의 협조와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을 보호하기 위한 안내, 홍보가 필요하다.
        17.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최근 세계 여러 나라의 가장 중요한 이슈는 각종 환경오 염, 기후온난화 등 환경문제로서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환경문제의 주된 원인은 과학기술 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이나 생태윤리의식, 자연 신비에 대한 경외감과 감상력 등의 인성적 요인의 결 여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송상헌과 김현재, 2001). 환경문제는 결국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변화 시키지 않는다면 해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적인 과정을 통하여 인간 의 환경에 위해적인 생활태도를 환경친화적인 방향으로 변 화시켜야 하므로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무엇보다도 강하게 제기된 것이다(남상준, 1994).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 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 등이 증대되면서 자연에 대 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여행문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역사․문화와 환 경․생태에 대한 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차량을 이용하 지 않고 도보와 자전거로 이동해 주변 경관을 탐방하는 일 은 특히 역사문화유적과 자연생태환경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민간단체와 개인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유적과 자연경관을 도보로 답사하는 문화가 확산 되어 왔다(송인주, 2008).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자락에 둘러쌓인 서울대공원 산림 욕장은 지난 1994년 오솔길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현재까지 산림욕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서울대공원 삼림욕장에 서는 󰡐햇빛숲속여행󰡑, 󰡐달빛숲속여행󰡑, 󰡐숲에서 놀자󰡑라 는 자연생태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대상은 주로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나무와 풀, 숲과 관련된 문화와 체험을 내용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학습프 로그램은 숲해설가에 의한 가이드 형태로 교육이 이루어지 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숲과 자연에 대한 기초적인 단 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과 성인 그리고 더 나아가 산림생태계 에 관심이 높은 대학생과 산림생태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폭넓은 층이 교육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산림생태 해설자원 도출과 해설프로그램에 대한 도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 산림욕장 일부 등산로와 그 주변 숲을 대상으로 산림에 서식하는 동․식물 및 자연환 경에 대한 이해 등 산림생태에 관한 일반적인 기초교육과 산림식생구조, 산림생태의 특성, 산림생태변화 등 산림생태 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 램으로 구분하여 산림생태관찰원으로 조성할 수 있는 방안 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지는 서울대공원 내 산림욕장 일부 등산로와 그 주변 숲 2,336,393㎡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가 위치한 서울대공원 및 청계산에 대한 대상지 개황은 과천시지 및 서울대공원 관리현황 자료를 조사․분석하였다. 산림이용객에 대한 의견수렴은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 41명을 대상으로 총 17개 항목에 대해 연구 수행자가 직접 설문조사하였고 2010년 11월 23일에 실시하였다. 자연생태 현황은 현존식생, 야생동물 서식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구간인 산림 욕장 주변에 대하여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교목층 의 식생상관 및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하여 도면화하였다. 야생조류의 서식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line transect 방 법에 의하여 일출 후부터 정해진 경로를 걸어가며 좌우 25m에 나타나는 야생조류를 육안 및 쌍안경으로 관찰하고, 울음소리, 나는 모양 등으로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양 서류는 연구대상지 등산로의 좌우 10m 정도를 기준으로 이동 중인 개체와 돌밑 혹은 숲속에 은신하고 있는 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노선 폭은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서울 대공원 산림욕장 조사 구간에 대하여 노선 폭을 측정하고 1m 미만, 1.0~1.5m, 1.5~2.0m, 2m 이상으로 유형화한 후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였다. 노면현황은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서울 대공원 산림욕장 조사 구간에 대하여 노면 정비 상태에 따 라 자연흙다짐, 통나무계단, 목재계단, 목재데크, 징검다리 등 9종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를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 였다. 종단경사는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SUUNTO SL04007 Compass를 이용하여 경사 변화에 따 라 5° 미만, 10~15°, 15~20°, 20° 이상으로 구분하여 조사하 고 이를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였다. 해설자원 현황은 노선주변 자연자원 현황 및 노선주변 주요 식생군락 군집구조로 조사․분석하였다. 노선주변 자연자원 현황은 연구대상지 노선을 따라 이동 하면서 좌․우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폭 안에 나타나는 동․식 물 개체 및 자연생태계 현황을 1/5,000 수치지형도에 표기 하고 자연자원을 유형화하였다. 노선주변 주요 식생군락 군집구조는 상대우점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지 개황 서울대공원은 자연경관이 우수한 청계산 자락에 동물원 과 식물원을 갖춘 국내 최대 규모로 조성되어 1984년 개원 한 우리나라 대표적인 공원이다. 서울대공원 내 산림욕장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2년 간 조성하여 1994년 7월 개장하였다. 당초 산림욕장 조성 목적은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건강증진은 물론, 자연 체험학습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 산림욕장 이용은 건강을 위한 등산 목적으 로 이용될 뿐 자연체험학습 공간으로의 이용은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구체적인 자연자원을 이용한 해설프로그 램이 부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산림생태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은 최근의 추세임에도, 자연성이 높고 안정된 도시숲의 자연자원을 이용한 전문적 인 산림생태 해설프로그램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 연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동․식물 등 자연자원이 풍부한 서울대공원 내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산림생태와 관련한 기초교육프로그램과 타 지역에서 운영되는 생태프로그램 과 차별화된 전문적인 산림생태교육을 위한 해설자원 도출 과 해설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황이다. 2. 산림이용객 의견 서울대공원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개념과 조성 방향을 설 정하기 위하여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 41명에게 총 17개 항목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설문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 응답자 본인 스스로 느끼는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도 가 높다는 응답이 61%였으며, 도시숲을 이용하여 자연생 태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3%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공원 산림욕장과 그 주변 숲 을 대상으로 산림생태를 이해하고 해설하는 시설 및 프로그 램을 운영할 수 있는 산림생태관찰원 조성에 대해 68.3%의 응답자가 적정하다고 답변하여 산림생태관찰원 조성에 긍 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산림생태관찰원의 조성 방향 은 가능한 자연그대로 활용하되 최소한의 필요한 시설물에 대해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생태해설판과 휴식공간을 조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 3. 서울대공원 산림욕장 자연자원 현황 연구대상지의 자연자원 현황은 현존식생, 야생조류, 양 서류, 자연관찰로변 개별 자원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하 였다. 첫째, 서울대공원 내 연구대상지는 수도권 도시숲의 산림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원식생이 파괴된 후, 낙엽활 엽수 자연림으로의 안정된 2차 천이 과정에 있다. 특히, 온 대중부림의 도시숲에서 나타나는 신갈나무군집이 63.4% 를 차지하고 있는 안정된 산림 식생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써 수도권 도시숲을 대표할 수 있는 자연성 높은 식생분포를 갖추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26종 185개체 였다. 야생조류는 연구대상지의 자연관찰로에서 쉽게 관찰 할 수 있었다. 특징적인 것은 자연성이 높은 숲에서 서식하 는 딱따구리류가 자주 눈에 띄어 야생조류 탐방에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되며 산림생태 해설자원으로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연구대상지에서 조사된 양서류는 계곡산개구리와 도롱뇽 2종이었다. 특히, 도롱뇽은 연구대상지 내 󰡐선녀못 이 있는 숲󰡑휴게공간 주변으로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과 󰡐다람쥐광장󰡑옆으로 흐르는 계곡, 󰡐원앙이 숲󰡑휴게공 간 옆을 지나 조절저수지로 흐르는 계곡에서 많은 양의 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관찰로변 개별 해설자연자원은 총 127개소를 조사 하였고 자연자원의 유형은 동물과 식물의 생물종, 산림생태 계, 경관자원 4가지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동․식물의 생물종은 5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산림생태계는 11가 지 유형으로, 경관자원은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4. 자연관찰로 구조 연구대상지의 자연관찰로 구조는 노선현황과 이용지역 현황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노선현황 분석결과 노선 폭은 대부분 1.0~1.5m로 전체 노선 중 82.8%를 차지하고 있어 자연관찰로 적정 노선 폭 1.5~2.0m에 비해 다소 협소하였다. 대상지 탐방로는 전체 적으로 자연 흙과 통나무계단 등 자연물로 조성된 노면이 96.4%로 조성되어 자연경관과의 위화감이 없었으며 노면 상태가 양호하여 보행에 불편함이 없었다. 대상지 탐방로 중 경사 10° 미만이 67.8%로 대부분 완경사지로 보행 여건 이 양호하여 자연관찰로 조성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용지역 현황에 대한 결과는 자연관찰로 조성의 적정 거리가 1,000~2,500m임을 고려할 때, 연구대상지 노선거 리가 4,000m로 다소 길어 자연관찰로 조성 시 두 곳의 샛길 을 활용하여 자연관찰로의 다양한 구간 설정이 가능하였다. 5.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방향 및 내용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시 민들이 자연환경과 자연생태에 높은 관심이 있음을 확인하 였고 연구대상지의 숲을 이용한 자연생태체험시설 및 해설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에서 운 영하는 주요 공원의 최근 생태관련 이용프로그램을 분석하 여 이와 차별화된 전문성 있는 생태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서울대공원 산림욕장의 탐방로를 중심 으로 산림에 서식하는 동․식물에 대한 생물종 이해와 자연 환경에 대한 이해 등 산림생태에 관한 일반적인 기초교육과 산림식생구조, 산림생태의 특성, 산림생태변화 등 산림생태 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 으로 주제를 설정하였다. 자연해설자원은 식물과 동물의 생물종, 산림생태계, 경 관자원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식물의 생물종은 대경목, 목 본, 덩굴식물, 초본, 식물비교 내용으로 세분하였고 동물의 생물종은 야생조류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생태 계는 산림계곡습지, 산림계류습지, 계곡용출습지, 천이, 식 생구조,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림, 인공림, 산림복원, 산림 주연부, 산림병해충에 대한 내용으로 세분하였다. 경관자 원은 산림경관, 저수지경관, 소리경관에 대한 내용으로 세 분하였다. 산림생태의 기초적인 생태교육에 필요한 자연해설자원개발은 연구대상지 전체 노선의 거리별 자연자원현황을 활 용하였다. 자연해설자원은 동․식물의 생물종, 경관자원에 대한 내용으로 자연해설자원 51개소를 정리하였다. 산림에 대한 전문적 생태교육에 필요한 생태해설자원 개 발은 연구대상지의 산림식생구조, 산지습지구조, 야생조류 서식 특성,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산림생태계를 이해하고 체 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총 52개소의 산림생태해설자원으로 설명하였다. 산림식생구조는 12개의 식생유형으로 신갈나 무림, 상수리나무림, 물푸레나무림, 밤나무림, 신갈나무-소 나무림, 산벚나무-리기다소나무림, 오리나무-물박달나무 림, 리기다소나림-신갈나무림, 리기다소나무-팥배나무림, 잣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밤나무-산벚나무림 군락 16개소 에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지습지는 산림계류습지, 산림계곡습지, 산림저류습지 3개 유형으로 4개소에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 며 야생조류 서식 특성은 봄과 여름 계절별 자주 출현하는 오색딱따구리 등 15종을 중심으로 21개소에 해설내용을 설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관자원은 자연관찰로를 따라 이동 하면서 산림경관, 계곡경관, 조절저수지 경관 등 가장 아름 다운 경관을 연출하는 곳을 대상으로 11개소에 해설내용을 설정하였다. 인용문헌 남상준(1994) 학교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환경위생학 회지, 20(1): 1~7. 송상헌, 김현재(2001) 생명의 숲에서의 자연환경 체험 프로그램 자 료개발 - 홀리스틱 교육에서의 통합적 환경교육 접근방안으로 -.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 79-132. 송인주(2008) 서울시 생태관광을 위한 생태탐방로 조성방안. 서울 시정개발연구원, 136쪽.
        4,000원
        18.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65%는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요한 생태적 골격을 형성하고 있지만 일제시대와 한국전 쟁을 거치는 약 45년간 우리나라의 산림은 크게 훼손되었다. 휴전 이후에도 화전과 농촌연료 채취로 인해 산림황폐화가 지속되었으나(배재수와 이기봉, 2006) 1972년 산림개발법 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산림복원이 시작되었다. 치산녹화 사업은 황폐화된 우리나라 산림을 효과적으로 복원하였으나 당시 식재된 수목은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 무 등 외래수종이었다. 이로 인해 현재 서울시 산림면적 중 약 37%가 외래수종이 식재된 인공림이다(서울특별시, 2010a). 인공림은 낮은 종다양성과 토양환경의 악화, 단순 한 경관 및 유지관리 소홀로 인한 목재생산의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갖고 있어(近田, 1992) 도시림의 생물다양성과 자연성을 저해하고 있다. 서울시는 외곽에 대규모 산림이 입지해 있으며 내부에 파편화된 소규모 산림이 산재해 있는데, 이들 산림은 서울 시 대부분의 녹지면적을 차지하고 있어 도시환경 완화측면, 생태적 측면, 휴양 측면에서 모두 가치가 높다. 그러나 서울 시의 급격한 도시화는 기온 상승, 강우량 증가, 상대습도 감소, 지하수위 하강을 초래하였고 자동차수의 급격한 증 가, 중국 해안의 산업단지 입지 등 오염배출원 증가는 대기 오염과 산성비 등에 의한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급격 한 환경변화는 1980년대 이후 산림 생태계의 쇠퇴경향을 발생하게 하였으며(이경재 등, 1992; 1993) 도시 산림의 생 물종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환경변화에 의한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생활환경오염이 심화되었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지 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지금까지 도시림에 대한 생태적 연구는 대체로 국지적으로 한정된 지역에서 실시되어 도시 전체적인 종합적 진단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밀도로 도시화되고 환경오염이 심화된 서울 시를 대상으로 도시림을 입지 특성에 따라 외곽 핵심 도시 림, 외곽 거점 도시림, 도심 핵심 도시림, 도심 거점 도시림 으로 구분하여 식생분포와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도시림의 시간 흐름에 따른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하여 서울 도시림의 천이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지는 한국의 생물기후구계도(김종원, 2004)를 바탕으로 도시형 식생이 발달하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시를 포함한 중부내륙형 생물기후 구 중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입구의 참나무류림을 자연식생 군락의 대조구로 선정하였다. 세부연구대상지는 도심의 환 경오염물질 정도를 고려하여 도심부와 외곽으로 구분하였 고 이수동(2005)의 식생다양성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외곽 핵심 도시림 4개소, 외곽 거점 도시림 4개소, 도심 핵심 도 시림 2개소, 도심 거점 도시림 3개소로 유형화하였다. 2. 조사분석방법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는 도시환경 변화 원인으로 도시개 발 및 재개발 현황, 차량등록대수 현황을 분석하였고 도시 환경 측면에서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지하수위 및 지하수 이용량, 대기오염 및 강우산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필요 한 자료는 서울시통계연보(서울특별시, 2010b), 서울시도 시계획연혁(서울특별시, 2001),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자료 를 참고하였다. 도시림 식생분포는 대상지별 교목층 식생상 관을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여 식생유형별 면적비 율을 산출하여 도시림 유형별로 비교하였다. 도시림 식생구 조 특성은 현존식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면적비율 2%이 상의 유형을 대상으로 20m×20m(400㎡) 조사구 3개씩을 무작위 추출하여 통합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층위별 상대 우점치(Curtis & McIntosh, 1951), 평균상대우점치(Brower & Zar, 1977),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종수 및 개 체수, 종다양도지수(Pielou, 1975)를 분석하였다. 도시림 식 생구조 변화는 도시림 유형별 비교식생군락을 선정하고 도 시림 식생구조 특성 분석과 동일한 항목에 대해 연도별 변 화를 비교하였으며 종구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양 이화 학적 특성은 토양 pH,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 도시환경 변화 원인 중 도시개발 및 재개발 분석결과 1960년부터 시행된 도시개발로 총 165.8㎢가 개발되었으 며 도시 재개발도 1978년 이후부터 13.7㎢ 면적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도시개발사업과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1980년 부터 주택건설은 단독주택에서 고층 공동주택지로 유형이 변화하였다. 최근 대도시에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제 시되고 있는 자동차의 등록대수를 분석한 결과, 총 자동차 대수는 2000년대 들어 천만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서 울시 도시환경 변화 원인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는 도시개발 에 의한 토지이용 변화, 고층 건축물 건설로 인한 고밀화, 차량 증가 등 도시환경 변화의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는 변 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를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은 40년간 1.5℃ 상승하였고 강수량은 연도별 차이가 심하여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상대습도는 67.7%에서 61.1%로 감소하 고 있었다. 지하수는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 나 지하수위는 지난 9년간 0.5m 하강하였는데 이는 불투수 포장면적 증가와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지하 터파 기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대기오염에서 NO2 농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강우 pH 값이 낮아져 산성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 스펙트럼을 바탕으로 서울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변화를 추정한 결과 토양 산성화, 이로 인한 도시환경 적응종의 세력 증가, 종수 및 개체수 감소, 외래종의 증가 및 확산, 적윤지성 및 호습성의 자생종 도태와 건조지성 자생종 세력 증가, 전체 종수 및 개체수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식생의 구조적 변화는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생태적 천이 중단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서울시 도시림 식생분포 특성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연 림은 외곽 핵심 도시림과 도심 핵심 도시림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혼효림은 외곽 핵심 도시림과 외곽 거점 도시 림, 인공림은 외곽 거점 도시림과 도심 거점 도시림에서 면 적이 넓었다. 핵심 도시림과 거점 도시림의 식생분포 특성 의 차이는 자연림의 면적비율로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 보다 자연림 면적이 넓고 인공림 면적은 협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 이유는 외곽 도시림의 경우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보다 지형이 험준하고 표고가 높아 1970년대에 시행된 치산녹화사업 당시 아까시나무, 은사시 나무 등 외래수종을 주로 산림 주연부에 식재하여 산림 내 부에서 이차림이 발달하였기 때문이었다. 도심 도시림 중 핵심 도시림은 남산, 창덕궁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 기 때문에 식생의 복원, 관리 등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어 자 연림의 면적이 넓었다. 거점 도시림은 표고가 낮아 외래식물군락이 넓게 조성되 었으며 시가화지역에 둘러싸여 있어 도시화와 이용 등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곽 도시림과 도심 도시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외곽 도시림의 자연 림과 혼효림의 면적이 도심 도시림보다 상대적으로 넓었다. 3. 서울시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 서울시 도시림의 주요 식생유형별 층위별 상대우점치와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도시림의 자생식물군락은 유형과 상관없이 대체로 생태적 천이가 중 단된 상태였다. 자생식물군락 중 천이가 예측된 군락을 살 펴보면 도심 핵심 도시림에서 산벚나무군락이 팥배나무군 락으로 천이 진행이 예측되었고 도심 거점 도시림에서는 신갈나무군락이 졸참나무군락으로, 상수리나무군락이 신 갈나무군락으로 천이 진행이 예측되었다. 도시환경에 적응성이 강한 팥배나무와 때죽나무는 군락 내 평균상대우점치가 0.1~22.1%이었고 특히 도심 핵심 도 시림에서 평균상대우점치가 높았다. 군락별 평균 Shannon 의 종다양도지수는 자생식물군락 1.1493~1.2570, 외래식물 군락 0.8832~1.2923이었고 외곽 도시림이 도심 내부 도시 림보다 비교적 종다양도지수가 높았다. 토양 화학성 분석결 과, 도시림 유형별 평균 토양 산도는 pH 4.60~pH 4.77로 산성토양이었다. 토양 산도는 외곽 도시림과 도심 도시림간 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보다 토양 pH 값이 높았다. 4. 서울시 도시림 식생구조 변화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과거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 조 변화를 고찰하였다. 천이 경향 분석결과 자생식물군락에 서는 극상수종의 출현이 없어 천이가 중단된 상태였고 외래식물군락에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림으로 의 천이 잠재성이 있었으나 도심 도시림의 경우 생태적 천 이가 중단된 상태로 판단되었다. 도시환경에 적응성이 강한 팥배나무와 때죽나무 평균상 대우점치는 최대 12.2% 증가하여 타 수종보다 증가율이 높 았다. 도시환경 변화에 의해 유입된 외래종인 일본목련, 가 죽나무, 족제비싸리 등은 최대 1.7%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외곽 도시림보다 도심 도시림에서 뚜렷하게 나타났 다. 종구성 변화에서는 단풍나무, 고욤나무, 일본목련, 족제 비싸리 등 외래종이 출현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도시온도 증가와 토양산성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하수위 하 강과 상대습도 감소로 인한 건조화의 영향을 예측하였으나 실제 식생구조에서 건조화에 의한 종구성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군락별로 전체는 다소 증가 하였으나 교목·아교목층에서는 최대 0.1340이 감소하였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가 증가한 도시림 유형은 도심 거 점 도시림이었고 주로 외래식물군락에서 증가하였다. 그러 나 종다양도지수의 증가는 고욤나무, 물오리나무, 붉나무, 팥배나무 등 외래종과 아교목성상의 자생종 출현 때문이었 고 이러한 변화는 생태적 천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 로 판단되었다. 토양 pH 변화에서는 외곽 핵심 도시림이 pH 5.40→pH 4.92, 도심 핵심 도시림 pH 4.73→pH 4.72, 도심 거점 도시 림 pH 4.59→pH 4.58로 다소 감소하거나 큰 변화 없이 산 성토양을 유지하였다. 5. 서울시 도시림 생태적 변화 종합 도시림의 식생구조 특성과 변화를 종합 고찰하여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생태적 특성과 이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경향, 천이 계열을 정리하였다. 생태적 천이는 자생식물군 락의 생태적 천이가 중단되었다. 일부 군락에서 졸참나무 림, 팥배나무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된 바 있으나 극상림으로 의 천이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외래식물군락은 도심 거 점 도시림에서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각의 영향요인 관계를 종합하여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 원인과 결과를 모식도로 제시하였다.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차량의 증가는 도시 기온 상승, 상대습도 감소, 지하수 위 하강, 대기오염 증가, 산성우 발생 등의 도시환경 변화를 야기하였다. 도시환경 변화는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를 발생 시켰다. 대체로 생태적 천이는 도시림 및 식생군락 유형에 상관없이 중단된 상태였고 특히 자생식물군락 중 참나무류 군락과 도심 내부에 위치한 아까시나무림 등 외래식물군락 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6. 서울시 도시림 관리 제언 1) 자생식물군락 대조구인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입구의 상수리나무군락 은 까치박달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예측되었으나 도시 림의 대표 자생식물군락인 신갈나무군락은 극상림으로의 천이 잠재성이 없는 상태였다. 따라서 서울시 도시환경과 토양 산성화를 고려할 때 현재의 낙엽참나무류군집 유지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 제언으로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의 식재와 종자 파종으로 식생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참나무시들음병 등 병해충에 의한 식생구조 쇠퇴 방지를 제안하였다. 종다양성 증진 관리는 대조구의 종다양도지수(H') 1.2666을 관리 목 표로 설정하여 종구성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를 교 란하는 일본목련, 가죽나무, 잣나무 등의 관리를 제안하였 다. 2) 외래식물군락 외래식물군락의 관리는 도시림에 분포하는 인공림 중 대 표 유형인 아까시나무림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외곽 도시 림과 도심 도시림의 지형구조에 따른 아까시나무림의 생태 적 천이계열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외곽 도시림의 경우 대체로 신갈나무 또는 졸참나무군락으로의 천이 잠재성이 있었으나 도심 도시림의 경우 대부분 천이가 중단된 상태였 다. 분석된 천이계열을 바탕으로 외곽 도시림의 아까시나무 군락은 자연성과 생태적 건강성의 회복을 관리방향으로 설 정하였다. 생태적 천이 진행 및 유도관리는 아까시나무 밀 도관리, 숲가꾸기사업 중단, 식생복원모델 도입 등을 제안 하였다. 도심 도시림은 외곽 도시림의 지형별 천이계열을 목표식생군락으로 설정하여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지역을 대상으로 식생복원모델 도입을 통한 적극적인 식생복원을 제안하였다. 3) 도시화 지표종 제안 도시화 지표종은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과 식생구조 변화 분석에서 나타난 종 중에서 도시환경의 영향에 따라 확산되 거나 세력이 증가하는 종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자생종으 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팥배나무, 때죽나무, 외래종으로는 고욤나무, 단풍나무, 가죽나무, 일본목련, 족제비싸리 등 총 7종을 관리 및 모니터링 대상종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가죽 나무, 일본목련, 족제비싸리는 도시환경 적응속도가 빠르고 급속도로 확산되는 성질이 있어 지속적인 확산방지 관리가 필요하였다. 인용문헌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304쪽. 배재수, 이기봉(2006) 해방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가 산림녹화 에 미친 영향. 한국임학회지 95(1): 60-72. 서울특별시(2001) 서울도시계획연혁. 1255쪽. 서울특별시(2010a) 도시생태현황도 정비·제작 -2차년도-. 464쪽. 서울특별시(2010b) 서울통계연보. 730쪽. 이경재, 최송현, 조재창(1992) 광릉 삼림의 식물군집구조(Ⅱ)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죽엽산 삼림의 식물 군집구조 분석-. 한국식물학회지 33(3): 173-182. 이경재 외 17인(1993) 도시 및 공업단지 주변의 Green복원 기술 개 발(Ⅰ). 환경처·과학기술처, 291쪽. 이수동(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 가 및 연결기법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58쪽. 近田文弘(1992) 富士山におけるブナ林の復元. in 自然林の 復 元. 130-137pp.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Dubuque, Iowa, 194pp.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l65pp.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