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Gen AI) ChatGPT를 활용한 초등과학 모의수업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특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비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의 예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태양계와 별, 날씨와 우리 생활, 지 구와 달의 운동, 계절의 변화 등 지구와 우주 영역의 대단원을 중심으로 5주간 한 차시 과학 수업을 준비하였다. 자료 는 수업 지도안, 수업 자료, 활동지, ChatGPT 대화 로그, 모의수업 영상 및 음성녹음, 반구조화된 면담 등을 통해 수집 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 통합 평가 틀(TIAR)을 수정하여 주제 중심 분석과 반복적 비교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진 행되었다. 연구 결과, ChatGPT는 초등과학 수업에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교수학습 모형, 도구적 활용 측면에서 유의 미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특히, ChatGPT는 학습 활동을 촉진하는 도구로 긍정적인 역할 수행의 가능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ChatGPT 활용 시 정보의 신뢰성 문제, 명령어 입력 한계, 학생들의 Gen AI 의존성, 교사의 역량 요구 증가 등 도전 과제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ChatGPT가 과학교육에서 학습 촉진자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 하며,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기술적 역량 강화를 제언하였다.
        5,2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at in-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attribute to edutech, which is widely used in primary education. To this end, 57 primary school teache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 Stat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lated to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edutech in education. The results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rough SPSS and IPA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on edutech understanding showed the importance of most items was higher than their performance levels, and the results of the sample t-test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demonstrated the areas requiring focus were related to diagnosing the learning process and monitoring progress through edutech. Next, statistical analysis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tech utilization capabilities found the average importance of overall edutech utilization capabilities was about 0.6 points higher than thei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edutech utilization capabilities, current performance in the educational field did not meet this level.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edutech and strengthen related skill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AIDT.
        4,600원
        3.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금융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기의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 관련 내용은 대체로 은행이나 조합과 같은 금융기관에 대한 이해와 절약 및 저축에 대한 강조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이후 교육과정이 개정을 거듭하는 과정에 서 금융기관에 대한 이해와 절약에 대한 강조는 점차 줄어들었으며, 가정의 수입과 지출에 대한 이해와 이에 바탕을 둔 현명한 소비와 같은 가계의 재무관리 측면이 부각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이 여러 변화를 거듭하는 과정에서도 저축에 대한 강조는 약화되지 않았다. 넷째, 보험, 예금, IMF 등과 같이 일회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금융교육 내용 요소가 있다.
        5,8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long time, the teaching concept of “monism” has made the field of international Chinese teaching focus on “words”, not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that are difficult to teach and learn have not been effectively improved. In 2021,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et a new direction for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listing a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 separately for the first time also reflects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Long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Grading Standards”, a small number of international comprehensive Chinese textbooks had compiled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s, but there were man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Grading Standards”. This kind of Chinese characters or have a large number of strokes, or the shapes of the strokes are more difficult, or the structures are more complex, or the ability to form words is weak, etc., which is exactly the opposi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ing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evant analysis, it can provide practical reference for the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extbooks in the future.
        6,000원
        5.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3, 4, 5, 6학년 체육교과서 8 종 32권을 확보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학년 표현 영역은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 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편성하고 있었다. 4학년은 대다수 교과서들이 공, 후프, 리본을 이용한 체조를 제시 하고 있었으며, 5학년의 경우 우리나라 민속춤과 관련하여 강강술래, 탈춤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외국 민속 무용과 관련하여 티니클링, 구스타프스콜이 제시되어 있었다. 6학년의 경우 주제표현과 관련하여 표현 요 소 탐색과 표현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창작체조를 중심으로 주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용 무용 중 라인댄스가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표현 영역은 그 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내외적 문제들로 인해 학교 현장교사들은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현 영 역은 인지, 심동,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에서의 표현 영역 수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과 검정교과서 16종과 보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P 모형에 기반 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를 운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창의적 심성에서는 ‘탐구심’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요소들은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활동 주체는 ‘개인’과 ‘동료(팀)’가 비 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활동 영역은 모두 ‘학습’으로 나타났고 활동 목적은 대부 분의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창의적 과정이 활용되는 모습이 탐색되었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 에서 활동 방식은 신체활동수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3개의 활동 방식이 함께 쓰이고 있었다. 창의 성 요소는 모든 요소가 골고루 나타난 가운데 민감성과 정교성이 4개로 가장 많았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 점에서 활동 공간은 제약 없음이 대부분이었으며 활동 매체는 신체를 활용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이 연구 를 통하여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어야 함이 요구되었고 무용 활동 의 창의성 교육 내용이 타영역으로 확산되어야 할 필요성이 탐색되었다.
        4,800원
        7.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골연령에 따라 군집화 시켜 각 군집 그룹의 체격, 체력 및 골성숙도를 분석하고 자료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8세∼13세에 해당하는 2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도 산출을 위해 X-ray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 점수 환산표에 적용시켜 골성숙도를 산출했다. 신장계(Hanebio, Korea, 2021)와 Inbody 270 (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외발 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셔 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과 Britics Studio Tool을 이용하여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을 실시하였으며,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 보통, 조숙의 3가지 골성숙도를 사용하여 군집화한 결과, 군집 1(미숙)은 근력, 평형성, 민첩성에서 높게 나 타났다. 군집 2(보통)는 유연성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군집 3(조숙)은 근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장, 체중, 체지방률 모두 군집 3(조숙)이 높 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악력검사(좌, 우)는 군 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고 외발서기의 경우 군집 1(미숙)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자리멀리뛰기의 경우 군 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다.
        4,200원
        8.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돌봄서비스 중 하나인 다함께돌봄 정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정책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Gilbert와 Terrell(2005)의 산출분석 틀을 활용하여 다함께돌봄사업 정책 내용 및 변화과 정을 분석하여 초등돌봄 정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용 대상측면에서, 다함께돌봄사업의 우선순위는 원칙적으로 소득수준과 무관하며 각 지자체의 상황에 맞게 기관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었다. 둘째, 급여 측면에서 다함께돌봄사업은 자기부담금이 있었으며, 아동의 안전한 보호, 급식 및 간식의 제공, 등・하교 전후, 야간 또는 긴급상황 발생 시 돌봄서비스 제공, 체험 활동 및 교육・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의 연계・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전달체계 측면에서 보면 지자체의 직영이 원칙이나, 대부분의 경우 공개모집을 통한 위탁 운영을 하고 있었다. 넷째, 재정차원에서 보면 전국 기준 동일하게 설치비, 기자재비, 인건비, 운영비 등이 모두 센터 개소를 기준으로 지원되고 있어서 인원, 규모 등에 따른 재정지원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함께돌봄사업이 돌봄체계 구축 및 초등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 중앙정부의 각 지자체별 차별화된 지원정책과 지역사회 중심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5,500원
        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 aspects are dealt with in current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The cover pages, dialogues, main readings, and culture sections of a total of 10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were closely examined in terms of (1) the races and genders of the characters, (2)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contents, and (3) Bennett’s (2010) core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each gender was equally represented and the textbooks present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n a balanced way.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re was an imbalance in terms of racial backgrounds. With respect to the core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eptance and apprecia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universal human rights were the top two value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throughout the textbooks. Responsibility to a world community was the value that was comparatively hard to find in them. Detailed findings are discussed in greater depth, along with implication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6,400원
        10.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Researchers have previously commenced examining the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many disease and impairment populations. Object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n the HRQOL using Korean version of KIDSCREEN-10 questionnaires for applying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for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Methods: The focus groups were recruited for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by implementing the following wellness services: 1) referring to a screening session for detecting potential posture-related musculoskeletal problems and 2) recommending home exercise programs. Before a primary field testing for the program, two focus groups were formed with a group of 9 parents and their 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8–10 years of age. The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 versions of KIDSCREEN-1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fter completion of the wellness program. Item level Rasch rating scale analysis was applied to compute logit scales of KIDSCREEN-10 questionnair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scatterplot of item difficulty between two reports were analyzed. Results: For fit statistics of parent proxy report, all items except 4 items (i.e., psychological well-being, mood/emotions, self-perception, parent relation) were found to be acceptable. For fit statistics of child self-report, all items except 3 items (i.e., psychological well-being, autonomy and home life) were accept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reports using ICCs were ranging from weak to very strong at p = 0.05 (i.e, ICCs = 0.011 to 0.905). Scatterplot analysis between two reports showed a major disparity on self-perception item at 95% confidence intervals. Conclusion: Both item level analyses and ICC comparisons provided a disparity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f the HRQOL on self-perception item after competing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Therapist should consider the item as part of the HRQOL assessment.
        4,000원
        1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r-grade dividing criteria of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consist of two grade groups: the 3rd and 4th grade group and the 5th and 6th grade group.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L2SCA) i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viding criteria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implemented in these textbooks.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listening dialogues for their structural sequencing of 3rd to 4th graders and 5th to 6th graders separately within their own grade groups. Data were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s for inter-grade textbooks for 14 L2SCA statistical indices. The findings are: 6 indices out of the 14 L2SCA statistical indices turn out to be critical for dividing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The 6 indices are mean clause length, mean sentence length, mean t-unit length, mean complex noun phrasal number per phrase and per t-unit and mean number of verb phrases per t-uni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a standardized criteria derived from these 6 indices can be provided as an inter-grade dividing criteria of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6,100원
        12.
        202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베트남의 중국어 학습자들의 개사 말뭉치(코퍼스)』 (2018년판)를 토대로 초급 중국어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들의 지속상 표지 ‘着’ 오류 현황을 고찰한다.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가 ‘첨가’, ‘혼동’, ‘(필요 성분의) 누락’ 이라는 세 유형으로 귀납됨을 알아냈다. 그 결과 ‘첨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이 ‘혼동’ 오류이며, ‘(필요 성분의) 누락’ 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오류 유형을 알 수 있었다. 목적어 규칙의 지나친 일반화가 이러한 오류들 의 주요 원인이었다. 필자는 이를 기반으로 교학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4,600원
        1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ses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listening scripts extracted from the 2015 elementary school English 6 and middle school English 1 textbooks in terms of continuity. Auditory data corpora were drawn from all fiv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five most widely use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Each sentence of listening scripts was manually tagg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orpora were analyzed using 14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with 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 (Lu, 20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tinuity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6 and the middle school English 1 textbooks is relatively well-organized. However, concerning the sequence,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6 was found to be more complex than the middle school English 1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It is suggested that future textbook development should correct the reversed complexity in listening scripts found in this study.
        6,300원
        1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관찰의 맥락을 강조한 달의 위상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그 특징을 파악하여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30명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을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현상의 관찰과 이에 대한 과학적 추론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달의 위상별 출몰 시간표를 도입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태양이 뜨면 달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달이 떠 있다면 무조건 달을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대안 개념이 확인되었다. 셋째, 달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위에 대해서는 태양의 위치와 무관하게 관찰할 수 있다거나 남중할 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달을 관찰하는 날짜는 음력으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육학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600원
        1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영재교육 관점에서 성공지능 이론은 영재교육과정이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특성을 Sternberg의 성공지능 관점을 적용 하여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청 영재교육원 2곳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1곳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각각 143개와 134개를 추출한 후, 이렇게 추출된 발문들의 구조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실행적 능력 등과 같은 성공지능을 균형 있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학생들에게 ‘문제 확인하기’, ‘정보 표상하고 조직하기’, ‘분석적 사고 촉진하기’ 등 분석적 능력 영역을 집중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성공지능의 각 프레임 요소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채 제시되고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과 달리 학습속도 가 빠르고 보다 복합적인 사고를 선호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과학영재교육 교재를 개발할 때에는 과학영재의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의 능력을 경험하고 통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의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5,100원
        1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dability of reading passages used i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ll the reading passages of each textbook were calculated with ATOS (Advantage-TASA Open Standard) formula as a readability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the average readability score of 6th grade English textbooks is higher than that of 5th grade ones. Secondly, the readability of 6th grade English textbooks is about six months ahead of that of 5th grade ones. Thirdly, the readability scores are similar in all reading passages for 5th grade, while the readability scores of 6th grade differ from textbooks to textbooks. According to the textbook writers, the readability score of 6th grade textbooks is higher than that of 5th grade ones in four out of five textbooks. Lastly, In terms of the units in each textbook, the readability scores fluctuate and do not increase sequentially as expected.
        5,700원
        1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별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을 선택하여 ‘새단어’를 중심으로 어휘 등급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살펴보았다. 교재 4종 모두 1등급 이외의 어휘가 54%-68%로 너무 많았다. 등급 외 어휘들도 대단히 많았다. 교재 4종 모두 26-35%가 등급 외 어휘였다. 교재 4종의 1등급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47-74%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하지만 2등급은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13-25%, 3등급의 경우 5-33%, 4-6등급은 0%, 등급 외 어휘들은 6-8%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어휘 반복 횟수가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어휘 빈도수와 어휘 반복 횟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나선형 혹은 순환형 주제 배열 교재와 기능 분리형 교재가 더욱 많아져야 한다.
        5,100원
        1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of the First Experimental Elementary School in Shapingba District of Chongqing City and the Zaozilanya Elementary School in Yuzhong District and the analysis of the pedestrian's consciousness. The improvement plan is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e sidewalks of the two schools are relatively narrow, and there are more pedestrians crossing the road. There is a phenomenon of parking in both schools. The phenomenon of parking in Zaozilanya Elementary School is even more serious. In investigat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school's pedestrian environment, the setting of the signpost, the setting of the crosswalk and signal lights, the setting of the fence, the setting of the vehicle's deceleration facilities, and the control of the school gate are all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afe and comfort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first of all, in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round the school, the setting of the fence, the setting of the speed bump, the improvement of the crosswalk and the signal light. Second, in terms of restrictions, the scope of protection around the school needs to be expanded, and restrictions on parking and restrictions on vehicle traffic need to be implemented. Third, in terms of education and publicity, it is not only necessary to provide safety guidance for students to go to school, but also to provide drivers with driving safety education and publicity.
        4,000원
        19.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에 대한 사용의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VR과 AR의 교육적 사용의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요인은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4개(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의 2개(쾌락적 동기, 비용가치), 그리고 기타 1개(지각된 위험)의 총 7개이다. 분석결과, UTAUT 요인 기반의 ‘모형2’ 에서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노력기대’ 순으로 이었으며, UTAUT2 요인 기반의 ‘모형3’에서 교사의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성과기대’ 순 이었다. 본 연구의 7개 변인이 모두 투입된 최종 모형에서는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쾌락적 동기’, ‘사회적 영향’, ‘성과기대’, ‘지각된 위험’ 순 이었으며, 이 때 ‘지각된 위험’은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설문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과반 수 이상은 VR과 AR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반응을 보였다. 때문에 VR과 AR을 미래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고려하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교육적 연구가 적극 필요하다.
        6,000원
        2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or among students themselves in a Korea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by analysing classroom talk and by focusing on the types of the teacher’s questions and feedback as well as the use of L1 and L2. This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uch interaction on the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in English. A female teacher in Gyeonggi province and a 6th-grade class participated in the data collection. This study included data from video or audio recordings, interviews, field notes, self-assessments, and portfolio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sed using Tsui’s (1994) framework and Verplaetse’s (1995, 2000) cod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patterns varied between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teacher-initiated talk (e.g., T-S talk) vs students-initiated talk (e.g., S-T talk & S-S talk). At the beginning stage of lesson, the teacher-initiated talk made up the majority of talk in English, and facilitated the students’ involvement in classroom learning including their language use. In the S-S talk, the students were involved in interaction which occurred naturally without the teacher’s control.
        6,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