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2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사고는 항상 인적/물적 피해를 동반한다. 이러한 해양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선박의 관리급 해기사가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비상 상황에 적절히 대응 한다면 이러한 인적/물적 피해는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사례분석을 바탕 으로 해양사고 발생 시 부족했던 해기능력 식별,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능력을 비교, 선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비상대응 매뉴얼 분석 및 설문을 통해 해기사의 비상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주요 해양사고사례를 통해서 많은 관리급 항해사가 손상복원력, 비손상복원력에 대한 지식의 부재를 식별하였고,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해기능력의 경우 일부 축소해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선사의 비상대응 매뉴얼은 대체로 잘 갖추어져 있으나 실제 비상시 활용 측면에서 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선원 및 선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해기교육의 확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비상상황에 대한 간접경험 기회제공 확대 및 비상 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 한 지침 또는 매뉴얼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4,000원
        22.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동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 내의 전문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과 직무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요인을 찾아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을 높이고,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8,400원
        2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Statistic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활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800원
        2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PEP-NKMF (Parents Empowerment Program in North Korea Migrant Family). A total of 20 teenager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 S school in Seoul city and five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at this schoo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6 to 31, 2017.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Nvivo 11.0,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for forming nodes by tree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requested the family relationship competence, adaptation, interest and love from their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reques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value and the practical l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parental competence building program, which is to be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are analyzed based not on theories but on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7,700원
        2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is a cross-culture study looking into how organization’s customer orientation and empowerment influence hotel employees’ three types of OCBs (OCB-O, OCB-I and OCB-C). Using data collected from US and Australia employees, the study found that customer orient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ployees’ three types of OCBs, while empowerment was only a significant predictor for employees’ OCB-C. Culture was found to moderate the proposed relationships, with stronger relationships observed in US than in Australia.
        26.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e traditional approach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are revealing to be unable of raising awareness and increasing stakeholders’ empowerment, often failing to impro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n this study, the digitally co-created CSR activities will be explored using a more general approach, which will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these philanthropic activities, i.e. the activities where companies invite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resolution of a social issue but without asking them to buy the brand’s products. Moreover, in the present study, interactivity and freedom of cause' choices are both believed to be two mechanisms that play a key role in generating more empowered stakeholders, with increased propensity for participating in co-created CSR initiati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digitally co-created CSR activities since it may represent a major opportunity for organizations to add value and meaning to stakeholders (and even for society at large), where the two parties work together to solve a social issue. Theoretical development The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1999) defin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continuing commitment by business to behave ethically and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rkforce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of the local community and society at large.” Although previous findings regarding the financial implications of CSR might have been ambiguous, there is an increasingly acceptance about the positive outcomes these activities have in building brand equity, brand image (Esmaeilpour & Barjoei, 2016), in improving reputation, trust and loyalty among consumers (Stanaland et al., 2011) and in the willingness consumers have to purchase and possibly even paying higher prices for products of firms with more CSR engagement (Servaes & Tamayo, 2013). Additionally, with consumers’ and other stakeholders’ (e.g., employees, channel partners, regulators) increasing expectations that organizations should behave in socially responsible ways (Mishra & Modi, 2016), CSR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business practice over the last years, with many firms dedicating a section of their annual reports and corporate websites to CSR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 Arrillaga-Andreessen (2016) notes that the new generations seem to have soci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ir DNA. They are united in wanting to do more than acquire material riches and measure success by their ability to transform the lives of others. Their question is not “What do I want to be when I grow up?” but “How will the world be different because I lived in it?”. In Euromonitor’s Top 10 Global Consumer Trends for 2015, Consumer Trends Consultant Daphne Kasriel-Alexander states that consumption is increasingly being driven by the heart: consumers are making choices defined by their positive impact on the world and community. Despite the strong interest in CSR activities, particularly in its outcomes, in firms’ value and branding, there is yet littl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in a social media context. This exploratory research aims to fill this gap, by focusing on the branding outcomes a CSR activity can generate while communicated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nd using participatory approaches. Some researchers already found it questionable how stakeholder dialogue and engagement through corporate websites and CSR reports are accomplished and if they necessarily lead to greater stakeholder participation (Chaudhri, 2016). Thus, one of the research objectives is to examine if using a participatory CSR activity in social media rather than (or, at least,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ommunicating CSR performance on firms´ annual reports can generate greater outcomes for brands, especially by testing if these activities can raise awareness, increase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levels. Some authors (Du et al., 2010) found two key challenges regarding CSR communication: the first one is the need for higher levels of awareness, as several researchers already found that a company can only benefit, enhance critical branding outcomes and even increase firm value through CSR activities if it has a high advertising intensity. These activities have low or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for firms with low advertising intensity, sometimes with costs outweighing the benefits, as the lack of customer awareness about CSR activities represents a major limiting factor for their ability to respond to such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 Thus, Sen et al. (2006) argue that to reap the positive benefits of CSR, companies need to work harder at raising awareness levels. Although not every firm might experience high levels of awareness (since not every organization can support high advertisement intensity or already have strong branding), this research responds to the call for further research by “exploring channels available for dissemination of CSR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1059), in particular, the social media channels, and by providing new research on “the extent to which these new social and communicative arrangements are being realized by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s and the attendant implications for CSR communication”, as it currently represents an “evolving area of investigation” (Chaudri, 2016, p.422). Therefore, once it is recommended that companies work on increasing CSR awareness levels, social media sites, such as Facebook, can be powerful channels not only due to its popularity and vast audience reach at a much lower cost, but also due to the opportunities consumers’ word-of-mouth can create (Du, Bhattacharya, & Sen., 2010). The second challenge is concerned with minimizing stakeholder scepticism. Stakeholders quickly become suspicious of the CSR motives when companies aggressively promote their CSR efforts (Du, Bhattacharya, & Sen, 2010). Communicating CSR is a very delicate matter. It requires a certain sensitivity and balance, where organizations face the paradox of demonstrating social responsibility without communicating it blatantly, and being simultaneously credible, informative, and engaging (Chaudri, 2016). There’s also no room for inconsistencies, as CSR is all about being selfless and charitable, the need for transparency and honesty is a must, since on one hand, these activities can have a backlash effect if stakeholders become suspicious and perceive predominantly extrinsic motives in companies’ social initiatives (i.e. when the company is seen as attempting to increase its profits) and, on the other hand, stronger attributions to genuine concern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reactions towards the company, both internally and behaviourally (Sen et al., 2006). Kesavan et al. (2013) also found that social media is increasingly perceived by consumers as a more trustworthy source of CSR information than traditional media tools (e.g., TV and advertising). Based on above argumentation we formulate: H1: Online co-created CSR activities have greater potential for raising awareness than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H2: Online participatory CSR activities can increase consumers’ empowerment levels. Research design Globall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8 questions, separat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composed by 14 questions that measured social networking usage, current CSR awareness levels, general use of the traditional CSR communication channels, current level of control felt by respondents towards CSR activities, the empowerment felt after companies adding cause choice freedom and respondents’ attitudes towards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participatory CSR initiatives. The second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consists in 10 questions regarding a real CSR initiative, implemented in March 2016, by one of the biggest Portuguese retailers - Continente. After a brief contextualization, the questions measured activity recall rate, participation rate, reasons to (or not to) participate, WoM dissemination rate (or propensity), perception of brand image after the initiative and attitudes towards online co-created CSR initiatives (acceptance levels). The third and last section contained 4 questions regarding socio-demographic measures, namely: nationality, age,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The launch of the questionnaire comprises two stages: for the first stage, it is prepared a pre-test of the questionnaire, which was the pillar for the second and main stage: the online questionnaire. Pre-testing is a method to evaluate in advance if a questionnaire causes misunderstandings, ambiguities, or other difficulties with instrument items to respondents, helping researchers minimizing future errors. During the pre-test stage, a total of 10 people is selected to be monitored while responding to the first draft of the questionnaire. This stage provided important insights about each one of the questions previously elaborated, allowing for reviewing and refining them, as well as adding more questions that revealed to be relevant for the study. As for the second stage,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launched in social networks - Facebook, Instagram and LinkedIn - and in an international forum - Reddit, from 18th of June of 2017 to 01th of August of 2017. Results and conclusions Findings from 322 valid responses provide clear evidence that co-creating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in social media can indeed increase not only the awareness for such actions, but also increase empowerment, participation levels, positive word-of-mouth dissemination, and reinforce consumer-brand ties in the process. Currently, individuals feel very low control regarding the process and the outcomes of CSR initiatives, and that by providing interactivity experiences and adding freedom of cause choice, organizations can increase stakeholders’ empowerment levels, consequently enhancing participation, one of the dimensions of consumer engagement. Online users are starting to connect with their preferred brands in social media and are demanding interactive experiences. Although SNS presents many opportunities for brands to guarantee that they remain relevant to its consumers and other stakeholders, the findings imply that social media remains unexplored as a CSR communication channel by organizations. Considering that the traditional communicating channels used to inform shareholders about these initiatives have a very low adherence by the general public and that they are failing to provide more awareness to CSR activities, brand managers need to devise different strategies for the optimal communication of these initiatives in new channels, which have higher potential to result not only in improved attitudes and brand image, but also in the increased intent of stakeholders to commit personal resources (e.g., money, time, etc.) to the benefit of the company, in a near future. Even for the users who do not follow brands in their SNS, for example, companies can still use SNS tools such as targeted posts (i.e. promoted posts that appear in target users’ feed), to ensure that their awareness and relevance levels remains significant, especially when companies are seeking for users with specific interests.
        4,000원
        2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tries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influence by social media on user and trie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influence and consumption patterns. Therefore, we contend that social media are platforms of interaction in that they can generate social empowerment—users feeling that they have an impact on others which gives them high self-worth (Sara Hanson, 2017) and temporarily rise self-worth can lead low self-control. Khan and Dhar (2006) find that a prior virtuous act can momentarily increase one’s self-concept, which leads to more self-indulgence in unrelated decisions. In this paper, we also investigated the two types of social media users by their presentation focus (self vs. other). In social media, there are two types of users: player & watcher. Players are users who have many followers, post lots of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and need love and attention from other users. Thus, a player which is called self-presentation focus (Wilcox, 2013) is defined as a user who focuses on information they are presenting to people in social media. In contrast, watchers are users who don’t post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s actively as players but love to observe and like or dislike other users’ posts. Thus, a watcher which is called other-presentation focus (Wilcox, 2013) is defined as a user who focuses on information people present to them in social media and this is called other-presentation focus. In general, players could feel more social empowerment because posting information can be one of the activities involving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However, we contend that watchers will feel rather more social empowerment because having an impact, or having the feeling of social empowerment, involves the perception that one’s actions are beneficial to others, which is giving a like or comment to other user in social media (Grant and Campbell 2007). This research will have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will show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users’ behavior and mentality, and which are related to self-control and social-empowerment. Second, this study will discover which type of social media user can be affected effectively by firms’ social media efforts.
        2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훈련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 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유아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훈 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과 훈련체계 구성이 포함된다. 둘째, 개발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테스트 결과의 분석,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용 훈련 효과의 분석 이 포함된다. 연구 결과, 황금원 모델에 따른 구인별 음원 24개, 스탬프로 제작된 습관별 코칭 놀이감 8개, 구인별 음원과 코칭 놀이감을 활용한 코칭 스크립트 24개, 모듈별 코칭 동영상 3개, 8시간의 교사 훈련 체계를 포함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 테스 트,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 용 훈련 효과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 교사에게 유의미 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6,700원
        2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 회적 기술,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이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진 실험 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전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3회 50분씩, 12주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손 기능은 핀치 게이지(pinch gauge)와 퍼듀페그보드(Purdue pegboard)를, 인지기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를,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 SSRS)를, 직무능력은 직업인성 프로파일(work personality 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 직무능력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인지 기능과 사회적 기술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기에 취업이나 구직을 원하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강화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4,900원
        3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황적 리더십 유형인 지시적, 설득적, 참여적, 위임적 리더십유형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조직의 성과는 높이고 이직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의 변화를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살펴 보았다. 가설검점(N=310)결과 지시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대하여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득적 리더십에 대한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대한 부(-)적 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어 설득적 리더십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은 부(-)적 영향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적 리더십과 위임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위임적 리더십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파워먼트는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임파워먼트는 상황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설득적 리더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조직확대를 통한 승진을 통한 경력관리 중심에서 직무를 통한 경력 관리 체제로 접어들면서 과거의 정보공유와 통제 중심의 조직관리에서 자율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리더십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조직관리와 단순한 위임이 아닌 임파워먼트를 통한 직무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있다고 할 수 있다.
        5,700원
        3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LMX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육성적 피드백이 심리 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에 소 재한 6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327명의 직원이었으며, 이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LMX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 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LMX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육성적 피드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LMX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넷 째, 육성적 피드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LMX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LMX를 관리하는 동시에 육성적 피드백을 높은 수준으로 제공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이 경험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5,500원
        3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organization efficiency in fashion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acro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of fashion companies, and 320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group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in fashion compan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mpetence and meaning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 innovative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determination, and th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f fashion companies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the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job commitment. The group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nega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hierarchic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impact, and meaning)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the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positively influenced job commitment. Competence nega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impact posi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roup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by ages, as well as a difference in the hierarchical culture and self-determination by work depart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in fashion companies.
        5,500원
        3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러한 인과관계가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 역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수집된 854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공공 기관 사회복지사 435부, 민간기관 사회복지사 368부 총 803부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 각할수록 조직몰입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소진 의 매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진은 낮아지고, 이렇게 낮아진 소진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른 사회복지사가 지각 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 모두 임파워먼트는 소진에, 소진은 조직몰입에,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영향은 미치지만 연구변인들의 영향 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도를 높이 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사회복지사의 소진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노력과 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5,200원
        34.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tenets of the European theory of social quality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to Asian societies. It takes into account the constructs behind the term ‘the social’ by focusing on its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ideological and ethical aspects followed by the meaning of quality. It review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i.e. tension between biographical and societal development) and the horizontal pillar (i.e. tension between the institutions and collective or individual actions).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illars, social quality embraces four specific dimensions: social cohesion, socio-economic security, inclusion, and empowerment. Finally, the paper discusses the benefit and limitation of the European theory of social quality for Asian social quality research.
        4,600원
        35.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 구성원은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가치를 찾고 자신이 속한 조직에 애착을 가지고자 한다.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이 존재하지만, 상사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는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많은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갖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상사의 부정적인 리더십 행동에 기인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간의 리더십 연구들은 리더의 긍정적인 리더십 행동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상사의 부정적 리더십 행동 중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의 메커 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과 구성 원의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해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인 행동은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동일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 동일시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 격적인 행동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재확 인하였다는 점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영향에 대한 외적 타당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보다 중요하 게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조직의 관리자들에게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구성원에 미치는 부정적 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조직 차원에서 관리자의 비인격적 행동을 올바르게 관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6,000원
        36.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uses ingratiation theory (Jones, 1964)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online luxury brand communities, using an observational netnography. We analyse and discuss the diverging strategies held by low and high power community members, and the role played by flattery in maintaining and gaining status in the community.
        3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한 조직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중요성에 주목하였고, 검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은 직무만족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임파원먼트의 의미성은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 한 자기권한에서도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검증결과 제시한 4개의 가설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써 직무몰입과 직무만족 이론적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들 수 있겠다.
        5,400원
        3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에서 자신의 감정과 다른 감정을 표현해야 되는 직무역할 때문에 새롭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감정노동행동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 경남 지역 서비스업체 423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종업원 감정노동행동의 하위차원인 기초내면행동과 고객관점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기초표면행동, 심화표면행동,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행동 하위차원 중 기초내면행동과 고객응대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행동 하위차원 중 심화표면행동, 고객응대 내면행동, 그리고 고객관점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행동의 하위차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시사점과 조직에서 감정노동행동을 하는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6,400원
        39.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rand-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STL) on employee-based brand equity (EBBE) with the mediating mechanism of empowerment. We explore the newly emerging concept of ‘employee based brand equity’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service industry. Furthermore, we explore the perspective of empowerment,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the mediating mechanism between BSTL and EBBE. We highligh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BSTL on EBBE and employ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5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ultilevel data of subordinates and their supervisors at 58 well-known service brand units in Taiwan. Our research results implicate that: (1) BSTL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base brand equity; (2) Structure empowerment is a mediator factor of BSTL and employee base brand equity relationship; (3)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a mediator factor of BSTL and employee base brand equity relationship. This study presents three key contribu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research contributions: (a)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customer brand equity, we initiate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research on frontline employee based brand equity. (b) This study suggests and confirms that BSTL influences EBBE through the mediation of structure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hich further contributes to EBBE research. (c) Finally, this study appli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conduct a cross-level analysis of EBBE.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e previous assertion that comprehensive insight into service organizational behaviors can be achieved only by employing cross-level analysis and mediating factors.
        4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not only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affecting creativi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Creativity refers to the production of novel and useful ideas by an individual or by a group of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2]. A survey was conducted by 301 employee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which treated the servant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s. Empowerment was supposed as mediating variable of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is study,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on empowerment. Empower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Also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t first, but i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reativity when empowerment was considered. These mean that empowerment is complete mediation variable because servant leadership no longer affects creativity after empowerment has been considered. Sever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4,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