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장테두리진딧물의 온도의존적 발육과 산자(산란)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6개의 항온조건(10, 15, 20, 25, 30, 35±1.0℃, RH 50~70%, 16L:8D)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10℃에서 42.9일과 30℃에서 4.7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감소하였 다. 약충은 35℃에서 2영기 이후 성충까지 발육하지 못하였다. 선형모형 결과 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8.3℃, 발육 유효적산온도는 101.6DD 이 었다. 약충 발육율과 온도와의 관계는 비선형 Lactin 2으로 잘 설명되었다. 약충 발육기간의 분포는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충 수명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5℃에서 24.0일, 30℃에서 4.3일의 범위에 있었고, 10℃에서 비정상적으로 수명이 짧았다 (11.1 일). 총산자수는 20℃에서 38.2마리로 최대값을 보였고, 10℃에서 3.4마리로 최소값을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무시 성충의 산자모 형을 작성할 수 있는 온도별 총산자수 모형, 연령별 누적생존율 모형, 연령별 누적 산자율 모형 및 생리적 연령 계산을 위한 성충 노화율 모형을 제 시하였다.
        4,300원
        2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발육실험, 성충수명, 산자실험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약충의 온도발육모형, 무시성충 의 산자모형 작성에 필요한 기본모형들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개의 온도(10, 15, 20, 25, 30, 35 ± 1℃, 16L:8D)에서 실험한 결과로 저 온인 10℃에서는 성공적으로 발육하지 못했다. 약충 발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30℃까지는 감소하였고 35℃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는데, 1 5℃에서 18.5일, 30℃에서 5.9일 이었다. 약충전체 직선회귀식에서 발육영점온도(DT)는 7.9℃로 나타났으며, 유효적산온도(DD)는 126.3일 이었다. 전기약충(1+2령), 후기약충(3+4령), 전체약충 발육률에 대한 비선형모형(Lactin 2 model)과 발육기간 분포 모형(Weibull model)을 작성하였다. 성충수명은 15℃에서 비정상적으로 18.2일을 보였고, 20℃에서 24.4일, 30.0℃에서 16.4일의 범위에 있었으며, 성충 생리적 연령 계산을 위한 노화율 모형작성에 이용되었다. 총 산자수는 20℃에서 91.6마리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산 란모형 작성에 필요한 온도별 총산자수, 연령별 누적산자율, 연령별 생존율 모형 등 3개의 기본모형을 추정하였다.
        4,000원
        2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ird cherry-oat aphid Rhopalosiphum padi (Linnaeus) (Hemiptera: Aphididae) is a polyphagous species and worldwide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eriods and survivorship of R. padi nymph, and longevity and fecundity of R. padi adult. The study was conducted at six constant temperatures of 10.0, 15.0, 20.0, 25, 30.0, and 32.5°C, respectively. R. padi developed successfully from nymph to adult stage at all temperatures tested. Developmental rate of R. padi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10.0 to 25.0°C and declined after then.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and thermal constant (K) of R. padi nymph stage were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Higher temperature threshold (TH) and lower temperature threshold (TL) were calculated by two nonlinear functions. LDT and K of R. padi nymph stage were 5.61°C and 100.65DD. The temperature range of R. padi from TL to TH using empirical model (32.18) was wider than that from biophysiological model (27.08). Developmental completion of R. padi nymph stage was described using a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The adult emergence frequency of R. padi over full range of constant temperatures was simulated using developmental rate functions and Weibull function. Daily egg production of R. padi in relation to adult age and temperature was estimated. Life table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the jackknife method.
        2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cronutrient balance has a strong influence on fitness in insect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altering the concentrations of yeast and sugar in the semi-synthetic diet has a profound impact on lifespan and fecundity in Drosophila melanogaster, indicating the role of dietary protein:carbohydrate (P:C) balance in determining these two key components of fitness. However, since yeast contains not only proteins but also other macro- and micronutrients, this lifespan-determining role of dietary P:C balance needs to be corroborated using a chemically defined di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P:C balance on lifespan and fecundity were investigated in female D. melanogaster flies on one of eight isocaloric synthetic diets differing in P:C ratio (0:1, 1:16, 1:8, 1:4, 1:2, 1:1, 2:1 or 4:1). Lifespan and dietary P:C ratio were related in a convex manner, with lifespan increasing to a peak at the two intermediate P:C ratios (1:2 and 1:4) and falling at the imbalanced ratios (0:1 and 4:1). Ingesting nutritionally imbalanced diets caused flies to start ageing earlier and senesce faster. Egg production increased progressively as the dietary P:C ratio rose from 0:1 to 4:1. Long-lived flies at the intermediate P:C ratios(1:2 and 1:4) stored a greater amount of lipids than those short-lived ones at the two imbalanced ratios (0:1 and 4:1). These findings provide a strong support to the notion that dietary P:C balance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lifespan and fecundity in D. melanogaster.
        2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tein and carbohydrate are the two most important macronutrients that have profound impacts on fitness and demography in most ins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carbohydrate (P:C) balance and mating status on feeding behavior, longevity and fecundity in male and female mealworm beetles, Tenebrio molitor (Coleoptera: Tenebrionidae). In the first experiment, we measured the amount of protein and carbohydrate consumed by mated and unmated beetles of both sexes. Newly emerged beetles were allowed to mate for 24 h before they were simultaneously provided with two nutritional imbalanced but complementary synthetic diets (P:C =1:5 vs. 5:1) for 24 successive days. Mated females not only consumed significantly more nutrients but also exhibited a greater preference for protein than did mated males and unmated controls. In the second experiment, we determined longevity and fecundity from a total of 120 male and female beetles that were confined to feed on one of three no-choice foods differing in P:C balance (P:C=1:5,1:1 or5:1)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Fecundity was recorded as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individual females until death. Both male and female beetles lived significantly longer and laid more eggs over the lifetime on a balanced diet (1:1) than on the two imbalance diets (1:5 and 5:1), suggesting that the Darwinian fitness was maximized when the diet was equally balanced in protein and carbohydrate. Mated male and female beetles had a shorter longevity compared to their unmated counterparts,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urvival cost to mating in this insect.
        2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and the white 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are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L. striatellus could overwinter in Korean peninsula as nymph stage but S. furcifera could not. We investigated the survivorship and fecundity of two species for comparing population growth.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two species were investigated at temperatures of 12.5, 15.0, 17.5, 20.0, 22.5, 25.0, 27.5, 30.0, 32.5, and 35.0℃.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two spec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emperature. Longevities of L. striatellus were longer than those of S. furcifera at different temperatures. Specially, oviposition period of L. striatellus was twice as long as that of S. furcifera. Total fecundity per female of L. striatellus were also more than those of S. furcifera. The oviposition model of each species wa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 age specific survival rate, age specific oviposition rate and total fecundity per femal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s was described by exponential function. The age specific survival rate and the age specific cumulative oviposition rate were explained by two parameter inversed-Weibull function and Weibull function. Temperature dependent fecundity was estimated using three parameter Gaussian function. Daily egg production of two species in relation to adult age and temperature was estimated.
        2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살깍지벌레 여름성충의 산란수를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총 산란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29℃까지는 증가하였고 그 후 감소하였다. 최대 산란수는 암컷당 평균 29℃에서 254.5개로 나타났다. 성충은 주기적인 산란활동을 보였으나, 그 형태는 온도에 따라 달랐다. 처리온도 25℃와 29℃에서는 3개 이상의 산란주기가 나타났다. 다른 온도에서는 두 번째 산란주기가 불완전하거나 확실하지 않았다. 첫 번째 산란주기 산란수는 온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5℃와 29℃에서 많았다. 또한 이후 산란주기의 산란수도 13℃, 17℃ 및 21℃에서는 25℃와 29℃ 보다 낮았다. 부화약충의 암컷 : 수컷 성비는 13℃, 17℃, 25℃, 29℃, 33℃에서 각각 1 : 0.48, 1 : 4.79, 1 : 2.48, 1 : 1.85, 1 : 0.56로 조사되었다.
        4,000원
        2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the oviposition biology of arrowhead scale, Unaspis yanonensis (Kuwana) (Homoptera: Diaspididae),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overwintered females were examined at various temperatures (16, 20, 24, 28, and 32℃). The total fecundity increased with rising temperature, showed a maximum of 260.9 crawlers per female at 24℃, and then declined thereafter. Females showed a periodical oviposition activity. The 1st cycle fecundity was identified at all temperatures examined,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16 and 28℃. However, the 2nd cycle fecundity and later cycle fecundity were much lower at 16, 20, and 32℃ than those at 24 and 28℃. The pre-oviposition period ranged from 49.0 d at 16℃ to 19.7 d at 32℃, and was the shortest 19.4d at 28℃. The linear lines of mean development rates (1/mean pre-oviposition period) against temperatures provided the estimate of low-threshold temperature 8.7℃ for pre-oviposition stage and the thermal constant of 358.1 DD.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rmal constant for the completion of U. yanonensis pre-oviposition period well predicted the first crawler occurrences in the fields.
        2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omponent models were developed for Pseudococcus cryptus Hempel (Homoptera: Pseudococcidae). Egg development tim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ranged from 2.4d at 16℃ to 1.0d at 28℃. Total development times of nymphs reared on citrus leaves decreased from 54.9d at 16℃ to 17.4d at 28℃ and 19.3d at 32℃. As P. cryptus showed an ovoviviparous reproductive behavior, the periods of egg and the 1st nymph were combined. By fitting linear models to the data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s for egg-1st nymphs, the 2nd nymphs, the 3rd nymphs, and all nymphs combined were calculated as 8.7, 12.8, 13.1, and 12.1℃, respectively. The thermal constants were 198.6, 84.7, 69.8, and 296.3 degree-days for each of the above stages. The non-linear model based on a Gaussian equation, which fits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rate and temperature was well for all stages. Adult longe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ranged from 80.4d at 16 to 31.3d at 32.0℃. Also, preoviposition and oviposition periods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the longevity. P. cryptus had a maximum fecundity of 111 eggs per female at 28℃, which declined to 102.7 eggs per female at 32℃.
        3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성충수명, 산자수는 15-32.5, 습도는 , 광주기는 16L: 8D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를 기준으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수명이 길어지고 산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에서 산자수가 61.8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와 다르게 성충의 일일 출산 수는 까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일일평균 5.6마리) 이후 감소하였다. 온실에서 성충수명은 20.0일, 산자수는 59.6마리로 의 항온조건보다 수명은 길고 산자수는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의 생명표를 작성한 결과 순증가률(Ro)은 에서 54.9이였고, 내적자연증가률()과 기간증가률()은 에서 0.5와 1.6으로 최고 값이었고, 배수기간(DT)과 평균세대기간(T)은 에서 1.4와 6.8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이들 수치를 통해 보았을 때 목화진딧물이 생활사를 완성하는데 최적 조건은 라 생각한다.
        4,000원
        31.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 및 온도가 꼬마배나무이의 겨울형성충(월동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원지역(북위 16') 의 꼬마배나무이 개체군은 광길이가 14시간일 때 부터 겨울형성충이 출현하였으며 광길이가 13시간일 때 9 93% 이상의 겨울형성충이 발생하였다. 또한 , 의 두 온도조건에서 겨울형성충 발생에 차이가 없었다. 꼬마배나무이의 각 발육단계별로 단일조건에 처리한 결과 1,2령기에 처리된 것은 각각 67.2, 54.4%가 겨 울형으로 되었고, 3령기는 9.3% 였으며 4령기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꼬마배나무이의 평균산란수는 겨울형성충이 486.4개, 여름형성충이 387.2개 이었으며, 산란기간은 각각 34일과 24일 이었다.
        3,000원
        3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성충의 인공사료(닭의 간 5 parts: 설탕 2 parts, v/W)와 사육법을 개발하였다. 7월 중순에 야외에서 채집한 번데기를 우화시켜 (16L:8D)에서 사육하면서 무당벌레 성충 암컷의 난황단백질(yolk protein)생성, 산란력(fecundity), 수명(longevity)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의하면 우화후 5일째부터 혈림프에서 낭황 단백질(Vg3와 Vg4)이 발견된다. 무당벌레 100쌍을 대상으로 1쌍씩 개별 사육한 결과 초산은 우화후 7일째부터 시작되고 일생동안 144.0개의 알을 산란한다. 수명은 평균 36.8일이며 일생동안 단 한번의 산란도 하지 않는 개체는 17%이다. Methoprene(2.5/2l)을 처리하면 무처리구보다 1일 빠른 우화 후 4일부터 난황 단백질이 확인된다. 무당벌레의암컷 30개체에서 methoprene(2.5/l)을 1주일 간격으로 반복 투여하여 본 결과 15일이내에 초산을 하는 비율이 무처리구의 51%에서 83.3%로 증가한다. Methoprene은 모든 개체의 산란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개체군의 산란력을 높이는 효과를 준다. 무당벌레는 methoprene을 소량(2.5)으로 매주 투여하면 수명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지만, 과다한 양(12.5)의 단 1회 투여는 수명을 단축시키고 산란력을 저하시킨다.
        4,000원
        33.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1~1994년에 수원에서 땅강아지 연령 분포의 계절적 변화와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새로 부화한 약충은 주로 9~10월에 우화하므로써 1년에 1회 경과하고, 일부가 약충으로 월도하여 8월경 우화하므로써 2년에 1회 경과하는 것으로 보였다. 산란실당 란수는 야외 월동 성충을 실내에서 산란시켯을 때 평균 36.002.84립, 양외채집 산란실에서 47.684.35립이었다. 자충당 산란실수는 평균 1.170.19개로 0~3의 범위를 보였다.
        4,000원
        34.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굴파리의 발육단계별 특성을 조사한 결고, 20, 25, 에서 난기간은 4.5일, 2.9일, 1.9일, 유충기간은 12.7일, 5.8일, 4.5일, 용기간은 20.1일, 16.3일, 13.0이로 총성숙기간은 32.5일, 25.0일, 19.4일이었다. 이 결과는 토대로 계산된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은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이 33.0일도, 유충이 86.1일도, 용이 293.6일도였다. 성충은 빛을 조사한 후 4시간 30분 이내에 77.5%가 우화하였고, 8시간 30분 이후에는 전혀 우화하지 않았다. 암컷의 수명은 8.5일, 수컷은 5.0일이었고 암컷의 산란기간은 6.8일이었다. 산란수는 165.8개, 흡즙혼수는 983.8개였다.
        4,000원
        35.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에 대한 벼품종의 저항성요인으로 주목되고 있는 선호성, 란 및 약충기간, 부화 및 우화률, 성비, 성충의 수명 및 산란력 등을 조사하였다. 식이 및 산란선호성은 동률벼에서 생태형 모두 높은 선호성을 보였으며, 청청벼와 밀양63호에서는 각각 생태형-2와 3에서 약간 높은 선호성을 보였으나, 동률벼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선호성이었다. 난 및 약충기간과 부화율, 우화률 및 생장 지수는 생태형-1의 경 우 타 품종에 比해 密陽 23號에 서 짧고, 높았으며 , 또態型-2와 3 은 各各 좁 팍벼 와 密陽 63號에 서 密陽 23號에서와 같이 짧고, 높게 나타났다. 성충의 수명과 산란수도 생태형-1의 경우 타 품종에 비해 밀양 23호에서 길고, 많았으며, 생태형-2와 3은 각각 청청벼와 밀양 6 63호에서 밀양 23호에서와 같이 수명이 길고 산란수도 많았다.
        4,000원
        36.
        197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끝동매미충의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발육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여 실내 대양사육에 적합한 온도와 일장의 범위를 밝히고 나아가 온도와 발육속도와의 함수관계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교적 고온조건인 와 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a 우화율이 높았으나 변온처리(와 각 12시간)에서는 발육이 지연되었다. 2. 성충의 산란력은 고온)에서 약충기를 거친 성충은 산란수가 매우 적었으나 에서 우화한 성충은 고온에서 많은 산란을 하였다. 3. 에서의 일장은 약충의 발육 및 우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4. 약충의 발육속도는 까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빨라졌으나 고온에서는 증가율이 둔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5. 이상의 결과로 적합한 사육조건은 약충기에 , 성충기에 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7.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식이식물의 종류가 흰불나방의 용체중과 포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들의 영향은 식이식물의 N 함량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기 위해 실내에서 시행되었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용체중은 식이식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또한 그것은 자웅성별에 따라 그 차는 더욱 현저하였다. 식이식물의 종류에 따르는 자웅별 용체중의 차는 그 순위에 있어서 일치하였으며 가장 체중이 큰 것은 뽕나무로 사육한 것이었으며 가장 체중이 낮은 것은 사과로 사육한 것이었다(제1표. 제1도). (2)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과과 동일경향을 나타내었다. 란수가 가장 많은 것은 역시 뽕나무였고 가장 낮은 것은 사과였다(제2표, 제1도). 용체중과 포란수에는 고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제4표). (3) 공시식이식물의 N함량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를 나타내었다(제3표). 식이식물의 N 함량 용체중 및 포란수에 근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상관관계에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제4표)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