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일펜스는 사고 초동조치로 기름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아주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고 현장의 기름이나 구조물 등의 의해 파손되어 폐기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회수된 폐 오일펜스는 소각처리과정에서 미세먼지 발생과 발암성분의 대기 배출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본체 일부가 손상되어 해상으로 유출되면서 해양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2차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형식 오일펜스 원단을 이용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본체부 샘플을 해수와 기름에 노출시킨 후, 기간과 온도에 따른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일 노출후 해수에서는 13 %가 기름에서는 3 %가 감소하였으며, 온도변화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펜스는 해수와 기름에 노출 뿐만 아니라 바람과 파도 등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오일펜스의 내구성은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해양환경보호 측면에서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내구성 강화는 필수적이다. 이에 오일 펜스의 본체부 재질검사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검정 시 본체부 원단 인장강도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검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은 산악지형이 많으며 사면붕괴로 인한 도로구조물 및 인명피해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낙석방지시설이 필요하다. 국내의 낙석방지울타리는 50kJ의 낙석 충돌 에너지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낙석 에너지의 크기는 사면의 형태 및 조건에 따라 편차가 크며 약 100kJ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및 설치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낙석에너지에 맞는 표준화된 낙석방지울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낙석에너지에 따른 낙석방지울타리의 표준 단면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존 50kJ 낙석방호울타리 외에 30kJ 및 100kJ급 낙석방지울타리를 제안하였다.
        4,000원
        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won Gyeongjeji(林園經濟志)”, the largest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vers the details of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related to everyday life‘s facilities. It is very useful to examine the "Imwon Gyeongjeji” for studying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fences in traditional dwellings. Therefore, we tri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ences exhibited in the "Imwon Gyeongjeji" by examining the construction methods shown in the book by structure of the f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nine types of fence were listed in the "Imwon Gyeongjeji". Second, we could figure out the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fences. The fenc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oundation, body, and roof. The body of the fence is a characteristic part distinguishing the types of fence. The foundation and the roof are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fence, regardless of the type of fence. The "Imwon Gyeongjeji” showed a robust manner in building fences than known today. Third, we found that the introductions and transformations of certain fence types. Fences such as Chuibyong(翠屛), Jeon Doldam(甎墻) and Bunjang were originated from China, yet has developed unique Korean styles in Joseon. It could also be seen that Kajo Zhang(哥窯墻) and Yonglong Zhang(玲瓏墻) were special fence types imported from China. It is not certain that the fences depicted in the "Imwon Gyeongjeji", represent the whole features of Joseon fences, but it is certainly an import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design of traditional fenc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4,300원
        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ndola is widely used as a construction facility to perform external finishing work without using scaffolding at a construction site. However, since 2000, there have been 17 deaths from now so these risks associated with work can not be ignor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prevent related disasters if introducing necessary measures to prevent repeated related disasters and installing additional safety devices. 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 fac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ondola,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use it to use it while the examination of each product is completed, and to use the over load Dangerous arbitrary measures such as arbitrary operation of the prevention device, removal of the safety fence for convenience of work, installation of the wire rope installed in the air, falling out of the wire rope and falling to the ground Do not perform such sealing measures so that any operation of the overload prevention device can not be done so as not to take such arbitrary measures, or wire the power supply wire to the safety fence so as not to delete the safety fence. Then, when the safety fence is removed, so that it does not become a gondola operation, or when replacing the wire rope in the air, to prevent the wire rope from coming off, Additional measures such as installing falling down prevention device may be necessary.
        4,000원
        1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사지 밭에서의 토양유실량 저감을 위해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실험 연구로, 이를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시험포장을 설치하고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표준시험포 크기 (5 m × 22 m), 경사 9%의 시험구 3개소와 정방형 크기(15 m × 15 m), 경사 6%의 시험구 2개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장에서의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우량계를 설치하였고, 각 시험구의 말단에는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플륨 및 수위계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강우시 유출수에 의해 토양이 유실되며 토양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도 같이 유출되는데 이러한 유출수의 오염 부하량을 산정하여 토양유실량을 평가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오염 부하량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 시험포를 기준으로 실트펜스에서 SS 50.1%가 저감되었고 SS 항목이 저감되었다는 것은 유사가 저감되어 토양유실을 저감시킨 것을 나타낸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경사지밭 토양유실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밭에서의 토양유실을 최소화시켜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1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use measuring boards on even ground in open areas to measure the amount of snowfall.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the accurate amount of snowfall because of the effects of the win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internal wind flow inside a windbreak fence to identify an area that was not affected by wind in order to measure the snowfall. We performed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ind tunnel test of the type and height of the windbreak fence, and analyzed the wind flow inside the f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 double windbreak fence was better than a single windbreak fence for reducing the wind velocity. The reduction of the wind velocity was highest in the middle of a windbreak fence with a width of 4 m and a height of 60cm, where the windbreak fences were fixed to the ground.
        4,000원
        1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속의 변화에 따른 오일펜스 만곡부 후면의 속도장과 압력장, 와도 및 난류 강도를 계측한 PIV 실험의 결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 경계역의 후면부에서의 흐름 방향이 전면부의 흐름 방향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나타났고, 압력 분포의 양상이 달라졌으며 난류도 더욱 불규칙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PIV 실험과 동일 조건으로 수행한 CFD 해석 결과, 후류의 유동 패턴이 0.3m/s이하의 저속인 경우는 PIV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유속이 0.4m/s일 때는 오일펜스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다소 차이가 나타났고, 오일펜스 하단의 압력차로 인한 불규칙한 난류가 수면까지 영향을 주었다.
        4,000원
        13.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속의 변화에 따른 오일펜스 만곡부 후면의 속도장과 압력장, 와도 및 난류 강도를 계측한 PIV 실험의 결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 경계역의 후면부에서의 흐름 방향이 전면부의 흐름방향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나타났고, 압력 분포의 양상이 달라졌으며 난류도 더욱 불규 칙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PIV 실험과 동일 조건으로 수행한 CFD 해석 결과, 후류의 유동 패턴이 0.3m/s이하의 저속인 경우는 PIV 실험 결과 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유속이 0.4m/s일 때는 오일펜스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다소 차이가 나타났고, 오일펜스 하단의 압력차로 인한 불규 칙한 난류가 수면까지 영향을 주는 것 같았다.
        4,000원
        1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방풍펜스의 형상에 따라 열차에 유도되는 공력(측력, 양력)의 감소 효과를 연구 하였다. 방풍펜스와 차량의 단면으로 구성된 2차원의 유동 공간에서 측풍이 유입될 때 열차에 유도되는 공력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먼저 방풍펜스의 높이 변화에 따른 해석을 통해 가장 민감한 높이 범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방풍펜스의 높이, 방풍펜스 상부의 굽은 형상 그리고 방풍펜스와 지면과 의 간극을 각 3수준의 제어인자로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방풍펜스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측풍의 영향은 감소하지만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측력계수와 양력계수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으므로 의미가 없다. 그리고 상부의 형상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 보다 효과적이며, 지면과의 간극은 방풍펜스와 열차 사이에서 강한 와류에 의한 흡입효과로 인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 차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냈다.
        4,000원
        1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풍팬스의 설치에 의한 저층건물 주변의 풍압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풍압실험을 실시하였다. 방풍팬스의 다공율은 0%와 20%을 중심으로 하였다. 방풍팬스와 저층건물의 거리는 1H-9H까지 범위안에서 측정을 하였다. 사용된 풍속은 6m/s로 일정하게 하였다. 저층건물의 측압공 위치는 정면과 측면 후면을 중심으로 총 54개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다공률 20%일때는 측정거리 1H-3H일 때 다공률 40%일 때는 측정거리 4H-6H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