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려사󰡕, 󰡔고려사절요󰡕,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기록을 중심으로 고려시대 전 시기에 걸친 축성 기록을 검토한 결과 고려의 축성 사업은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었는데 1기는 북방개척으로 시작된 청천강과 압록강 유역 진출과 거란과 여진과의 전쟁 과정에서 축성이 이루어졌고 윤관이 개척한 9진을 여진에게 반환하기까지 약 200년의 기 간이 포함된다. 이 시기는 먼저 왕건의 북진 정책에 따라 서경을 서도로 정하여 축성하고 서 경의 주변으로 진성이나 주현성을 배치하는 과정과 3차에 걸친 거란과의 전쟁과정에서 축 성, 그리고 동여진을 제압하기 위한 천리장성의 축조와 동해연안의 축성, 그리고 9진 개척 으로 요약되는 시기이다. 이것은 태조가 북방개척을 위하여 변경 지역의 요해처에 진성[鎭城]을 설치한 후에 주성 [州城]을 설치하는 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993년부터 1018년까지 3차의 전 쟁을 치르게 되면서 축조된 성곽들은 대부분 흥화도(영삭진성, 태주성, 신도성, 가주성)·흥 교도(용강현성, 함종현성, 진국성, 안북부성, 진국성, 안정진성, 영청진성, 박주성) ·운중도 (운남현성, 성주성, 연주성, 운주성, 안수진성, 흥덕진성, 위화진) 등의 역로를 따라 위치하고 있어 거란이 개경으로 진출하려는 노선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에 목표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성보조에 남은 성곽 축조 기사 중 동일한 성곽을 축조한 기사가 겹치는 것은 지역 의 사정에 따라 주성, 진성 등을 축성하였고 단순히 하나의 성곽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이 것은 조선 전기 지리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성곽이 축조된 위치에 따른 다면 평지성이나 산성으로 나누어 볼 소지도 다분하다고 하겠다. 2기는 금과 100년 간의 평화 시기 다음에 이어진 대몽항쟁기에 축조된 성곽이 축조된 시 기이다. 대몽항쟁은 해도입보와 산성입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해도에 축성한 강화중성과 외성, 진도 용장성, 장도토성 등은 고려의 토성 축조 전통이 강하게 드러난 것으로 생각된 다. 아울러 몽골의 침입은 대규모 병력으로 장기간 이어지면서 대몽항쟁은 주현성을 중심으 로 치러졌고 이것은 횟수를 거듭하면서 몽골 기병의 장점을 무력화시키는 방안으로 대산험 지에 위치한 산성[주현성]으로 옮겨 대응하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대몽항쟁이 주현 성에서 산성으로 옮겨갔다고 보는 것은 적절한 관점이 아닌 것은 주현성과 산성이라는 구분 이 일률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고려 북계와 동계의 방어군성은 대부분 산에 위치하므로 몽 골과의 전장은 처음부터 산성이었던 것이다. 또한 몽골의 침입을 맞아 산성이 대형화되었다 는 것도 고려 주현성의 둘레는 조선 읍성보다는 훨씬 컸던 것이 사실이고 군관민이 함께 입 보하여 항쟁하려 한 전략적 결정에 따라 산성의 둘레도 따라서 커졌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 다고 생각된다. 3기는 고려말 왜구의 침입을 맞아 연해주군의 군현성을 수축하거나 산성을 축조하여 방 어한 시기에 해당되며 대몽항쟁기 이래 전통적인 청야입보책을 시행한 결과이기도 하다. 고 려말 산성의 축조는 왜구가 해로를 장악하여 조운선도 약탈하는 지경에 몽골 침입 때와는 달리 해도입보라는 대책은 무용하게 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대몽항쟁기에 둘레 1,000보 이상의 대형 석축 산성이 아니라 500보 내외의 석축성으로 축조되는 경우가 많았 다. 이것은 대규모로 장기간 고려를 침공하였던 몽골군과는 달리 소규모로 자주 침공하였던 왜구의 침공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택한 결과일 것이다. 그런데 왜구의 침공이 시작된 경인년(1350)으로부터 30년 가까이 지난 우왕3년(1377) 에 지방 산성 보수기사가 보이는 것은 그 동안 성곽을 수축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평지 에 위치한 군현성을 수축하여 왜구의 침공에 대비하였으나 우왕3년경부터는 산성을 수축하 여 입보하는 것으로 정책을 수정하였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평지축성을 멈추어야 한다는 것은 왜구의 침략이 시작된 경인년 이후 수축이 이루어진 군현성은 대부분 평지성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이때 수축된 군현성은 조선시대 들어 읍성으 로 편입되면서 읍성의 축조가 고려말에 시작되었다고 보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당한 수의 산성을 축조하여 운용하였던 것이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된 산석성인데 석축을 강조한 것은 고려시대 토축 산성의 약점을 보완하여 석축성으로 축조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산성에 물이 부족하거나 물이 없다고 한 사례가 적지 않은 것은 장기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축조된 것이 아니라 왜구의 침 입을 피하기 위하여 급히 축조하였거나 일시적인 입보를 위하여 수축하였다가 조선전기까 지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실린 읍석성 중에는 조선시대 들어 축조한 읍성과 고려말에 석축으 로 개축한 이후 읍성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지만 고려의 군현성으로 축조된 것을 조선시대 들어 읍성 정책을 추진하면서 사정에 따라 편입한 것이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고 여기에는 고려때 축조된 읍토성과 고려말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여 축조한 산성도 포함되어 있다. 이 러한 상황은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읍성이 있는 것으로 기록된 군현에 󰡔신증동국여지승 람󰡕에는 읍성이 보이지 않거나 산성 또는 고적으로 남게 되는 경우가 있어 고려말의 성곽 수축과 조선 개국 이후의 읍성 축조 정책을 반영한 결과로 생각된다.
        11,0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傳)의 형태를 띠고 있는 「우인효자군만전」의 시대적 배경은 고려말이며, 저자는 여말선초 성리학자 및 정치인으로 잘 알려진 권근이다. 그는 증조부 권보와 조부 권준이 편찬한 『효행록』에 후서와 주해를 쓴 것으로 보아 유학 에 대한 박식함과 효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우인효자군만전」보다 앞서 발행되었던 설화형태의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 「효선편」에서 표현하는 효개념은 「우인효자군만전」에서 표현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양상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를 서술함에 있어 설화와 전에서 표현하는 양상에서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구성적, 기술적, 논리적인 측면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효행설화에서 효를 부각시켰던 방법은 주로 중국인을 각색한 주인공이 연로하거나 병약한 부모님을 대상으로 효행하는 서정적 분위기와 효행은 곧 복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내용이었다. 반면 「우인효자군만전」에서는 주인공 설정의 탈중국화, 효행대상자인 부모 가 노약하거나 병약한 분위기에서 벗어나는 탈서정화, 효행을 하면 복을 받거나 하늘의 도움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결론에서 벗어난 탈기복화로 기술(記述) 적 표현이 발전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우인효자군만전」에서 언급한 불효 10죄가 『효경』, 『명심보감』, 『맹자』 그리고 고려율을 적용했을 때 명백한 불효임을 논리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효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척도구로 불효를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고려말 「우인효자군만전」에 시도된 새로운 양상들은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의 발행에 등장인물과 발간목적에 영향을 준 동기가 되었으리라 사료되며, 새롭게 시도된 표현방식과 문헌을 통한 논리적 근거를 이용해 효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4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memorial address, namely the mookseo-myeongs(墨書銘), written at the members of the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In this paper, I pursued to declare the systematic origins by the comparison the Buddhist buildings with the other buildings, on the focused the written patterns. Furthermore, I tried to examine the transitional trend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supposed that the mookseo-myeongs of the Buddhist buildings were not used for the a memorial address for the ceremony of putting up the ridge beam, so to speak the sangryang-muns(上樑文), but the prayer address(發願文) to memorize the donations of the believers for the constructions. Second, it is supposed that ‘the short sangryang-muns’ were originated in the mookseo-myeongs of Buddhist buildings and the other ancient prayer addres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Dynasty, those were established in the formal literary styles. Third,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the long sangryang-muns’ were partially used in the several royal palaces. In the late, those were widely used not only in the royal palaces but also in Buddhist buildings, but those literary patterns were rarely changed from the former types.
        4,900원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로 비슷한 시기에 해당하는 고려(918~1392)시대와 일본의 헤이안 (平安, 794~1192)시대의 사경(寫經)은 다른 점이 많다. 먼저 고려시대 의 사경에는 금자(金字), 은자(銀字) 사경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묵서경(墨書經)은 별로 남아있지 않다. 반면에 헤이안시대의 사경에는 묵서경이 금자, 은자 사경보다 많다. 묵서경에 있어서도, 고려시대의 묵서경은 경문(經文)이나 천지선(天 地線), 계선(界線) 등을 금, 은으로 장식한다든지 변상도(變相圖)를 그리 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해 헤이안시대 묵서경의 특징은 장식경(裝 飾經)이라고 불러서, 사경지(寫經紙)에 금은박(金銀箔)을 뿌린다든지, 경문을 쓰는 본지(本紙)에 새, 구름 등의 그림을 그려 넣거나 경문에 보 탑(寶塔)이나 연화대(蓮花臺)를 그려 넣는다든지 하는 다양하고 화려한 장식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헤이안 시대의 사경장식의 발달은 법화경과 밀접한 관계에 있 다. 일본에서는 중국, 우리나라에 비하여 법화경 신앙이 더 강했는데, 법 화경은 서사(書寫)의 공덕이 강하게 설해지는 경전이다. 특히 헤이안시 대에는 법화경을 서사할 때, 법화경 28품(品)을 별개의 사람들이 각각 1 품씩 서사하는 일품경(一品經)이 생기게 되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1 품씩 사경했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화려함을 추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양식의 작품이 생기게 되었다.
        5,7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ramework schema of early Jusimpo-style Buddhist halls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and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 Though the halls are known as built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y show the influence of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To find the adopted modules and proportions of these halls, this study conceived a schematic diagram based on the whole frame structure taking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 In these three halls, the heights of each cross-beam (Dori ) are made up by the layers of member and member units. This study computes the values of Cai, Zhi, and Fen which can apply to both the section and the plan. The vertical section structur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tandard member heights (Cai ) and the standard unit heights (CaiZhi ). The bays of columns are made by multiples of the standard member width (Fen).
        4,000원
        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the basis of the cookbooks and Data Base of the Korean Classics(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this paper analyzed the fermented soybean listed in the general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1392~1897) and the Goryeo Dynasty(918~1392). In the Goryeo Dynasty, there are 15 kinds of Jang(soybean paste or solution), among which are Jang (soybean paste fermented by mold)(6 documents), Yeomgjang, Yeomshi(2), and Gaejang(1). However, the cookbook at that time is defunct. The Goryeo Court relieved the famine-stricken people by proving them with Jang. In the Chosun Dynasty, 111 kinds of Jang were listed in the general documents, and 153 kinds in cookbooks. There were 55 kinds of general Jang, such as Jang(204), Yeomjang(63), Chojang, Goojang(7), and Gaejang(6), are listed in the general documents, and in the cookbooks, there are 55 kinds of Jang, such as Sookwhangjang(9 cookbooks), Daemaekjang(8), Myeonjang(8), Saengwhangjang (8), and Yooinjang(8), and among them, 13 kinds belong to the Chinese origin. A total of 9 Kinds of Ganjang(soybean solution fermented by mold), such as Soojang(30), Cheongjang(23), Gamjang(8), and Ganjang(3) are found in the general documents. In the cookbooks, 12 kinds of Jang, as Cheongjang(10), Cheonrijang(4), Ganjang(3), and etc., are listed. There were 9 kinds of Gochoojang(red pepper-soybean paste), such as Chojang(12), Gochojang(3), and etc., are listed in the general documents, and 9 kinds as Gochojang(7), Manchojang(7), rapid Manchojang(4), and etc., are in the cookbooks. In addition, 16 Kinds of Yookjang(fermented soybean-meat paste) as Haejang(15), Hyejang(11), Yookjang(11), and etc., are found in the documents, and 22 kinds as Nanjang(9), Gejang(6), Yookjang(5), Shoigogijang(4), and etc., are in the cookbooks. Eighteen Kinds of Shi(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teria) as Yeomshi(40), Shi(35), Shijang(6), and etc., are recorded in the documents, and 19 kinds as Jeonkookjang(6), Shi(4), Sooshijang(4), and etc., are in the cookbooks, and among them 11 kinds belong to the Chinese origin. Six kinds of Jipjang(aqueous soybean paste) as Jipjang(7), Uoopjang(4), Pojang (2), Jangzoop(2) are recorded in the documents, and 15 kinds as Jipjang(9), Zoopjeo(7), and Hajeoljipjang(5) are in the cookbooks. Soybean paste, or solution for relieving hunger is not recorded in the documents. However, the Chosun court,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famine-stricken people, used general Jang. Such 21 Jang to relieve the famine-stricken people as Pojang(7), rapid Jang(6), and Sasamgilgyeongjang(4) are listed in the cookbook. Geonjang(dried soybean paste), Nanjang (egg-soybean paste), Doojang(soybean paste), Maljang(random soybean paste), Myeonjang(wheate-soybean paste), Sodoojang (red bean-soybean paste), Yookjang(soybean-meat paste) and Jang(soybean paste) are recorded in the documents, as well as in the cookbooks. Chinese-original Jang and Shi are recorded in the cookbooks, with no list in the general documents. Therefore, it seems that it didn't pass down to the general public.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