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강도성능과 기능성을 보강한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목재섬유에 녹차와 3종류의 숯을 혼합한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구성원료의 종류 및 그 배합비율이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적탄성률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정적 휨강도성능을 예측하였다.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은 백탄함유 복합보드에서 전체적으로 약간 우수하였으나, 숯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녹차와 숯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의 감소하였다. E1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복합보드가 E0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그것보다 높은 동적탄성률을 나타내었으나, 양수지간의 차이는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비해 현저히 적었고,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현저한 동적탄성률의 향상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과 정적 휨 강도성능사이에 대부분 1%의 신뢰수준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동적탄성률로부터 정적 휨 강도성능이 예측이 가능하였다.
        4,300원
        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상녹화의 재료에 따라 실내온도 저감효과를 검토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최적의 옥상녹화 재료를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실험은 사방 1m의 실험구를 10mm 방수합판으로 제작하고 상부에 물, 잔디, 관목 그리고 비교대상인 재료를 채우지않은 빈상자 등 총 4개의 실험구와 실험구 양쪽의 외부 영향을 차단하려는 목적의 빈상자 등 총 6개의 동일 규격의실험구를 준비하였다.실험은 외부기온 30도 이상인 7일간의 실외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간은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시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가운데 온도차가 많은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데이터를 실내온도에서 실외온도를 뺀 값으로 온도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그 결과, 잔디가 온도저감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관목, 수경, 빈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온도저감효과는 떨어졌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후 5시 이후에 빈방이 일반재료의 실험구 실내온도보다더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옥상녹화를 함으로써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옥상녹화를하지 않은 실험구에서 외부온도에 따라 실내온도가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4,000원
        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kind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were used for the plant protection, furthermore they support the growth of crops in the greenhouses and the kindl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Natural enemies might be used for control of insect pest with EFAMs at the same space and time. For testing the toxicity of EFAMs against to natural enemies, 10 EFAMs were selected and tested in small greenhouses and farm"s fields. In case of Harmonia axyridis larva, there was no predacious activity against cotton aphids in the block with EFAMMo L, EFAMPE D, EFAMME G and EFAMAE A, otherwise, aphid popula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the control block without EFAMs. Both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Encarsia formosa population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s.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SM Band EFAMPE D compared with control area.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population, both T. vaporariorum and E. formosa in the block with EFAMMo C. The parasitized ratio of Aphidius colemani is also very low in the block with EFAMs compared with control area.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PE D and EFAMMo L,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area in the number of mummies. Otherwise, in case of Diglyphus isaea and Liriomyza trifoli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locks with and without EFAMs. In the block with EFAMMo C, Tetranychus urticae and Phytoseiulus persimilis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level. However, the population of T. urticae was increased, but P. persimilis was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Mo L.
        4,300원
        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getation has a great importance in erosion control and slope stabilization, protecting and restraining the surface soil and increasing the strength and competence of the soil mass. However, normal green soil have poor adhesion to slopes. In order to enhance the adhesion, therefore, the vegetation effect of green slope soil mixed with cement material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ementitious material as a base material for rock veget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adhesion force, internal friction angle and vegetation observation of green soil. From the results, The adhesion force, internal friction angle measurements and the final growth state were improved than that of the existing green soil, so that it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rock slope.
        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green manure crop cultivated at a preparation field and the shading net on the growth, development, and quality of ginseng. Followings ar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Leaf width of ginseng under the shading net of a two-layered blue and two-layered black polythylene net (TBTBPN) was good at rye and hairy vetch cultured group. Leaf length of ginseng under the shading net of a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OBPN) was good at barley and hairy vetch cultured group. Meanwhile, leaf width was good at hairy vetch cultured group. Leaf length of ginseng under a blue polyethylene sheet (BPS) was good at a barley and barley + hairy vetch cultured group, but stem length was shorter compare to other shading net cultivations. Root weight of ginseng was good under the shading net of a two-layered blue and two-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TBPN) at a rye and hairy vetch cultured group, and was good under the shading net of a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OBPN) at a barley + hairy vetch cultur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under blackout screen according to manure crop varieties. Ratio of rusty root was 10.2% at the barley cultured group under the shading net of a two-layered blue and two-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TBPN), and was 23.1% at hairy vetch cultured group under shading net of a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OBPN). Ratio of rusty root was the lowest at a rye cultured group regardless the shading nets. Content of the ginsenoside was the highest at the rye cultured group under the shading net of two-layered blue and two-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TBPN), was the highest at the barley cultured group under the shading net of a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net (TBOBPN), and was the highest at the rye cultured group under the blackout screen.
        1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확립을 위해 기내배양 식물체의 순화기에 있어 순화기 용토종류와 용토내의 pH, 관비효과를 위해 ammonium nitrate 그리고 차광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생상록 양치류의 순화기에 이식용토 종류를 달리하여 더부살이고사리 외 4종의 상록자생 양치류의 전엽체를 이식함에 있어 전반적으로 상토+마사+펄라이트(2:1:1) 조합에서 포자체의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다. 자생상록 양치류의 순화용토 내에 적합한 pH는 공시식물 종에 따라 적성 pH의 요구성이 pH 5.5~7.5로 다양하게 보였으며, 순화기에 차광 효과는 30%와 50% 차광에서 무차광구에 비해 포자체 형성과 생장이 증가하였다. 또한 순화기의 관비에 관한 효과는 ammonium nitrate 0.5 g/ℓ 첨가가 순화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1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를 위해 배양조건에 따른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의 조합 및 배양조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엽체증식에 있어 적절한 배지는 4종 모두 MS배지가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양호하였고, 질소량이 NH4+:NO3-이 20:40mM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특히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서는 NH4+:NO3-이 60:0보다 20:40mM에서 생체중이 1.48g으로 4.1배로 증가를 보여 가장 양호하였다. 탄소원인 sucrose 농도별로 전엽체의 증식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 있어 3%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7.7배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고, 배지내의 NaH2PO4 100mg/L에서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경우에 있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장조절 물질에 대한 생육반응에 있어 골고사리와 버들참빗은 NAA 0.1mg/L에서 볼 수 있었으나, 돌담고사리 경우에는 Kinetin 0.01∼10mg/L와 NAA 0.01∼1mg/L에서는 효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손고비에서는 전반적으로 무처리구에서 전엽체 증식이 가장 현저하였다. 배양시 광조건은 1,000 Lux의 광도에서 배양한 것이 전엽체 증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배양방법에 있어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는 액체배양에서는 1.59g에 비해 고체배양에서 3.34g으로 2.1배의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13.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 the late 20th century, many problems surfaced from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which raised the importance of natural environments; technology and ecology started collaborating, the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troyed, and developed into a hybrid-oriented form.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use of green architecture materials as a way to furnish natural expression & mood and dealt with water, plants, trees, sand, rocks, light, wind, mist, cloud and their applications on basic compositional elements such as floor, ceiling, walls, openings and other elements. The discoveries revealed that application of green architecture materials is visible in raw material aspect, architectural forming media aspect, technical aspect, and natural image aspect; furthermore, the use of green architecture materials can make the expression of natural design trend possible. Study of green architecture materials should continue to advance through collaborations and co-studies among interior design, architecture, landscape, and horticulture related design fields for the years to 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