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ammonia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pigs in a facility with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emission factor was calculated. Real-time ammonia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photoacoustic spectroscopy equipment, and a ventilation measuring device was fabricated to measure the amount of air vented from an exhaust fan according to the operation rate. All data were collected as one-hour averages. The mean ammonia concentration, indoor temperature, and ventilation rate was 1.44~2.08 ppm, 25.5~26.4oC, and 24~32 m3/h per pig, respectively. Both concentration and ventilation rate are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emission management, but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impact of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ventilation. Using ammonia concentration and ventilation data, the ammonia emissions per pig wer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pigs (0.25~1.74 g/day·pig). The final ammonia emission factor yielded a value of 0.81 g/day·pi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heifer and to produce high quality of meat with dietary means during growing and early fattening period. Particularly, additional energy diet to relieve estrus stress was main purpos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in vitro rumen fermenta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no negative effect by additional energy diet as treatments. In the feeding trial, twenty Hanwoo heifers(average 10 months age) were allocated and distributed into two treatments in randomized block design based on body weight. There were three growth stages such as growing, early fattening and late fattening periods in this feeding program, respectively. In growing stage, there were two treatments consisting of only total mixed ration(TMR) as a control and TMR with additional energy treatmen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wice a day, and water and mineral were freely accessed. In additional energy treatment, 500 g of concentrate diet was fed daily to relieve estrus stress due to obese with high energy intake. Not outstandingly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the treatments during entiretrial period. While, unexpectedly greater feed conversion ratio in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was found during late fattening period. It seems that the blood cortisol decreased with addition energy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during trail period. Carcass characteristics including carcass weight, back fat thickness,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maturity and tex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Rib-eye area, however, was greater in the control compared to the treatment(p<0.05). In addition, it appears that yield index was tended to be greater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energy supplementation to Hanwoo heifer could get a potential in improving meat quality and relieving estrus stress.
본 연구에서는 사과 ‘후지’/M9의 생육기간 중 조기낙엽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적엽 처리하여 광합성과 탄수화물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눈의 재발아율은 대조구, 50% 처리구, 80% 처리구에서 각각 2.1%, 45.9%, 82.7%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적엽처리 후 남은 잎의 자당(sucrose)와 전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대조구와 50% 처리구에서는 총 유리당의 변화도 크지 않았다. 반면 80% 처리구에서 총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은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sink로서의 탄수화물 요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뿌리에서의 전분 축적은 적엽처리 정도가 심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는 80% 처리구에서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광합성 속도의 상승은 남아있는 source 잎에서의 삼투포텐셜이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적엽처리로 인하여 눈의 당년 2차 재발아에 필요한 sink의 탄수화물 요구가 갑작스럽게 일어나게 됨으로써 남아있는 잎에서 광합성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Cockroaches are insects of the order Blattodea, sometimes also called Blattaria, of which about 30 species out of 4,600 total are associated with human habitats. About four species are well known as pests. Among the best-known pest species are the American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which is about 30 mm long;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about 15 mm long. We researched growing condition of in-vitro(temperature and humidity) for P. americana and B. germanica. The cockroach is divided in three sections; the body is flattened and broadly oval, with a shield-like pronotum covering its head. A pronotum is a plate-like structure that covers all or part of the dorsal surface of the thorax of certain insects. They also have chewing mouth parts, long, segmented antennae, and leathery fore wings with delicate hind wings. The third section of the cockroach is the abdomen. We measured size of head, abdomen, and body length during differential stages. Also, we checked number of egg, size of egg, hatching rates, period of former laying eggs, and laying periods etc.
표고버섯은 담자균류 송이과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영양 성분 및 약리적 효능이 높기 때문에 동양인에게 중요한 버섯이며, 점차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시기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생육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7~1998년 국내 고품질 표고버섯이 생산되는 지역중 3지역(부여, 원주, 장흥)을 선정하였다. 표고버섯의 다량 발생시기 20일 기준으로 기상분석시기 15일을 선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발생시기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일평균온도, 일 평균습도 및 풍속을 분석하였다. 발생기간중의 일 평균온도는 버섯 발생 온도 하한치인 7℃ 이하에서 적정온도 20℃까지의 변화를 보였고, 일 온도차는 주간에는 7~20℃, 야간에 0~-2℃의 범위를 나타냈다. 일평균습도 50~70%으로 강우에 따라서 변화 폭이 컸으며, 일습도차는 40~60%의 차를 나타냈다. 풍속은 1~4m.s-1이었다 .따라서 화고, 동고의 생육환경은 일반적인 표고버섯의 적정 생육 조건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생육기간동안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저 습도, 풍속 등의 환경 조건은 고품질 표고버섯 발생의 요인의 하나라고 추정된다. 이 연구결과는 버섯의 시설재배시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Currently sprout ginsengs are produced in extensive variations of cultivation times, methods and specifications that are different in each farm in Korea. Also, regardless the effective ingredient content of ginseng, overgrown sprout ginseng are distributed so that the quality standardization of sprout ginseng is urgently required. The sprout ginseng market is only a segment of the Korean ginseng market still. However, If development of processed products utilizing the functionalities is connected, the market may exponentially grow. Also, if the use of sprout ginseng is extended to productions of drinks, cosmetics, facial masks and others in the cosmetics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ies, the export competitiveness to the global 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he quality standardization of sprout ginseng to secure the market competitiveness in Korea and overseas by examining the property change following the cultivation period.
Methods and Results : Growth of sprout ginseng were investigated on 20 th, 30 th, 40 th and 50 th days after planting on May 30 th. Growth of above-ground parts and underground parts of 2-years-old sprout ginseng increased with longer growing period. As the growing period became longer, the sprout ginseng weight increased, that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 the above-ground part. Also,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leaves, stems and roots properties of 2-year grown sprout ginseng in each growing period, a trend that, as the growing period is longer from 20 days to 50 days, the hardness, gumminess, chewingness and fracture of leaf, stem and root are higher.
Conclusion : In case of cultivating sprout ginseng in a green house, as the growth period of 2-years-old sprout ginseng was prolonged, the growth of above-ground parts and underground parts was improved. And, as the growing period of sprout ginseng was prolonged, the properties of leaves, stems and roots tended to increase.
Amaranth (Amaranth caudatu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reference crop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o determine its growth potential and cultivation requirements, we investigated its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productivity, and grain yield according to the growing period.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May 10th when th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whereas the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April 10th. Amaranth grain yield ranged from 96 to 243 kg according to the sowing date and cultivation year.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April 10th, May 10th, and June 10th were 120, 110, and 110 days after seeding, respectively. The mean temperature and growing period had a significant quadratic function with yield. Based on these equations, the optimum growing temperature was estimated as 20.6℃ and the optimum growing period as 104-119 days after seeding.
Barnyard grasses are dominant weed that are not eliminated easily in the direct water seeding cultivation. So, deep water treatment can reduce their growth at the early growing stage of submerged pad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ducing growth of the barnyard grasses through flooding at seedling stages of rice plant in the green house. Under the normal condition, the plant height of rice variety, Samgwangbyeo, and 3 species of barnyard grass, E. caudata, E. pratocola and E. utilis were not showed the difference up to 10 days after seeding while the plant height of 3 barnyard grass species, especially E. utilis, was more elongated than the rice at 25 days after seeding. Plant height of the 3 barnyard grasses were not elongated largely during 3, 5 and 7 days of flooding treatment at 10 days after seeding. Interestingly, the rice seedlings was grown over 20 cm, and the flooding tolerance of rice seedling was higher than the 3 barnyard grass varieties. However, after flooding treatment for 3, 5 and 7 days, the elongation of plant height of 3 barnyard grasses, especially E. utilis was more speedy compared to rice seedlings as 6 to 9 days passes. And the protein spots from barnyard grasses were also reduced and eliminated more than the spots of rice seedling after flooding treatment.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온난화는 전 지구적 온난화에 비하여 심하였으며, 미래에도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상승은 보통 벼 수량을 감소시키고 품질 저하를 야기하는데, 이 양상은 벼 생육기간 및 그에 따른 생육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벼 생육기간 및 생육온도 또한 이앙 및 파종시기와 같은 재배시기에 조정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및 그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 여부가 현재 우리나라 벼 품종의 생태형별 생육기간과 생육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생육모델 ORYZA2000을 이용하여 오대벼, 일품벼, 화성벼의 파종부터 출수기까지의 생육기간을 예측하였을 때 예측값이 관측값의 약 84%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측오차 중 상당부분은 작물모형 자체의 문제보다는 육묘기 생육온도에 대한 정보부재 또는 불확실성 때문이며, 예측값과 관측값의 회귀직선과 1:1선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미래 기후변화 조건에서의 벼 생육기간 변화를 예측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조생종은 전체 57개 지역 중 55개, 중생종은 51개, 중 만생종은 40개 지역에서 최적파종기가 설정되었는데, 전체적으로 최적파종기는 생육기간이 짧은 조생종에서 비교적 늦고, 생육기간이 긴 중만생종에서 빠른 경향이었으며, 벼 생태형에 관계없이 지구온난화가 진전될수록 최적파종기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재배시기를 고정하였을 경우 지구온난화가 진전되면서 벼 출수기와 그에 따른 출수전 생육일수가 빨라졌는데, 조 중생종에 비해 중만생종의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는 경향이었고, 출수후 생육기간은 벼 생태형간 차이 없이 10일 정도 단축되었으며, 출수전에 비해 출수후 생육기간 단축 정도가 컸다. 4. 최적파종기를 기준으로 벼 재배시기를 조정하였을 경우 지구온난화가 진전되면서 출수기는 늦어졌으며, 출수후 생육기간 및 생육온도는 변화가 없었다. 재배시기를 고정하였을 때에 비해 출수전 생육온도는 크게 상승하였고, 생육기간은 크게 단축되었는데, 조 중만 생종에 비해 중만생종에서 그 경향이 심하였으며, 생육온도에 비해 생육기간 변화의 지역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5.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가 진점됨에 따라 벼 생육온도가 상승하고 생육기간이 단축되어 벼 수량성 및 품질저하가 우려 되었는데, 특히 생육기간 단축이 큰 중만 생종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시기 조정은 벼 수량성 및 품질 결정에 영향력이 큰 등숙기간의 온도환경을 개선할 수 있지만 출수전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여전히 벼 수량성 감소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더욱 적극적인 재배기술과 품종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중금속 정화방법인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의 적합성 규명을 위해 미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조경식물로 코스모스와 해바라기를 이용하였고, Cu와 Cd의 중금속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생육량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식물체내의 중금속 축적량을 확인하여 식물복원법 적용의 타당성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농도별 중금속 처리에 있어서 그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생육량이 불량하였고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Cu처리에서 다소 높았고 Cu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Cd 처리에 있어서는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저농도의 중금속 처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Cu 2000μM과 Cd 100μM에서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전질소 함량은 Cu 2000μM에서 가장 저조하였고, 엽록소와 수용성 단백질과는 달리 생육기간이 경과할 수록 그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량과 생리적 양상에서 다소 저해를 보였지만 축적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의 축적량이 많았으며 식물체내의 중금속 축적량은 코스모스는 뿌리에서 Cu 453.44μg/g, Cd 675.14μg/g이었고, 해바라기는 뿌리에서 Cu 353.14μg/g, Cd 140.76μg/g으로 그 축적량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코스모스와 해바라기는 경관조성이 가능한 phytoremediator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high salt concentration of reclaimed tidelands in the beginning of reclamation interferes with the growth of most crops. Although the crops are cultivated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after desalinization to be arable, they we apt to be injured from salt by the resalinization through accumulated salts in the root zone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oder to make the reasonable irrigation plan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s well as leaching requirements have to be included i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The critical salinity for the normal growth of crops should be determined to estimate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nd the changes of salinity in soil and water should be analyzed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this study, the growth tests of crops were conducted by soil textures and water management methods in the experimental field with lysimeters, using the samples of good drainage soils and poor drainage soils. And the changes of salinity in soil and water during the growing period, were analyz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critical salinity and making the estimation criteria of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zing the changes of salinity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the exchanging interval of water for the prevention of resalinization was estimated to be within two weeks in good drainage soils and a week in poor drainage soils. And the total exchanging requirements of water for the prevention of resalinization during the growing period was estimated to be over 280mm in good drainage soils and 540mm in poor drainage soils.
유채에 있어서 유묘의 저온감응 처리가 하계고온포장에서의 좌지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유채 세대단축 기술의 보완과 우량종자의 비격리 순수채종 방안을 검토코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유묘의 저온록체 춘화처리후 하계고온의 일반포장조건에서 재배했을 때 추태, 개화단축 효과는 조생, 중생종에서 추태까지 34일, 개화까지 52일 소요했으며 만생종은 추태까지 44일, 개화까지는 73일을 소요했다. 2. 성숙까지의 전생육기간에서는 조생, 중생종들이 85-88일이 필요했으며 만생종에서는 108일이 소요되어 표준재배 227-240일 보다는 67%-55% 단축할 수 있었다. 3. Winter형의 B.napus에서 5월 이후의 고온재배에서는 전부 좌지하던 것이 국내품종도 록체춘화저온처리에서는 모든 공시품종이 완전 추태ㆍ개화, 성숙할 수 있었다. 4. 저온록체 처리후 하계고온재배시의 유채 주요형질들은 초장, 수장에 있어서 보통기재배보다 50% 내외로 빈약하였으며 수량형질인 분지수와 1수협수에서는 특히 적어서 보통재배시의 1/10 정도로 분지수 2-3개, 협수 4-7협에 불과했다. 5. 그러나 결실립수, 결실비율, 1,000립중 등에서는 다소 표준추파재배보다 떨어지나 큰 차이는 없었다. 6. 저온처리 하계고온 재배시의 주당종실중과 10a당 수량성에서는 1주당 8.8g으로 표준재배의 34.5g의 26%밖에 되지 않으며 10a당 수량성은 평균 53kg로 표준추파재배의 230kg에 비해 23%에 불과하였다. 7. 수량성이 10a당 불과 53kg 내외이긴하나 이같은 채종량은 육묘이식으로 100㏊ 이상의 (1,000배 증식율) 배경면적에 보급 증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매원이 없는 하계재배로 강실, 격리재배를 하지 않고도 순정한 채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노출된 괴경은 동계 저온에 의한 것보다는 건조에 의한 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단백질함량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졌다. (11) 대, 소맥 각품종의 각형질에 미치는 RH-531처리의 영향은 처리농도보다 처리시기에 더욱 지배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A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4 는 A4 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4 와 B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