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2.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cast concrete produced in the industry is advantageous in a sense that it meets certain requiring standards and thus is easy to manage, and it saves construction period by shortening concrete curing time in the field. Nevertheless, studies on the strength evaluation of PC material by steam curing have rarely been done. In addition,as concrete becomes of high strength, it is speculated that relevant steam curing temperature history is also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s on the steam curing method in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products, and cement mortar has been used for experiments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concrete aggregate granularity and aggregate shape change may affect on strength development by cement hydr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industrial manufacture of PC member by suggesting the optimal steam curing condition. The optimal steam curing condition has been investigated from the relations between temperature history condi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via modifying temperature patterns in various ways such as pre-tirne, curing maximaI temperature, maximaI temperature maintenance time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on high strength concrete product in steam curing.
        4,000원
        3.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asic experiment for estimating influence of strength by curing temperature of concrete's heat of hydration and estimate relationship of compressivε strength development by initial curing temperature factor, and then asume temperature factor which influenc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and for showing basic document of quality contr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ement mortar by the curing temperature factor high-curing temperature shows high strength on 3 day compare with low curing-temperature, shows higher strength than the piece of high curing temperature.
        4,000원
        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가 90 %만큼 다량치환된 모르타르에 알칼리 활성화를 통한 강도증진을 동일한 양생온도 조건 에서 양생방법 및 유지시간 변화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 플래이애시를 90 % 치환한 경우, 소생재 도 포 후 40℃로 24시간 기중양생시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발휘하였지만, OPC의 압축강도까지 발휘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선별파쇄 골재 등 부순 골재에 포함된 토분함유량 규정치를 정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써 골재 토분이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토분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과 휨강도는 감소하고, 공기량은 증가하며 압축강도는 1 % 전후에서 증가하는 경향도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가 다량치환된 모르타르에 알칼리 활성화를 통한 강도증진을 양생온도 및 양생방법 변화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플라이애시를 60 % 과다치환한 경우 소생재 도포 후 40℃의 온도로 48시간 기중양생을 실시한다면 OPC의 28일 압축강도에 근접하게 발휘되는 것이 얻어졌다.
        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choosing the inorganic/organic hybrid material as the repairing solution by analyzing its efficiency in securing high vibration resistance and very low perme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composite mortar, the strength increased with a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n inorganic binder having a certain amount or more is required for high strength development.
        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ment the performance of the two-component mixed aggregate mixed with fine granite fine aggregate and seawater,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reject ash on the cement mortar according to the change of substitution rate was don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ressive strength is more effective when the rejection ash is replaced by 5% in the mixed aggregate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high quality aggregate.
        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ation heat, autogenous shrin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s has been verified with moisture supply on the hardened cement paste depending upon the difference in moisture condition of the fine aggregates. The result showed that, autogenous shrink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also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mproved due to the continuous moisture supply regarding on fine aggregates.
        1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ment the performance of the two-component mixed aggregate mixed with fine granite fine aggregate and seawater,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reject ash on the cement mortar according to the change of substitution rate was don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ressive strength is more effective when the rejection ash is replaced by 5% in the mixed aggregate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high quality aggregate.
        1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onstruction sites there are many cases that concrete is cured in a dry condition, without being moistured, after form have been removed. Consequently such curing condition causes cracks on concrete. In this study is to observe when applied ERCO(Emulsified Refined Cooking Oil) coating on concrete surfaces after removal of form, affects water evaporation and Shrinkage of high-strength mortar.
        1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강도 그라우트재가 적용된 해상 풍력 발전 타워 자켓-파일 연결부의 설계를 위하여, 국외 해상풍력발전 타워 설계기준에서 제공하고 있는 그라우트 연결부 설계기준을 검토하였다. 해상 풍력 발전 타워 자켓-파일 기초의 연결은 sleeve의 내측과 파일의 외측에 링 모양의 전단키를 설치하고, 그 사이를 모르터로 채워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현재 DNV-OS-J101 및 NORSOK 등의 설계기준에서는 모노파일의 연결부 형식과 자켓-파일 연결을 모르터를 이용한 연결방법으로 설계기준이 정립되어 있으나, 설계기준별로 추천하고 있는 그라우트재의 강도는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k), 전단키의 높이(h), 전단키의 간격(s) 및 그라우트 간격(tg)에 따른 연결부의 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재료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구조적 거동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단키의 간격에 따른 모르터와 전단키의 파괴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도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키의 간격별 파괴모드와 유한요소해석결과의 파괴모드를 비교분석하여, 고강도 그라우트재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1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anufactured of cement mortar using high early strength cement(10 ~ 50 wt%)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50 ~ 90 wt%), according to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hardened cement mortar. XRD and SEM were evaluated utilizing the initial cement hydration properties.
        1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CJNSP1.0 were increased th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and satisfactory crack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 specimen BCJN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in the beam-column joint region.
        1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howed a stable mode of failure and an increase in shear strength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enhancing dispersion of crack control at the time of initial loading and bridging of fiber from retrofitting new high ductile materials during testing.
        1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experiment, the high early strength cement containing massive C3S quantity was used to enhance the early strength of cement mortar using admixtures which can accelerate C3S hydration reaction in the condition of room temperature. The measuring items are zero flow, setting times, compressive strength and analysis of MIP & SEM
        17.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의 강성에 대한 합리적인 검토를 하기 위하여 100여개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의 실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슬리브 철근이음이 보유하고 있는 구조인자가 반복 하중이 작용하는 슬리브 철근이음의 강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고, AIJ 규준에 정해져 있는 강성 등급을 충족시키는 최소한 의 조건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SD350과 SD400 철근을 매입한 모르타르 충전식 주물 슬리브 철근이음에서 fg*(L/d)가 470MPa 이상이 된다면 AIJ 규준의 SA급 강성, fg*(L/d)가 340MPa 이상이 된다면 AIJ 규준의 A급 강성을 최종파괴형식과 슬리브 형상에 상관없이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D500 철근을 매입한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에서 주물슬리브와 강관 슬리브를 사용한 경우는 fg*(L/d)가 400MPa 이상이 된다면 AIJ 규준의 A급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기계적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단조가력 하에서의 강성을 보다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슬리브 철근이음의 주요한 구조요소가 미치는 단조가력 하에서의 철근이음 강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고 AIJ 규준에서 설정한 단조가력 하에서의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강성 기준과 비교평가하였다. 이것을 위하여 단조가력을 실시한 국내외 189여개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기계적 슬리브 철근이음의 실험데이터를 조사하고 그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IJ 규준에서 규정하는 목표 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fg(L/d)의 한계값을 철근의 종류와 슬리브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제시하였다.
        19.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자유로운 형상의 슬리브를 만들 수 있는 구상흑연 주철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구조성능을 발휘하면서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하게 개발된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을 대상으로 실물크기의 19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 강성, 슬립을 중심으로 한 구조성능에 대하여 본 실험의 주요한 변수에 따르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의 요구 성능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한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은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정립에 필요한 정량적인 기술 데이터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