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upling protein 1 (UCP1) is a unique mitochondrial membranous protein expressed in brown adipose tissue (BAT) in mammals. While its expression in response to cold temperatures and adipogenic inducers is well-characterized in mammals and human infants,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UCP1 in fish remain unexplored. To address this gap, we analyzed UCP1 expression in response to adipogenic inducers in a fish cell line, rainbow trout gonadal cells (RTG-2), and compared it with UCP1 expression in three mammalian preadipocytes, 3T3-L1, T37i, and WT1 exposed to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gonists, rosiglitazone (Rosi). In mammalian preadipocytes, UCP1 protein was highly expressed by Rosi, with an induction of adipogenesis observed in a time-dependent manner. This suggests that UCP1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dipogenesis in mammals. However, RTG-2 cells showed no response to adipogenic inducers and exhibited only marginal expressions of UCP1. These results imply that RTG-2 cells may lack crucial responsive mechanisms to adipogenic signals or that the adipogenic response is regulated by other mechanism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phenomena in fish preadipocytes when an appropriate cell line is established in future research.
한류 콘텐츠의 탄생과 확산이 융성되는 현시점에서 본고는 K-dance 의 주제적 개념 정립을 토대로 ‘Feel the rhythm of Korea1’ 춤의 성 공 원인을 도출하여, K-dance의 미래 방향성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 결 과, 첫째 K-dance의 주제적 개념은 전형典型적으로 내려온 한국춤에서 부터 한국 문화 창달의 힘으로 한국인에 의해 창착된 춤까지를 아울러 가리키며, 한국 문화의 정체성 및 세계적인 비전을 통해 인류의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둘째, ‘Feel the rhythm of Korea1’의 춤은 이날치 수궁가에 맞춰서 춤의 원리·표현 양식·구성·의도 요소들을 기발, 코믹, 자유롭게 교차시켜서 보여준다. 한국과 세계 사이, 일상과 예술 사이, 전통과 현대 사이의 경계선 위에서 고도의 음악적 분 석과 그에 따른 동작의 수행으로 탄생한 이 춤은 한국을 제대로 알렸다. 인간의 보편적인 리듬과 움직임을 토대로 세계적인 감각, 니즈, 코드 요 소들을 가미하여 한국적인 완성체로 끌어냈다. 이는 이 춤을 K-dance 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셋째, 안무자의 철학, 자유자 재한 표현, 음악에 대한 이해, 숙련된 동작 기술의 채용, 보편적 기호의 포착, 현대적 니즈의 반영을 토대로 그것을 조화롭게 춤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작력이 K-dance 성공의 핵심 열쇠이다. 더불어 K-dance의 자유로운 도전을 장려해 주고, 창작자 육성과 지원에 주력하고, 해외 시 장 진출의 전략적인 지휘가 가능한 기획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K-dance 미래는 더욱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We submit a proposal ‘Jeju 6+1 Forum in France : World Environment University in Korea and its Sister University in Strasbourg in 2022’ for a private meeting for the IUCN World Conservation Congress 2020 at Parc Chanot in Marseille to 7 to 15 January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actice both Jeju Environment or bio diplomacy utilizing UNESCO Environmental Assets but also actualize Jeju peace island cultural and educational diplomacy making use of peace-promoting imag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6+1 Wonsan Culture Forum, Jeju Peace Concert, Global Youth Peace Documentary Film contest by people to people democracy at grassroots level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PWN)은 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류들에 침입하여 고사시키는 심각해 병원성 선충이다. 가장 완벽한 방제 방법은 감염목을 소각/분쇄의 방법으로 PWN 감염목을 제거하는 것이다. 현재 PWN의 다른 종과 차이를 가지는 유전자서열을 이용한 진단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져서 실험실에서의 종 판명은 가능한 실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분자진단방법은 소나무 목편에서부터의 시료 추출, 그리고 분자진단 시약과 혼합하고, PCR을 이용하여 증폭을 진행 한 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분자진단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 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반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진단 방법의 경우는 항원 추출 후, 일정량을 신속진단키트에 떨어 뜨려서 반응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PWN과 PWN 감염목에 특이적인 항원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에 우리는 PWN단백질 중에서 분비되는 Aspartic peptidase 1 (ASP1)을 항원으로 선정을 하고, 전장단백질을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으로 발현을 하였다. PWN-ASP1을 항원으로 단클론항체를 분비하는 세포 주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단클론항체는 향후, PWN의 소나무 침입에 관한 연구와 신속진단키트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비 지원으로 진행되었음)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antigens for pine wood nematode (PWN), we confirmed that one of the genes commonly found in the transcriptome, proteome and secretory proteins of PWN belonged to the Aldose Reductase (AR) family protein. 36.5 kDa PWN-AR1 was expressed and purified us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Total 1,546 hybridoma fusion library was generated and screened for specificity to PWN-AR1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Nine clones showed strong immunoreactivity to PWN-AR1 were limited-diluted. Total 864 limited-diluted clones were further screened using PWN-AR1 by ELISA and 34 monoclonal antibody (Mab) clones were selected. 34 Mab clones were further screened using PWN extracts and a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extract by ELISA. Finally nine clones were selected and their immunoreactivities to 4 different nematodes were examined by ELISA. Seven clones pecifically recognized PWN while two clones recognized 4 nematodes. Our data suggested that PWN-AR1 is a PWN secretory enzyme while PWN is invading pine trees, Thus, PWN-AR1-Mabs could be used to develop diagnosis tools for PWN and its infected pine trees.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honey bee soluble acetylcholinesterase 1 (AmAChE1) is overexpressed under the overwintering and brood rearing-suppressed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mAChE1 in regulating acetylcholine (ACh) titer, ACh concentrations both in the head (neuronal) and abdomen (non-neuronal) were analyzed. ACh tit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both tissues of worker bees under the overwintering and brood rearing-suppressed conditions compared to control bees. The expression levels of another two factors that regulate ACh titer, choline acetyltransferase (AmAChT) and acetylcholinesterase 2 (AmAChE2), were not altered as judged by qPCR and native PAGE, suggesting that the lower ACh titer was mainly regulated by AmAChE1. For precise verification of AmAChE1 as an ACh titer regulator, honey bees were put under brood rearing-suppressed condition to induce AmAChE1 and injected AmAChE1 dsRNA to knock down the gene. The ACh titer of AmAChE1-knocked down honey bees was 1.9 and 2.6 fold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ees in head and abdomen, respectively. Taken together, in spite of its extremely low catalytic activity, the overexpression of AmAChE1 is likely to be related with the low level of ACh homeostasis, perhaps via ACh sequestration, under brood rearingsuppressed condition, and likely induce metabolic changes through ACh receptors-related pathways.
선행연구에서 화장품 소재로서 보습력과 방부력을 가지고 있는 1, 2-hexanediol (HD)의 transgalactosylation 반응을 통하여 galactose한 분자가 HD에 결합한 1, 2-hexanediol galactoside (HD-gal)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조합 β-galactosidase (β-gal)가 발현된 Escherichia coli (E. coli) 세포를 이용하여 약 94%의 수율로 HD-gal가 합성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HD-gal을 합 성한 후, 보다 효과적인 HD-gal의 정제 방법에 대하여서도 연구하였다. 먼저 고농도의 lactose (300 g/l) 존재 하에서 β-gal을 함유한 E. coli 세포를 이용하여, 48 시간 동안 75 mM의 HD로 부터 HD-gal이 합성되는 것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고, 반응액에서 E. coli β-gal의 존재를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HD-gal을 효과적으로 순수 정제하기 위하여, 용매를 사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이 끝난 후 잔여 HD를 우선 제거하고, 이어서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수 행하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물에 녹지 않는 용매로는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를 선택하여 비 교 실험하였는데, ethyl acetate를 사용하여 4회 물층을 분획하여, 잔여 HD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 었다. 그 후, 이어서 silica gel chromatography 수행하여, 순수한 HD-gal을 효과적으로 정제하였다. 반 응에 첨가된 75 mM의 HD를 기준으로 최종 정제된 HD-gal의 생산 수율은 mole 기준으로는 약 8.9±0.6% (n=3), weight 기준으로 약 21.1±1.4% (n=3) 정도였다. 앞으로 이러한 정제 방법을 이용하 여 얻은 HD-gal의 항균력 변화를 HD와 비교하여 평가할 예정이고,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 변화를 역시 HD와 비교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국가 지형도에 있어 도엽명은 도엽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인덱스이면서 동시에 특정 도엽의 위치를 참조할 수 있게 하는 지리참조 체계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지형도 제작 역사가 100여 년이 지나고 있으나 도엽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가 지형도의 도엽명 부여 원칙을 정립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여 현행 도엽명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지형도 도엽명 부여 원칙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 도엽명 부여 원칙을 수립하기 위한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행 지형도 도엽명을 기초로 행정구역명 중심의 도엽명 부여 원칙을 제안하였다. 셋째, 이 원칙에 입각하여 현행 1:50,000 지형도 도엽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원칙을 적용할 경우 현행 도엽명 가운데 약 20% 정도가 변경 가능한 도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원칙은 향후 발생 가능한 도엽명의 신규 부여 및 갱신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mpedancemetric NOx (NO and NO2) gas sensors were designed with a stacked-layer structure and fabricated using LaCrxCo1-xO3 (x = 0, 0.2, 0.5, 0.8 and 1) as the receptor material and Li1.3Al0.3Ti1.7(PO4)3 plates as the solid-electrolyte transducer material. The LaCrxCo1-xO3 layers were prepared with a polymeric precursor method that used ethylene glycol as the solvent, acetyl acetone as the chelating agent, and polyvinylpyrrolidone as the polymer additive. The effects of the Co concentration on the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NOx sensing properties of the LaCrxCo1-xO3 powders were investigated with powder Xray diffractio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its response to 20~250 ppm of NOx at 400 oC (for 1 kHz and 0.5 V), respectively. When the as-prepared precursors were calcined at 700 oC, only a single phase was detected, which corresponded to a perovskite-type structure. The XRD results showed that as the Co concentration of the LaCrxCo1-xO3 powders increased, the crystal structure was transformed from an orthorhombic phase to a rhombohedral phase. Moreover, the LaCrxCo1-xO3 powders with 0 ≤ x < 0.8 had a rhombohedral symmetry. The size of the particles in the LaCrxCo1-xO3 powders increased from 0.1 to 0.5 μm as the Co concentration increased.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stack-structured LaCrxCo1-xO3/Li1.3Al0.3Ti1.7(PO4)3 sensors was found to divide the impedance component between the resistance and capacitance. The response of these sensors to NO gas was more sensitive than that to NO2 gas. Compared to other impedancemetric sensors, the LaCr0.8Co0.2O3/Li1.3Al0.3Ti1.7(PO4)3 sensor exhibited good reversibility and reliable sensingresponse properties for NOx gases.
중국 고대 한자교육인 “識寫分流, 先認後寫”의 전통에 따라 “三, 百, 千”등 중 국 전통 교재의 편찬 경험을 흡수하고 중국 현대 어문교육 연구의 성과를 병합하 여 소학 1, 2학년 어문 교재는 아래와 같은 이념을 가지고 있다. (1)많이 알고 적 게 씀으로써 아동들이 조기에 독립적으로 독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식 하고, 쓰고, 말하는 분별화된 교육이 하나로 합일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되고 영 향을 미치는 관계를 통해 최대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한다. (2)한자교육 교재는 최대한 아동들의 일상 언어 생활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하여 아동들의 인지 발달 에 가장 가깝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언어 발전을 돕도록 한다. (3)일정한 양의 기본 한자를 인식한 후 병음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흥미를 만족 시키고 조절함으로써 한자 병음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4)여러 한자 학 습 방법을 채용한다. 각 한자교수학습 방법은 각기 그 응용의 장점과 한계가 있으므로, 서로 보충함을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한자교육의 이념을 사용하여, 교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 반응을 살핌으로써 (1)아동의 한자 교육에 대한 흥미를 배가 시키고, (2)아동이 독립적으로 한자를 습득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식자량을 증대시키고, (3)아동이 여 러 한자 교육 방법을 습득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문은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 성과들을보고 하고 더 나아가 중국 소학 어문 교재의 “識字寫字”의 개선점과 관련된 여러 생각과 전략을 구성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new values for the agricultural food area can be created by combining various big data collected in the agricultural food area and analyzing them in an appropriate analysis method. For this, the analysis techniques generally used were studied, and the use of the big data in the various areas of the current society was explored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instances. In addition, by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instances of the big data use in the agricultural food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how the new values found were being used.
본 연구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자원으로서 거대억새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개발된 품종인 거대억새 1호를 완숙기 이후에 채취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를 이용해반추위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가스발생량,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및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으며,볏짚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거대억새는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반추위내 pH를 나타내었다(p<0.01). 암모니아태 질소의 경우 배양 12시간 이후에는 두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배양 6시간 이후 부터는 거대억새의 가스발생량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있어 acetate, propionate, butyrate, valerate 및 총생상량에서 볏짚이 거대억새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so-butyrate와 iso-valerate에서는 두 조사료원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건물소화율에 있어 배양 12~24시간 사이의 거대억새 소화율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거대억새의 이용성은 볏짚의 약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work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lecular discrimination through the nrITS1 sequences among 3 taxa of Scirpus L. sensu lato (s.l.) species. S. planiculmis represented only 2 base sequence variations with S. maritimus in spite that they showed different morphological features.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TS1 region from S. planiculmis were shown to have 99.1% homology with S. maritimus and 60.4% homology with S. triqueter. Although the morphology of S. planiculmis is similar with S. triqueter, molecular basis of the size and sequences on ITS1 region were shown to have distinctive differences. For divergency investigation on same sites and metapopulation, sequencing was conducted on ITS1 region with partial 5.8S and 18S regions. All plants of each species collected at the same site had identical band size pattern and sequences. Intraspecific molecular divergency was not identified in spite that these species live in different wetland sites. The ITS1 sequences described here provided a powerful genetic tool for phylogenetic studies which was difficult by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as high rate of morphological plast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