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피 구조로서의 강박스와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는 양개형 방폭문은 방호 및 대피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방폭문과 그 후면의 벽체 사이에는 일정의 설치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지지조건 및 구조거동의 변화는 방폭 해석 및 설계에 적절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에 의한 지지조건 및 폭압의 변화에 따른 방폭문의 구조응답 및 파괴거동을 유한요소 해석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설치 간격 및 폭압의 변화는 방폭문의 최대 처짐 및 영구 처짐과 같은 처짐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설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따라 방폭문과 벽체의 충돌 접촉 정도 및 이에 의한 충격력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폭문에 작용하는 이와 같은 충격력의 변화는 슬래브의 전단파괴와 같은 파괴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설치간격 10mm 미만의 방폭문은 전단파괴에 취약해지고, 15mm 내외 수준인 경우가 휨성능 발현에 비교적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 및 폭압과 같이 기본적인 조건의 변화에 한해서 비교 해석을 하였다. 향후, 부 재 재원 및 강도변화, 전단설계 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거동 변화에 대해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하다.
        4,200원
        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열병균(稻熱病菌)(Pyricularia oryzae)의 포자발아(胞子發芽)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였으며, 발아(發芽)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은 4시간으로 나타났고, 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상대습도의 영향은 고온(高溫)인 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병효율(發病效率)은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와 에서는 에 비해 약 20% 정도였다.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평균수분존재시간(平均水分存在時間)은 에서 22시간, 에서 16시간, 에서 10시간, 에서는 8시간이었으며, 에서는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접종(接種)후 병반(病斑) 발현시(發現時)까지의 잠복기간(潛伏其間)은 에서 일(日), 에서는 약 일(日), 에서는 일(日)이었다. 병반(病斑) 크기 증가율(增加率)은 온도 및 습도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1일당(日當) 평균(平均) 병반(病斑) 크기 증분(增分)은 상대습도 90% 이상인 경우, 와 에서 0.7mm, 에서 1mm, 에서는 0.8mm 였고,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를 제외한 온도 조건에서 90% 이상에서의 증분(增分)의 밖에 되지 않았다.
        4,000원
        3.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열병병반형성(稻熱病病斑形成)에 미치는 침입률(侵入率)과 균사신전도(菌絲伸展度)의 효과(效果)를 알기 위(爲)하여 23/15C(주/야(晝/夜)), 29/21C 및 온실조건(溫室條件)()에서 처리(處理)한 Aichi-asahi, Toyotama, Yamabiko에 6개의 도열병균(稻熱病菌) 균주(菌株)를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후(接種後) 72,96시간(時間)째의 침입률(侵入率)은 어느 온도조건(溫度條件)에서도 병반형성(病斑形成)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또한 균사신전도(菌絲伸展度) 11이상(以上)을 나타내는 부착기수(付着器數)도 병반수(病斑數)와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나 균사신전도(菌絲伸展度) 30이상(以上)을 나타내는 부착기수(付着器數)는 29/21C조건(條件)의 접종후(接種後) 72시간(時間)째에만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이들 상관관계(相關關係)의 통계적(統計的)인 적중도(的中度)는 29/21C나 온실(溫室)보다는 23/15C에서 더 높았으며 이런 현상(現象)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인 Aichi-asahi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4,000원
        4.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4,000원
        5.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도열병균의 엽초내균사신전도와 잎표피세포내의 침입율과는 기주가 접종전 같은 온도조건하에서 자랐을 경우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또한 이들 두 요인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000원
        6.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포장에 있어서의 도열병발생상은 잎도열병의 발생량이 경한데 비해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은 결발형이었고 일본형품종의 그것은 역시 경하였다. 시비수준간의 도열병 발생량의 차이는 통일계품조의 경우 잎도열병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이삭도열병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지엽(n-1)이나 그 아래에 있는 n-2엽, n-3엽 등에서 강우수나 엽상의 노적수에서 만들어지 포자현탁액이 엽신에서 엽초의 봉합부를 거쳐 엽초내에 침투하고 수에 접착한 다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연환경하에서나 인공환경아래에서도 엽초내에 포자현탁액을 주입하면 수의 각부분이 감염되었으며 자연환경아래에서 생육중인 수도의 수잉기엽초내에는 도열병균과 그밖에 여러가지 진균의 포자가 검출되어 수잉기엽초내에서의 수열병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실험포장에서의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의 발병은 내외이며 이 중에 수잉기 감염이 출수후 감염보다 훨씬 많으며 0.5N 시비구에서는 배, 1.0구에서는 배, 1.5N 구에서는 배 가량이 많았다. 한편 일본형수도품종에 있어서는 이삭도열병의 감염율은 에 지나지 않았다.
        4,000원
        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수집 잡초성벼에 존재하는 잎도열병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탐색하고, 이 저항성유전자와 연관된 분자마커를 탐색하는 것이다. 도열병에 감수성인 자포니카 품종인 낙동벼와 도열병에 강한 잡초성벼인 강화앵미11을 교잡하여 120개 RILs를 육성하여, 도열병 균주반응과 잎도열병 밭못자리검정을 통한 저항성 유전자 탐색에 이용하였다. 1. 총 45개 도열병 균주를 이용하여 양친들을 검정한 결과, 잡초성벼 강화앵미11은 25개 균주에 대하여 저항성 반응
        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blast resistanc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its in rice breeding and the disease, caused by Magnaporthe grisea Barr, has brought significant crop losses annually. Moreover, breakdown of resistance normally occurs in two to five years after cultivar release, thus a more durable resistance is needed for better control of this disease. We developed a new variety, Keumo3, which showed strong resistance to leaf blast. It was tested in 2003 to 2007 at fourteen blast nursery sites covering entire rice-growing regions of South Korea. It showed resistance reactions in 12 regions and moderate in 2 regions without showing susceptible reactions. Durability test by sequential planting method indicated that this variety had better resistance. Results showed that Keumo3 was incompatible against 19 blast isolates with the exception of KI101 by artificial inoculation. To understand the genetic control of blast resistance in rice cultivar Keumo3 and facilitate its utilizatio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consisting of 290 F5 lines derived from Akidagomachi/Keumo3 were analyzed and genotyped with Pizt InDel marker zt56591. The recombination value between the marker allele of zt56591 and bioassay data of blast nursery test was 1.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S can be applied in selecting breeding populations for blast resistance using zt56591 as DNA marker.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the G x E interaction of rice blast reaction for Japonica high quality rice varieties and to observe blast pattern for high quality varieties. Twenty one percent of the total sum of squares (SST) in blast reaction data of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is attributed to genotype (G) by environment (E) interaction variation. This portion of blast response is higher than 8~12% of G x E effect in blast severity data obtained from various ecotypes of rice varieties. Blast response scores obtained from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group were more severely affected by environment condition than mixed groups with Japonica and Indica varieties. Interac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PCA) scores obtained from AMMI analysis for the leaf blast response implied variation of G x E interaction.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IPCA1 was associated with latitude, maximum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mean cloud amount. IPCA2 was associated with mean relative humidity, and IPCA3 was associated with precipitation and minimum relative humidity. Pattern analysis generated nine genotype clusters according to blast reaction over 11 regions. Collectively, the A, B, C, and D groups were susceptible to rice blast, where as the E, F, G, H, and I groups were relatively resistant to rice blast through multi-location blast nursery tes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genes of high quality varieties and blast scores at each test site in the level of group c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from G x E Interaction analysis.
        1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lite rice cultivar, Suweon365, shows high level of leaf blast resistance. The number and chromosomal locations of genes conferring the resistance were detected by linkage analysis using DNA markers in the RILs from the cross between Suweon365 and Chu
        1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last severity data of 39 rice varieties at 11 sites in Korea from 1997 to 1999 were analyzed using AMMI model and pattern analysis. Genotype x Environment (G~times E) interaction sum of squares (SS) accounted for 12 % of the total SS. Eight genotype groups and seven location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blast reaction pattern. The data obtained from over 21 sites with 44 test varieties from 1981 to 1996 were also considere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1997-1999 data using the G~times E analysis results. Majority of the variability in the Korean Rice Blast Nursery (KRBN) were attributable to variations due to genotypes. Variations of G~times E interaction were maintained though test sites were reduced from 21 to 11 sites. Broadly compatible biological discriminative varieties identified were Nagdongbyeo and Akibare while broadly incompatible biological discriminative varieties identified were Hangangchalbyeo and Seogwangbyeo. Key sites for future evaluation work could be selected from location groups. Each location group should be represented by the site with the strongest interaction pattern. Blast responses in Cheolwon, Gyehwa, Suwon, Iksan, and Icheon showed different patterns from other locations.
        12.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광벼/밀양5004, HR 1619-6-2-1-2-2 /밀양5004 및 55061/IR 19735-5-2-3-2-1등 3개 조합의 F1 잡종과 이들 양친품종들의 혼묘를 각각 도열병 race IA-61, IB-47, IC-13 및 IH-1 등의 단독 race와 IC-13과 IA-61, IC-13과 IB-47 및 IC-13과 IH-1 등 2 race씩의 혼합 inoculum으로 접종시켜 이들의 잎도열병 발병반을을 검토하였다. 3개 조합의 양친품종들은 단독 race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여 각각 서로 다른 저항성 유전자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서로 다른 정항성 유진자를 가진 양친품종들은 반응이 다른 2 race 씩의 혼합 inoculum에 대해서 모두 이병성이었으나 이들간의 F1 잡종은 모두 저항성이었다. 저항성 유전자가 서로 다른 양친품종간의 F1 잡종은 저항성 유전자의 집적효과로 인해 양친보다 광범한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