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bamboo stands(Phyllostachys pubescens(Mazel) Ohwi, P. bambusoides Sieb. et Zucc, P.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were selected to determine suitable biomass equations and productivity of Gajwa and Wola National Experimental Forests, Jinju, Southern Korea.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r the combination of DBH and height(H) were used to develop biomass equations(Allometric model : logY = a + blog DBH; Linear-quadratic model : Y=aDBH + bDBH2; Linear model with DBH and height : Y=a + bDBH2·H) for each bamboo component from two age-sequence(current-year, > 1-year-old) of three bamboo stands. Based on statistical indicators, the most suitable equation model to estimate biomass from bamboo stands was a linear-quadratic model. Aboveground biomass of three bamboo stands estimated by the model was 48.864 Mg ha-1 for the P. pubescens, followed by 36.632 Mg ha-1 for the P. bambusoides, and 36.504 Mg ha-1 for the P. nigra var. henonis stands, respectively. The highest biomass in the P. pubescens stand was attributed to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Belowground biomass was also highest for P. pubescens(53.35 Mg ha-1), followed by the P. bambusoides(36.73 Mg ha-1) and the P. nigra var. henonis(29.75 Mg ha-1) sta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among bamboo speci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bamboo biomass productivity at a local level.
        4,3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부지역 맹종죽 및 솜대림의 죽령에 따른 현존량 추정 및 비교를 위해 당년생과 2년생 이상의 죽림을 대상으로 10m × 10m 크기의 조사구 3개를 각각 설치하여 경급에 따라 선발하고 벌채하였다. 부위별 건중량은 맹종죽과 솜대 모두 줄기>가지>잎, 죽령별로 2년생 이상>당년생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중량비는 맹종죽 2년생 이상 0.62, 당년생 0.55, 솜대 2년생 이상 0.60, 당년생 0.57로 나타났다. 줄기 건중량비를 이용한 절단 위치 선정 군집분석 결과 두 죽종 모두 수고의 75% 위치에서 상단부와 하단부 두 집단으로 구분 후 절단하여 분석하면 현존량 조사가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추정식 W=aD+bD2을 이용하여 추정된 지상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2년생 이상 106.4ton/ha, 1년생 5.5ton/ha, 전체연령 113.3ton/ha, 솜대 2년생 이상 109.2ton/ha, 1년생 6.4ton/ha, 전체연령 106.0ton/ha로 나타났다. 지하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지하경이 32.85ton/ha, 원뿌리 10.56ton/ha로 지하경>원뿌리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5.8%였다. 솜대는 지하경 16.89ton/ha, 원뿌리 21.06ton/ha로 원뿌리>지하경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8.3%로 나타났다.
        4,000원
        4.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분함량이 높아 상온에서 쉽게 변질되는 죽순은 유익한 효능 때문에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소비되고 있으나 식품산업에서 가공식품으로의 활용은 대단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맹종죽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죽순 장아찌를 검토하였다. 장아찌 제조를 위한 죽순의 전처리 조건과 고추장과 간장을 절임원으로 사용한 장아찌의 숙성과정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죽순 장아찌의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제안하였다. 죽순의 전처리는 죽순을 100oC 열수로 30분간 처리하여 연화시킨 후 10% NaCl 용액에 1시간 침지시켜 아린 맛 성분을 제거하고 50oC로 8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장아찌 제조에 적합하였다. 전처리 된 죽순을 간장과 고추장을 이용하여 장아찌를 제조한 후 25oC에서 숙성시키며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성과정에서 간장장아찌외 고추장장아찌의 pH는 큰 변화 없이 pH 4.0~5.5 범위에서 유지되었으며, 고추장장아찌는 염도가 다소 증가하였다. 두 장아찌의 색은 숙성되면서 명도와 황색도가 낮아졌으며 고추장장아찌는 적색도가 증가하였다. 두 장아찌의 관능적인 특성 중 색, 맛, 아삭한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향상되었으며, 관능적으로 숙성기간은 6일이 적합하였다.
        4,000원
        7.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나무수액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나무수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ROS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대식세포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대나무수액 농토가 높을수록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자극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