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2.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54일 동안 관수량과 오이(‘아시아 은천 F1’)의 생 육, 줄기 수액 흐름, 광합성 특성, 수분 이용 효율에 대한 상대 습도(RH)와 광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오이는 토양 화분에 서 재배되었으며, 토양 수분 장력계로 자동 제어(-10kPa) 하 여 EC 1.5dS m-1의 양액을 1회 주당(per plant) 265mL 공급하 였다. 처리는 세 조건으로 광도 200μmol·m-2·s-1에 가습 처리 구(HL)와 무가습의 대조구(Control), 광도 350μmol·m-2·s-1 에 가습 처리구(HH)로 설정하였다. 주간(weekly) 평균 RH는 가습 처리구에서 79.5%(VPD 2.4kPa), 무가습 처리구에서 65.5%(VPD 4.0kPa)이었고, 평균 온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25℃이었다. 총관수 횟수는 대조구에서 29회, HL처리구에 서 26회, HH처리구에서 27회이었다. HH처리구에서 초장과 마디 수, 엽 생육, 줄기 직경에서 생장이 컸으며, HH처리구에 서 광합성률이 더 높았고, 대조구에서 증산률이 더 높았다. 주 간 엽온은 HH처리구에서 28℃, HL처리구에서 26℃, 대조구 가 23℃였으며, 엽기온차는 HH처리구에서 2℃, HL처리구 에서 0℃, 대조구에서 -3℃ 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줄기 수액흐름(SFRR)은 광의 유무와 토양수분장력에 영향을 받 아 광주기 시작 전 10%(HH, Control)-30%(HL)에서 광주 기 시작 이후 60%(HH)-90%(Control)로 상승하였고, 관수 후 SFRR은 20-30% 상승폭을 나타냈다. 광 조사 동안 평균 SFRR은 대조구에서 88.5%로 가습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 었다. 이상의 결과 오이 토양 포트재배에서 토양수분장력 -10kPa 관수제어시 처리구의 토양 수분장력은 차이가 없음 에도 불구하고 적정 VPD가 유지되면 오이의 생육과 암꽃발 생률이 높았고 광주기 동안 엽기온차, 관수영향은 SFRR에 영 향을 주었다.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vements have historically been used for mobility, but their usage in cities is steadily increasing owing to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Urban development is rapidly accelerating, primarily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urban population.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he urban heat island are intensifying owing to global warming. One of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phenomenon is the increase in impermeable layers, such as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s, in city centers.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the effects of urban heat islands. This study developed a moisture-retaining asphalt that absorbs moisture by incorporating a highly super-absorbent polymer (SAP) into a porous asphalt mixture, with the aim of alleviating the urban-heat-island effect. The porous asphalt mixture was designed accordingly. When the mixing design was completed, tests for the tensile strength ratio (TSR), asphalt wheel tracking, and indoor water permeability were conducted on the porous asphalt. Moreover, Hamburg wheel tracking and dynamic water acupuncture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SAP moisture-retaining asphal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tent of SAP, we confirmed that the TSR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decreased as the amount of SAP increas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durability. In addition, thermal characteristics and simulations showed that the SAP asphalt mixture would have a heat island reduction effect. In this paper, guidelines for the blending design of SAP moisture-retaining asphalt are presented with the aim of alleviat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y ensuring durability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surface temperatures.
        4,000원
        5.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토양 오이재배에서 토양수분장력계를 이용하여 관수 제어하였을 때 오이의 광합성 형광반응, 수액 흐름, 엽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이(Cucumis sativus L.)‘청춘’(해오름 종묘)을 공시하여 관수개시점 10-10-20kPa 또는 20-10-10kPa의 2처리하였다. 766 ~ 854 W·m -2 의 고광, 32°C 이상의 고온인 처리 66일 째 광합성형광반응변수(Fo, Fm, Fv/Fm)값은 처리 간 차이가 컸다. 66일 째 낮 시간 (오전 10시 반 ~ 오후 6시)의 Fo와 Fv/Fm값은 10-10-20kPa 처리보다 20-10-10kPa 처리에서 높았다. 엽온이 높았을 때 Fv/Fm값은 감소하였다. 28일과 66일째 엽생육(엽장, 엽폭, 엽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엽록소 함량(SPAD 값)은 20-10- 10kPa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광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줄기수액흐름상대율(SFRR)과 엽온은 상승하였다. 두 처리구 모두 SFRR은 광도 170 W·m -2 이상인 오전 8시 ~ 9시 간대에 급격한 증가가 시작되었다. 관수 후의 처리구 토양 온도는 감소하였으나, 7월 5일(광도 820W·m -2 , 오후 1시) 토양 온도가 10-10-20kPa에서는 31.0°C, 20-10-10kPa에서는 28.5°C였다. 그러나 처리 간 SFRR, 엽온, 기온차, VPD는 차이가 없었다. SFRR과 엽온 간에는 정의 상관성(p < 0.01, r = 0.770)을 보였으며, SFRR과 엽온은 광, 온도, 토양 온도, 토양 수분함량, VPD 간에는 정의 상관을 상대습도와 기온차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000원
        6.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로쇠나무에 대해 천연림과 인공림에서의 생육환경과 생장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인공조림 시 식재밀도에 관련하는 생장인자의 선정과 산림경영을 통해 수액을 생산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연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임분 유형별 토양특성은 천연림에서 인공림에 비해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연림과 인공림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흉고직경과 수관폭, 수관면적을 이용하 여 선형회귀식을 산출하였다. 흉고직경과 수관폭은 천연림에서 y = 0.1708x + 2.972(R2=0.5996), 인공림에서 y = 0.2275x + 2.5195(R2 = 0.4024) 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과 수관면적은 천연림에서 y = 1.1504x - 1.665(R2 = 0.6406), 인공림에서 y = 1.0084x + 1.123(R2 = 0.4589)로 나타났다. 임분 유형별로 연평균생장량은 천연림에서 2.4mm, 인공림에서 3.8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인공림에서 약 1.6배 더 높게 나타났다(p < 0.0001). 임분별 초기 5년과 10년 동안의 연륜생장량 또한 인공림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천연림과 인공림에서 연륜 증가에 따른 흉고직경 생장을 조사해 본 결과 흉고직경 10㎝ 크기로 도달되는 연수는 천연림은 22년, 인공림에서는 13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로쇠나무의 자원조성 및 대체갱신 조림 시 식재 후 생장 예측과 산림경영을 위한 수익성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is a major disease that affects tomato plants widely. R. solanacearum is a soil born pathogen which limits the disease control measures. Therefore, breeding of resistant tomato variety to this disease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usceptible variety, degree of disease resistance has to be determined. In this study, micro sap flow sensor is used for accurate prediction of resistant degree. The sensor is designed to measure sap flow and water use in stems of plants. Using this sensor,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wilt disease can be identified two to three days prior to the onsite of symptoms after innoculation of R. solanacearum. Thus, this find of diagnosis approach can be utiliz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4,000원
        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리적이고 투명한 인사관리의 실현, 직무전문가 양성, 표준화된 인사제도 구축 등의 필요성에 따라 직무중심 인사관리에 대한 실무 및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직무중심 인사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필요성과 방향성 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직무중 심 인사관리의 도입과 운영에 대한 방법, 과정 그리고 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사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SAP의 사례를 중심으로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체계와 성과를 탐색하였다. SAP는 전 세계에 분포된 인력을 관리할 수 있는 직무기반의 표준화된 인사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적 상황과 문화 속에서도 직무중심 인사관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기업에게 주 는 시사점이 클 것이라 판단하여 SAP를 사례 분석 대상 기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였다. 첫째, SAP의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체계를 분석하 였다. SAP의 직무중심 인사관리 체계는 SAP의 HR 가이드라인, SAP의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표준화·공 식화된 직무체계인 GJA(Global Job Architecture) 그리고 HR 가이드라인과 GJA를 토대로 설계된 직무 중심 인사 제도(채용, 승급과 승진, 평가, 보상, 개발)를 통해 제시하였다. 둘째. SAP의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성과를 운영 효율성, 글로벌 인재관리, 전략적 성과의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SAP의 직무중심 인사관리에 대한 세부 내용을 토대로 국내 기업의 인사관리에 있어 보완해야 할 점 및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200원
        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is one of major hemipteran pests against the soybean, Glycine max in Korea. In previou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water-taking in the first instar nymphal stage of R. pedestris is certainly necessary for successful ecdysis and their survival. To investigate water-taking behavior of the first instar nymphs of R. pedestris on plant, electrical penetration graphic patterns were analysed while R. pedestris fed on the napa cabbage leaf,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by using EPG system. In the result, a X-waveform was dominantly observed for average 42.0 min out of total recording time (120 min).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0.457, P = 0.000452, n = 55) between body weight increase and cumulative durations of X-waveform. In additio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cross-sections indicated that stylet tip in the plant tissue during X-waveform period is located nearby xylem cells, suggesting that X-waveform is closely related to xylem sap feeding behavior of R. pedestris in plant.
        1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itidulidae includes 10 subfamilies and over 350 genera and 4500 species and is the largest family in Cucujoidea. We place the enigmatic subfamily Calonecrinae into the internal relationship of Nitidulidae,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ive gene regions (COI, 28s, CAD, H3, Wingless) for 80 taxa. We included 73 ingroup taxa representing nine of the ten currently recognized subfamilies of Nitidulidae and 7 outgroups. The phylogenetic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molecular studies, that include a polyphyletic Nitidulinae with the inclusion of Meligethinae and Cillaeinae and that the Calonecrinae is sister taxon to Epuraeinae.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of feeding behavior indicates that stem group nitiduilds were most probably sap-feeding with transitions to other feeding types independently derived multiple times.
        1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수액에서 lactobacillus brevis CFM20에 의한 γ-aminobutyricacid(GABA)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액은 0.22㎛의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유산균으로 발효시켰다. 분리 된 L. brevis CFM20은 MRS 배지에서 pH 6.5, 37℃의 최적 조건에서 GABA를 276.42㎍/mL의 농도로 생산하였다. 0.8%(w/v) MSG를 함유 한 MRS 배지에서 배양된 L. brevis CFM20은1011.86㎍/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GABA 생산을 보였다. 0.8%(w/v) MSG와 5%(w/v) 동결건조 시킨 미강추출물을 수액에 첨가하여 얻은 GABA 량은 835.409㎍/mL였다. 결론적으로 5%(w/v) 동결건조된 미강추출물을 수액에 첨가하면 GABA 함량이 증가 된 발효 수액 음료를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4,300원
        1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러스 입자를 감지하는 역전사 핵산 연쇄 증폭법 (VC/RT-PCR)은 감염된 식물종들로부터 핵산 추출 없이 식물바이러스들을 검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VC/RT-PCR 분석법을이용하여 고추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새로운 즙액 추출 완충액들이 제작하였다.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 (Pepper mild mottle virus;PMMoV) 및 고추모틀바이러스 (Pepper mottle virus;PepMoV) 진단을 위한 가장 최적화된 추출 완충액은 0.5%sodium sulfate를 포함하는 1.0M Tris (pH 8.0) buffer 였다.고추 바이러스들은 담배 즙액 추출 후 7일까지 검출이 되었으며, 마쇄 직후와 검출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3가지 고추 바이러스들은 고추 즙액 추출 후 2일까지만 바이러스들이 검출되었으며, 검출 감도는 크게 감소하였다.국내 고추 재배 농가들에서 수집한 고추 시료들에서 TSWV,PMMoV, PepMoV의 단독 감염 및 PMMoV와 PepMoV의중복 감염을 선발된 최적 즙액 완충액과 VC/RT-PCR의 조합을 이용하여 동시 진단이 가능하였다.
        4,000원
        1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volution of multicellular organisms. Especially in insects, a large amount of bacterial symbionts are illustrated. Among the insect taxonomic group, sap feeding insects, mostly Heteroptera, that feeds on poor nutrient sources from plants, have developed special organs where symbiotic bacteria can reside. The bacteria mainly provide the host insects with some essential amino acids. This has built evolutionarily unbreakable tie between the symbionts and the their hosts. Here we present an obligate symbiont from Lycorma delicatula (Heteroptera: Fulgoridae) being thought to invade the Korean penninsula recently. Based on the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 the symbiotic bacterium is identified as Cadidatus Sulcia mullleri. The Genbank data indicates that the bacterium is found in various heteropteran families. This may imply the acquisition of the bacterium precedes the hosts' divergence, though there is an alternative postulation. We discuss its distribution in the sap-feeding insects and potential role on survival of L. delicatula and paratransgenetic application of the bacterium in controlling L. delicatula.
        1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수액을 대상으로 수액정제시스템을 활용하여 정제수액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 수종의 고로쇠나무 수액 원액에는 Bacillus속 세균 1종과 효모 3-4종, 곰팡이 2종이 검출되었다. 수액의 pH는 수액원액이 6.5, 정제수액이 6.3-6.4, 당도는 원액이 1.67 -3.05, 정제수액이 1.64-3.02로 약간 줄어들었다. 당 성분은 모든 수액에서 sucrose만 검출되었다. 수액 속의 미네랄 성분도 원액에 비해 정제수액에 비해 조금 줄어들었다. 이들 결과는 고로쇠나무류 수액을 정제하면 장기간의 보관과 함께 음용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1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로에 베라 원액 첨가량을 달리하여(0, 3, 6, 9, 12%) 제조한 알로에 설기떡을 4일간 저장하면서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분함량은 제조 직후 대조군이 33.79%였고, 알로에 원액 12% 첨가군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저장기간별로는 대조군과 첨가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물성측정에서는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부착성, 씸힘성은 알로에 원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L값은 설기떡에 첨가한 알로에 원액의 양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의 경우 제조 직후 대조군은 -0.56이었으나, 알로에 원액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고, b값은 알로에 원액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색, 향, 맛, 부드러움, 촉촉함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모두 9%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을. 따라서 설기떡에 알로에 원액을 사용함으로써 떡의 품질특성이 향상되어 건강 기능성 상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1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결 건조된 죽력을 물 또는 50% ethanol에 각각 용해시킨 시료(1 mg eq./disc)에 대하여 항세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에 용해시킨 죽력은 gram 양성균의 경우 L. monocytogenes이 15 mm의 저해환으로 가장 활성이 강하였고 B. subtilis는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Gram 음성균의 경우는 S. dysenteriae가 저해환이 22 mm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50% ethanol에 용해시킨 죽력은 gram 양성균의 경우 L. monocytodenes, 가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으나 B. subtilis는 활성이 전혀 없던 물에 용해시킨 경우에 비하여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Gram 음성균의 경우, S. dysenteriae가 23 mm저해 환으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고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E. coli O157:H7는 16 mm로 상대적으로 약한 활성을 보였다. 젖산균 2종의 경우는 물 또는 50% ethanol에 용해시킨 경우 모두 전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최소저해농도는 L. monocytogenes는 50% ethanol에 녹인 경우 MIC가 0.6 mg/disc로 가장 낮았고 물에 용해시킨 죽력의 경우 S. epidermides, S. dysenteriae, L. monocytogenes, Sal. typhimurium, V. parahaemolyticus가 각각 0.8 mg/disc의 MIC값을 나타내 50% ethanol에 용해시킨 경우에 비하여 MIC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세균들은 1.0 mg/disc의 거의 유사한 MIC값을 보였다. Model food system에서의 저해활성은 물에 용해시킨 죽력 보다 50%, ethanol에 용해시킨 죽력이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을 강하게 저해하였고 MIC가 낮은 이들 4가지 공시균주들이 모두 model food system상에서 상당히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 50% ethanol에 용해시킨 죽력은 적절한 농도에서 부패세균들의 생육 억제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1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aily application rate and amount of N and K with fertigation during different growth stages in semi-forcing culture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cv. Eunseongbaekdadagi). The diagnostic criteria for N and K also investigated based on petiole sap analysis. The dry weight increased slowly until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ighest dry weights were observed at 60 days after planting, then it decreased. As the plant grew, the contents of N and K in the petiole sap and fruit of cucumber decreased. The daily uptake of N and K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growing days. The NO3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e from 3,500 to 4,500 mgㆍL-1 in the early growth stage, but those were in the range from 2,000 to 3,000 mgㆍL-1 after then. However, K concentration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 from 5,000 to 7,000 mgㆍL-1 The fluctuation in petiole sap concentration of K was severe in the monthly fertigation and moderate in the daily fertigation. The fertigation by petiole sap diagnosis forced EC of soil to be low and yiel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4,000원
        19.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수지 경류센서에 의한 멜론의 흡수량 측정오차는 최저 0.3%에서 최대 31.8% 범위 내에 있었으며, 일사량 20MJ.m-2 .d-1에서는 오차가 적었으나 일사량이 이보다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센서측정 경류량이 실측양액 소비량보다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일사량이 적어질수록 센서측정 경류량이 실측양액 소비량보다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센서간의 오차는 최저 0.1%에서 최대 13.0%의 오차율을 보였다. 열수지센서측정 경류량은 일사량이나 온도와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 보정계수를 산출하면 보다 정확한 멜론의 경류량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0.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실멜론의 양액재배에서 영양진단에 기초한 배양액관리를 하기 위해 유효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한 즙액분석 방법(질산태질소의 정량방법, 인산정량방법, 즙액추출법, 추출비율, 마쇄시간 및 샘플채취 부위 등)들에 관한 비교검토를 하였다. 'Earl's Favorite 춘계를 1993년 1월 11일에 파종하여 본엽 3∼4매의 묘를 정식하여 비순환 방식으로 재배했다. 즙액분석법은 결핍이나 과잉증상이 외관적으로 나타나기 전에 신속하고 간이한 즙액분석법에 의해 물체의 영양상태를 진단하여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즙액분석시 질산태질소의 분석에는 자외부 흡광도법, 인산분석에는 바나드몰리브덴산법이 추천되었고, 추출비율은 1:4로, 엽병의 마쇄시간은 60초, 그리고 채취부위는 일정부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샘플채취시간에 대해서는 채취시간에 따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앞으로 보다 상세한 검토가 요청되었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