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청군 신안면 선유동계곡과 그 일대에 형성된 유상곡수의 입지, 공간성과 바위글씨, 향유자, 유상곡수처의 경관 특성을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밝힌 것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시문분석과 바위글씨 분석을 통해 볼 때 선유동 유상곡수는 덕계 오건(1521~1574)을 시작으로 병은 도경효(1556~1622), 명암 정식(1683~1746), 단성현감 번암 채제공 (1720~1799)과 치옹 이휘부(1809~1869), 만성 박치복(1824~1894)과 단계 김인섭 (1827~1903) 그리고 후산 이도복(1862~1938) 등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저명한 문사들의 유 상곡수 향유 문화가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선유동 유상곡수 일대의 바위글씨는 경명제각(景名題刻)인 ‘선유동’과 ‘옥류동’ , 제사제각(題詞題刻)인 ‘유상곡수’ , 제기제각(題記題 刻)인 ‘덕계오선생장구소(德溪吳先生杖屨所)’, 제시제각(題詩題刻)인 ‘병은(病隱) 도경효(都敬 孝)의 한시’와‘죽송 도범균(竹松 都範均)’,‘권상식(權相直)과 권상정(權相政)’그리고 ‘도병우(都 炳瑀)’의 인명제각(人名題刻) 등 5개 유형의 총 9방으로 분류되었다. 선유동 유상곡수 주변에는 ‘玉流洞’과 ‘仙遊洞’이란 바위글씨가 혼재되어 있으나 「수월정구곡(水月亭九曲)」의 제9곡이 ‘옥류동’임을 근거로 볼 때, 선유동이란 지명이 이곳 유상곡수 일대의 경관정체성에 보다 부합된다 고 판단된다. 수월정구곡은 총 연장거리는 3.9㎞로 본류인 경호강과 접하는 합류점의 웅덩이를 제1곡 감개담(鑑開潭)을 기곡(起曲)으로 제7곡 와룡폭(臥龍瀑)까지를 안봉천에 설정되었으며, 제8곡 모운벽(暮雲壁)과 종곡(終曲)인 제9곡인 옥류동(玉流洞)은 본 연구의 핵심구역인 선유동 계곡에 설정됨으로서 선유동은 구곡문화와 유상곡수문화의 합일처로서의 경관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인근 단성면에서도 직산대 유상곡수 유적이 존재하고 산청의 옛 지명이 중국 절강성 소흥현 ‘산음(山陰)’과 동일하며 산청의 주산인 회계산 또한 소흥의 옛 이름인 ‘회계(會稽)’와 동일 함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산청 관아의 핵심 누정의 당호(堂號) 환아정 또한 중국 왕희 지의 고사에서 연유하였음은 산청지역에 깊이 스며든 왕희지의 난정 유상곡수의 경관적 동질성과 문화적 풍류 관성을 보여주는 흔적이 아닐 수 없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사회적 임무와 문화적 임무를 짊어진 종합예 술로 보고, 애니메이션에서의 사운드를 대사, 음악, 효과음, 침묵으로 나 눈다. 침묵은 특별한 소리 형태로 감독의 의도를 담고 있으며, 애니메이 션 작품에서 사상성과 견해를 전달하는 사운드 처리 방식 중 하나다. 이 연구는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 나타난 11번의 침묵 장면을 분석하고, 침묵 부분과 다양한 영상의 조합이 만드는 지향적 활동을 분석하여 현상학 창 시자 에드문트 후설의 지향성 이론을 적용하여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침묵 장면을 통해 캐릭터의 정신 활동과 내면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과 감독이 구축한 태도와 입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연구는 나타 난 일정한 규칙을 요약하고 정리하여 감독이 작품의 침묵 장면에서 지향 적 내포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침묵 장면이 시청각 체험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시청각 작품에서의 사운드 처리에 서 침묵을 대담하게 사용하고, 더 많은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 이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VIs) to human influencer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the uncanny valle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using an online experiment. Specifically, we posited that highly humanlike VIs may evoke the feeling of the uncanny valley, as compared to human influencers or cartoonlike influencers, which, in turn, would act as a psychological barrier to building a parasocial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type of virtual influencer and decrease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do feel the uncanniness from both highly humanlike and cartoonish influencers as compared to human influencers. This particular psychological experience negatively influenced the parasocial relationship,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a social media advertisement featuring the VIs. However, importantly, this effect was moderat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anthropomorphism. This is one of the first studies that directl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influencers in a rigorously designed experimental setting and expands the previous research on Vis, uncanny valley, and parasocial relationship.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가상공간의 활성화에 따라 아바타와 같이 사람을 대신하는 대리인(agent)의 사용이 활성화되었으나, 인공물이 사람 과 유사해질수록 불편함을 느끼는 언캐니밸리(uncanny valley) 현상이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예인 에 기반을 둔 아바타에서 느껴지는 언캐니밸리 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예인 및 일반인의 사진과 그 사진을 기반 으로 제작된 아바타에서 눈 크기를 조절하여 비전형성 정도를 조작하였고, 이에 따른 언캐니밸리 현상의 강도를 측정하 였다. 그 결과, 사진과 아바타 모두에서 연예인 얼굴에 대한 언캐니밸리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친숙한 얼굴 에 대해서 더 강한 얼굴 표상이 형성되어 얼굴 변화에 대해 더 쉽게 탐지한다는 기존의 발견들과 일치한다. 한편 사진 자극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에서처럼 비전형성 정도가 높아질수록 더 높은 언캐니밸리 현상이 발견되었으나, 아바타 자극에 대해서는 비전형성 정도에 따른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만화의 등장인물에서 얼굴의 특징이 과장되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 때문에 아바타에서 허용할 수 있는 비전형성 정도가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 는 최근 연예인 아바타를 사용한 가상공간의 서비스에서 언캐니밸리 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의인화는 로봇과 같이, 인간이 아닌 대상에게 인간의 속성, 정서나 의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에 게 인간 고유의 속성을 부여하는 의인화가 로봇-인간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로봇의 사진을 제시하고, 로봇의 외관에 따른 심리적 불쾌감, 마음지각 및 도덕적 처우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의 외관이 인간과 가장 유사한 안드로이드 로봇조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조건과 기계적 외관의 조건보다 로봇에 대한 심리적 불쾌감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인간과 유사한 안드로이드 로봇에서 기계와 비슷 한 로봇보다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로봇의 속성을 의인화한 조건과 의인화하지 않은 조건에서 로봇에 대한 불쾌감, 마음지각과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로봇 속성의 의인화조건에서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과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마음지각의 경험성 이 높을수록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더 높아졌다. 이 결과는 인간과 유사한 로봇의 외관은 로봇에 대한 심리적 불쾌감 을 증가시키지만, 로봇의 속성에 대한 의인화는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을 증가시키고,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을 촉진 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논의에서는 의인화가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차별화된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토론 하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복원관리를 도모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원사업이 완료된 2017년도에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구 12개소와 대조구 4개소를 설치하였고, 2017년과 2020년의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었던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1.4552로 나타났고, 대조구와의 유사도지수에서는 1개 조사구가 1.32%로 분석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0%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가 매우 낮은 것은 복원사업 시 식재된 수목이 고사하거나 멧돼지 피해,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유실되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미식재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9538∼2.3222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는 최대 8.33%까지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복원 공법 개발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과, 미식재 조사구의 천이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하계곡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생태․경관보전 지역의 관리와 생태탐방로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속 식물상은 95과 258속 366종 9아종 28변종 4품종 1잡종 1재배 품종의 409분류 군이며, 식재종은 주목, 자작나무 등 7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꽃창포, 노랑무늬붓꽃 4분류군, 한국 특산식물은 키버들, 노랑갈퀴, 지리대사초 등 8분류 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37분류 군으로, Ⅳ등급은 3분류 군, Ⅲ등급은 10분류 군, Ⅱ등급은 8분류 군, Ⅰ등급은 16분류 군이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은 피나물, 산새콩, 애기며느리밥풀 등 11분류 군으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달맞이꽃, 큰김의털 등 21분류 군이며, 생태계 교란식물은 돼지풀 1분류 군이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설치된 사방댐을 대상으로 장마 전·후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사방댐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불투과형 사방댐(전석), 투과형 사방댐(버트리스), 대조지역을 선정하여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 2지점, 하류 2지점을 조사하 였다. 유속은 불투과형, 투과형, 대조지역의 지점에서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불투과형은 St. 3에서 장마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과형과 대조지역의 개체수 감소율은 전석에 비해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 결과, 장마 이전에는 불투과형 및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38.4%로 구분되었으나, 장마 이후에는 투과형과 대조지역이 불투과형과 51.3%로 구분되었다. PCA 분석 결과, Axis 1을 기준으로 불투과형은 장마 전․후로 양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투과형과 대조지역은 장마 전․후 음의 값을 나타내어 불투과형 보다는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EPT 그룹은 불투과형에서 하루살이목, 투과형과 대조지역에서 날도래목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사방댐 설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불투과형 보다는 상대적으로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장마 이후 군집 차이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