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장 여성이 느끼는 성인 자녀 부양 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과 스트레스의 매개역할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성가족부에 서 실시한 2020 여성가족패널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취업 상태인 여성 1,839명을 대상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는 SPSS 및 Amos 25.0을 사 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 여성이 느끼는 성인 자녀 부양 부담이 클수록 삶의 질이 낮아짐을 분석했다. 둘째, 직장 여성이 느끼는 성인 자녀 부양 부담이 클수록 스트레스가 높아짐을 분석했다. 셋째, 스 트레스는 직장 여성이 느끼는 성인 자녀 부양 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 장 여성의 성인 자녀 부양 부담, 스트레스, 삶의 질에 관한 실천적 함의 를 제공했다.
급속한 사회 변화로 인한 저출산 및 경력단절, 일-가정 갈등, 가족해체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기혼 직장여성은 소 외와 우울, 가족기능 약화, 삶의 질 악화로 강하게 표출되고 있 으며, 가족 건강성 회복을 통해 삶의 질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지적한 선행연구는 다수 발견할 수 있었으며, 가족 건 강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심리적 웰빙과의 관계를 밝히는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 연구는 가족 건강성이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미 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가족 건강성과 심리적 웰빙 증진 방안을 제시하여 가족 건강성 회복을 위한 다차원적 접근 방안 제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지역의 기혼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가족 건강성 하위 요인인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유대감, 가치 체계 공유,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될수록 심리적 웰빙 수준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건강성에 대한 하위 요인 의 다차원적 분석을 실시하였는 바, 의사소통, 유대감, 가치체 계 공유, 문제해결 능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기 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차원적 접근 의 필요성 제기 및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정도 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 바, 연령, 학력, 종교, 가정 수 입, 취업 동기, 직장 유형 등의 기혼 직장여성에 개인별 맞춤형 의 지역 내 네트워크 강화와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여 유 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확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의 본질적 의미와 체험한 바를 어떻게 지각하고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둔 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50~60세의 직업여성 6명을 대상으로 2024년 12월 4일부터 12월 29일까지 포커스 그룹 면담 및 개인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면 담 내용을 녹음한 것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본질적 주제 4개와 구성요소 10개, 의미 단위 38개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 4개는 “어제의 나”, “중년의 나”, “장년(지금)의 나”, “내일의 나”이다. 구성요소 10개는 “외골진 생각”, “반갑지 않은 생각”, “나이 듦에 관한 생각”, “소통에 관한 생각”, “이해하는 삶”, “변화하는 삶”, “즐기는 삶”, “주체적인 삶”, “성숙한 삶”, “조력자의 삶”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의 문턱에 있는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며 중년의 삶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중년에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며, 맞춤형 정책으로 중장년 이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r introducing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empha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argeti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was s sophisticated image. Preference for a sophisticate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hasis of brand image when selecting fashion products. Emphasis of brand image has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s direct and in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When selecting a fashion product (clothing and cosmetics), brand image import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brand’s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herefore, fashio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brand logo.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lothing and product containers used in advertising to show the brand. In addition, every company should create an advertising image that represents their overall brand, by using a combination of detaile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In this study we included 298 working women in Kangwon province to investigate the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related to constip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Roman II criteria as follows : normal, mild constipation and constipation groups. For the result, 48.4%, 42.7%, 27.2% and 28.6% of the subjects had constipation in the order of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Constipation group had low frequency of bowel movement per week and irregular visit to toilet compared to normal and mild constipation groups. There were higher percentage of people with reading habit while sitting on a toilet, in the constipation group compare to other groups. Constipation groups had difficulty having bowel movement when sleeping outside of their ho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consumption per day among the 3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eals consumed and the number of meals with snacks per day. For the food frequency, there was lower frequency of yogurt and vegetables consumption in the constipation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ow to eat fruit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in order to treat the constipation, it is recommended to take enough water and dietary fiber, and to have physical activities for the working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 of a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career women’s job satisfaction. As th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set 37 career women of 6 occupational clusters, such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nurses, social workers, care teachers, and police officers in ‘P’ city, and financiers in ‘D’city.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for about 10 months from June 2013 to April 2014, and for each job group the program was executed once a week and a total of 8 ses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by conducting horticultural activity by 6 occupational cluster, occupational clusters lik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ocial worker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job satisfaction immediately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was conducted, and in 4 weeks after that, all 5 occupational clusters but a care teacher cluster were found not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woul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to working women and consequently improve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this study confirmed that improvement in job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when a person steadily participates in gardening activity rather than doing gardening activity temporaril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gardening activity could be an alternative remedy which provides a positive change to a career woman’s job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lecting materials by exploring what types of cut flowers working women prefer when they make a floral arrangement. On the subjects of 19 working women (age 22.3±5.8, period of work 4.8±2.4) at S electronics company located in G city, this study conducted 10 sessions of a floral arrangement program once a week between April 21 and June 30, 2015. This study divided outward types of cut flowers into four items including line flower, form flower, mass flower, and filler flower, and provided materials for each session in the floral arrangement program.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working women’s preferred cut flower types in making a floral arrangement are as follows. As for investigating preferences for the types of cut flowers, the type (design) other than the color was found to be paid more attention to, and among them, the type of form flower was most preferred with 40.0%, the type of mass flower 31.0%, the type of filler flower 14.8%, the type of line flower 14.2% in that order. As for plant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type, firstly plants of the type of form flower found to be most preferred were Hydrangea macrophylla (21.1%) and Zantedeschia aethiopica (21.1%), mass flower Rosa hybrid ‘Spring’ (22.0%), filler flower Gomphrena globosa (32.1%), and line flower Typha orientalis (48.2%).
변화하는 다문화 환경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주체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과 일터에 관한 보다 세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어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력강사 3명을 대상으로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일, 학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를 통해 모국에서의 삶과 이주 후의 삶, 그리고 원어민 강사가 되기까지의 학습을 통한 성장과 변화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들에게 일과 학습은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삶의 기반이 되며 일터는 세상과 소통하는 만남의 장이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는 슛제의 인생진행의 과정 구조와 반 게넵의 통과의례의 따른 분리, 전이, 통합의 과정으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은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주위의 상황인 ‘진행 곡선’에 맞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추진해 나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인생과정은 모국으로부터의 분리단계, 이주 후의 불안정한 백지상태인 전이 단계를 거쳐 원어민 강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통합의 단계에 이르렀다. 통과 의례 제 단계들에서의 경험과 학습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역량 있고 좋은 사람, 자신감 있고 참을성 있는 사람, 길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원어민 강사로 성장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