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y matter pro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the growth stage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esculenta) cultivated for feed, which was treated with different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An early variety of barnyard millet (cv. Shirohie) was used for the test, and the different treatments with nitrogen fertilizer were as follows: 50% (N-40 kg/ha, T1), 100% (N-80 kg/ha, reference amount, T2), 150% (N-120 kg/ha, T3), 200% (N- 160 kg/ha, T4), 250% (N-200 kg/ha, T5), and 300% (N-240 kg/ha, T6). Sowing was done on May 13, 2021 and plants were harvested for four stage; vegetative stage, elongation stage, heading stage, and milk stage. The length of the mille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during the harvest period (p<0.05),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during the milk stage (p>0.05). Moreover, barnyard millet dry matter yiel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atter yield among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during the heading stage (p>0.05). Chlorophyll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5 (250%) at all harvesting times, whereas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at the vegetative stage, gradually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and lowest at the milk stage. Finally, as the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increased, the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ment groups (p<0.05).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appropriate nitrogen fertilizer levels is between 150%–200%, considering the dry matter yield, feed ingredients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barnyard millet for feed.
Barnyard millet is a short-lived tropical, short-term C4 plant and has superior vitality in humid conditions owing to its freshwater habitat. It shows strong adaptability to soils with poor drainage and low fertility, and efficiently competes with rice in paddy fields. Barnyard millet grain is used as feed in the Indian region and is a great source of dietary fiber, proteins, fats, vitamins, and some essential amino acids. Considering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its potential as a food resource and fodder crop, various countries are showing interest in cultivating barnyard millet. However, in Korea, farm households have not yet recognized the benefits of cultivating barnyard millet, and research regarding this is scarce. In this review, the features of forage barnyard millet and its related research trends are discussed, with the aim of improving interest in this crop and promoting its cultivation.
Barnyard millet (Echinochloa esculenta) can be processed through soiling, hay, and silage,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harvesting. However, research on barnyard millet is insufficient, and standards for cultivar, seeding density, and fertilizer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eding density and seeding methods on dry matter yields. For this, we used the early-maturing (Shirohie millet) variety of the barnyard millet.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different seeding density (10 kg/ha, 15 kg/ha, 20 kg/ha (standard seeding density), 25 kg/ha and 30 kg/ha), and different methods of seeding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The seeding date was May 13, 2021, and the harvest date was July 13, 2021. Harvesting was carried out when the heading reached 40 %. Lodging occurred at 5, 9 and 7 at 20, 25 and 30 kg/ha densities in the broadcast seeding, but not in the drill seeding. With decreasing density of seeding, tillage numb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p>0.05). The plant heights were comparable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p>0.05). The heading stage of barnyard millet was checked July 7 for drill seeding, and, on July 8 for broadcast seeding. It took 62 days, i.e., till July 13 for the heading to reach 40 % of the output. The dry matter yield of barnyard mille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eeding density of 30 kg/ha, for both the methods of seeding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ain, based on the seeding method and seeding density. However, as the seeding density increased, the CP, NDF, ADF, and TDN contents increased in both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We found that, the dry matter content was the highest at the seeding density of 30 kg/ha for both the methods of seeding, but this was only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10 kg/ha. Considering the seed price and labor force involved in seeding, it is advisable to have a seeding density of 15-20 kg/ha.
본 연구는 생태형을 달리한 사료용 피를 이용해서 파종 기를 5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회 파종하여 생육, 사료 수량 및 사료가치를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생종 피의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작 아졌고, 수장은 파종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다. 조생종 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 향을 나타냈다. 중부지방에서 조생종 피의 최대 건물수량 을 얻기 위해서는 5월 1일까지는 파종기를 빨리하는 것이 유리하며, 안전한 조사료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생종 피의 초장 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어지면 짧아지는 경향을 보 였고, 수장 역시 초장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만생종 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은 경우 감 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생종의 경우에 최대수량 을 얻기 위해서는 5월 21일경에 파종을 하고, 안정된 수량 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을 해야 한다. 조생 종 피는 빨리 파종할수록 조사료 수량이 높아지고,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에 파종할 때 가장 수량이 높아 두 생태형 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절대적 수량은 만생종 피가 어느 파종기에서나 조생종 피에 비해 수량이 높아 실제 재배적 측면에서는 만생종 피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 타났다. 조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증 가하는 경향이었으나, ADF 함량과 NDF 함량은 파종기의 차이에 따른 변화가 적었다. 만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ADF 함량과 NDF 함량 의 경우에는 조생종 피의 경우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TDN 수량은 조사료 건물수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조생 종 피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의 파종에서 가장 수량이 높아 적정 파종기로 판단되며, 두 생 태형 모두 6월 1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안정적 수량을 얻을 수 있다. 동계 조사료작물을 도입한 작부체계에서는 동계작물의 종류에 따라 연중 최대생산을 얻을 수 있는 하 계 사료피의 생태형과 파종기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따라 서 이러한 하계사료피+동계사료작물의 작부체계 구축에 파종기별 사료피의 수량성과 사료품질 특성은 유용한 정보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spp.) content (10~30%) on wheat flour dough and noodl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amount of barnyard millet increased, the particle size and ash content of mixed flour increased, while lightness tended to decrease. The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millet flour showed higher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setback compared with wheat flour.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olume, as well as between protein content and water absorption. As the amount of barnyard millet increased,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wet noodles tended to decrease.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composite flours (addition up to 20% barnyard millet) were rated with a quality score f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hich was comparable with the control flour.
The edible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which have essentially vanished in the farmhouses environment and in agricultural germplasm were evaluated with the aim of restoration as a crop.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mineral elements of milled millet were nutritionally similar or better than brown rice, and the vitamin contents of B1 and B2 exceeded those of rice by 1.3 times and 2.3 times, respectively. β-Carotene which is absent from brown rice was detected at levels ranging from 15~31 ㎍ in millet samples. Nine essential amino acids, including histidine and arginine and eight non-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were detected. The sum of all amino acids was determined to be IEC518>525>510 in the range of 69~106 ㎎/g.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via their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vealed values ranging from 3.4~8.2%, with the total polyphenol component being 51.1~69.4 ㎎/g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bility determined as 8.3~10.9%. In terms of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barnyard millet, three millet varieties(IEC510, 518, and 525) were suitable as edible crops. IEC525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nutritional ingredient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yield.
하계청예작물인 수수-수단그라스 잡종 855F, 진주조 수원 6 호, 사료용 피 King millet 를 대상으로 제 2차 예취시기인 9월 17일부터 4일 간격으로 신생엽과 하부 잔존엽의 생장과 광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취일로부터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신생엽의 엽장, 엽폭, 엽면적, 경당 엽수, 엽건물중, 비엽중은 계속적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여 주었다. 피의 경우 이들과는 달리 하부잔존엽은 예취후 12일 이후로 모두 고사하여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예취후 20일이후 신생엽의 길이는 신장을 중단하였고 엽폭만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이상생육 형태를 나타냈다. 2. 예취후 일수 경과에 따른 광합성의 속도 변화는 예취구에서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피의 신생엽이 20일 이후부터는 기존엽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세 작물의 기공 밀도는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가 피 보다 높았으며 기공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엽육세포는 예취후 12일 이후에 완전한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 그루터기 기저부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수수-수단그라스의 경우 예취후 8일까지는 감소하였고, 20일 이후로는 증가하였으나 진주조 및 피는 예취 당일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이 10%내외로 극히 낮은 상태였고 예취후 20일까지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예취후 32일 경에는 3.0에서 4.0%수준에 이르렀다. 5.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의 신생염은 제 2차 예취후 12일 이후에 독립적인 생육이 이루어졌다. 이들이 재생특성은 수수-수단그라스는 에너지원으로서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진주조는 하부 잔존엽의 동화작용에 주로 의존하였고 피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빈약하였고 기온 강하에 민감히 반응하여 재생이 억제되었다.에서는 어린모 : 998℃ , 25일묘 : 984℃ , 손이앙묘 : 949℃ 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육묘방법에 따른 이앙시기별 쌀의 품위는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조기이앙에 따라 동할미가 많았고 청미가 적었으며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는 청미가 현저하게 많아지면서 동할미도 증가하였다. 팔공벼와 동진벼는 이앙시기간에 차리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만 극만식인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만 청미 비율이 높았다.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IR255888에서는 분얼당 엽면적 및 건물중이 천립중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IR58에서는 관계가 없었다. 7. 수량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인 주내경쟁 정도는 소얼성품종이 다얼품종보다 적었다. 또한, 다비밀도 상태에서는 다수확을 위한 주당 묘수가 적정 재식밀도에서의 주당 묘수보다 적었다.품이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농어촌 가정의 부엌설비와 가족의 식사현황 문제를 조사해 본 결과 과거에 비해서는 좀더 합리적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으나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은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앞으로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
ICRISAT에서 도입된 피 45품종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피 3품종들의 내염성정도, 종실 및 청예수량성 등을 일반 밭 토양과 간척지 토양에 파종하여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주결과를 얻었다. 1. 공시된 48품종을 5월 10일 파종하였을 때에 출수기의 범위는 7월 17일~9월 22일로 60여일, 성숙기는 8월 7일~9월 28일로 54일이나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ICRISAT 도입품종들은 대부분조ㆍ중숙성이 많았다. 생초수량의 범위는 1.0~9.7t/10a으로 8.7t/10a이나 되었고 종실수량의 범위도 최고 369kg/10a 최저 7kg/10a으로 362kg/10a이었다 2. IEC514, IECS15, IEC518, IECS28 등이 수원과 남양 간척지에서 각각 청예수량 8t/10a, 6t/10a 이상으로 유망하였고 종실용으로는 IEC51S, IECS23, IEC512, IEC514 등 이200~300kg/10a을 생산하였다. 양축농가에서도 2회예취시 평균 청예수량은 9t/10a이었다. 3. 실험실내 시험에서 염분농도가 0.0~l.0%까지 높아짐에 따라 발아율, 초장, 근장이 크게 감소되지 않은 품종은 IECS14, IEC515, IEC516, IEC518 품종등으로 내염성이 강하였고 청예수량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