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은 항산화와 항염증 작용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서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의 단독처리 및 복합처리 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고 간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마우스는 무작위로 고 지방식이 섭취 대조군(Con), 헤스페리딘을 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Hes), 퀘르세틴을 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Que) 및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을 복합처리한 고지방식이 섭취군(Hes+Que)으로 분류하였다. Que 과 Hes+Que의 간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Con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Hes, Que 및 Hes+Que는 Con에 비해 몸무게와 간세포의 지질축적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세포에서 염 증 표지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Con에 비해 Hes, Que 및 Hes+Que는 염증 인자가 감소하였고 항 염증 인자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헤스페리딘 및 퀘르세틴의 단독처리보다는 복합처리가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이 비만으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간세포의 염증에 대해 억제효과가 있으며, 특히 헤스페리딘과 퀘르세틴의 복합처리가 각각의 단독처리에 비해 간 기 능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분리된 항생제 내성균(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RB)을 제거하기 위해 박테리오파지와 차아염소산 나트륨(NaClO)을 결합한 병용 처리 기술을 응용하였다. ARB를 감염시키는 용균성 박테리오파지는 폐수 샘플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이러한 박테리오파지와 NaClO를 순차적으로 적용한 결과, 5시간 이내에 ARB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환경 안정성 평가에서는 분리된 박테리오파지가 온도, pH,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 등 다양한 조건에서도 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 실험을 통해 단독 염소 소독과 비교했을 때, 결합 처리가 ARB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테리오파지와 차아염소산 병용 처리는 유기물, 질소(N), 인(P)과 같은 영양소 제거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오파지를 기반으로 한 생물학적 제어법과 기존의 소독 방식을 결합하여 폐수 처리 공정(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에서 효과적인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제어 방안을 제시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Chironomid larvae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DWTPs) and tap water lead to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effective control measures. The use of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to achieve optimal disinfection efficiency while minimizing residual contamin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disinfectants used in DWTPs on the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of chironomid larvae. In the experiment, Glytotendipes tokunagai larvae reared according to OECD guidelines were exposed to NaOCl, UV, and O3 complex substances, and b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urvival rate and body color change as key indicators for 24 hours. The survival rate of larvae exposed to combined disinfectants mostly decreased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lightening of body color was observed. The most significant decrease (53%) of the survival rate was observed to a combination of UV and 4 ppm NaOCl disinfectants and body color change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1). The change in body color is suggested to be a physiological change caused by oxidation of hemoglobin due to exposure to disinfecta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biological impact of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 on chironomid larvae of DWTPs, and can be used as data to suggest the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of disinfectant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setting standards for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Intense pulsed light (IPL), also known as high-intensity pulse light (HIPL), is an emerging non-thermal technology that uses light pulses of short duration, ranging from ultraviolet to infrared wavelengths, for microbial inactiv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eriliz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 apple juice using IPL and mild heat. As the light intensity and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S. cerevisiae showed higher inactivation levels. When treated at 600 V and 50 °C for 10 min, clear and cloudy juices showed reductions of 3.95 log and 3.58 log, respectively. In terms of quality changes in apple juice due to pulsed light treatment, Brix and pH showed no change or a slight increase as light intensity,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increased. Titratable acidity showed almost no change or a slight decrease. Color values showed a tendency for L and b values to decrease and a value to increase as light intensity,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increased. Pulsed-light technology appears to be effective in sterilizing both clear and cloudy juices when combined with appropriate temperatures.
본 연구는 축산물 생산 환경에서 오염 가능한 Aspergillus ochraceus와 Rhodotorula mucilaginosa를 저감하기 위하여 자외선과 유기산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균 현탁액(107-108 spores/mL)을 칼 표면에 1 mL 접종하고 37oC에 건조한 후 각각의 처리 조건에 활 용하였다. 먼저 유기산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을 활용하였으며 적정 농도 선정을 위하여 0.5, 1, 2, 3, 4, 5%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그 결과 아세트 산의 경우 약 5 log, 젖산은 최대 2 log CFU/cm2 감소하 였으나, 구연산의 경우 1 log 이하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유기산 처리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자 외선과의 복합처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두 균주는 모든 유기산에서 90% 이상 감소하여 초기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특히 4%의 젖산은 자외선(360 mJ/cm2)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2 log CFU/cm2 이상 감소하였으며 같은 조건에서 아세트산은 5 log CFU/ cm2이상의 저감능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4% 농도의 아세트산으로 제조할 경우 이취가 매우 심하여 작업자가 생산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 에 따라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유기산과 자외선 최적 처리 조건은 4% 젖산 용액에 1분간 침지한 후 자외선을 20분 가량(360 mJ/cm2) 살균 처리하는 방법으로 선정하였 다. 최종적으로 유기산 세척 및 자외선 처리가 된 칼로 돼 지고기 절단 작업을 수행하였을 때, 현장 오염 수준의 진 균류 농도에서 작업 후 돼지고기 표면으로 이행되는 오염 량은 모두 불검출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험실 규모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살균된 도구를 활용하 여 작업 시 고기 표면까지 이행되는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ethylformate and phosphine fumigants are widely used for pest quarantine, studies related to their mechanism of action and metabolic physiological changes in Drosophila models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key metabolites altered by fumigants and cold 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and affect insect physiology by comparative metabolome analysis. Fumigant treatment significantly altered cytochrome P450 and glutathione metabolites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mechanism and showed lower expression of PGF2α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compared to the control. Additionally, most of the metabolites functioned in metabolic pathways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amino acids, nucleotides and cofactors.
Sweet pepper(paprika) belongs to the genus Capsicum,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ort product from Korea to Japan and Southeast Asia. So it is important to eradicate plant quarantine pests before export sweet pepper. Aphids, whiteflies and mites are major pests that can damage to sweet peppers. Fumigation is normally used to eradicate pests in plant quarantine, but phytotoxicity may can be appeared that affect the quality of the product. Low-temperature treatment, one of the most popular physical treatment, can reduce crop damage to preserve product quality, but it takes long time to kill pests, which can cause quality degradation. In this study, phytotoxicity of fumigants, phosphine(PH3), ethyl formate(EF) and PH3+EF on sweet peppers was investigated to use as basic data for physicochemical treatment. When treated with more than 35 mg/L of EF, phytotoxicity was occurred, and was not occurred with PH3. When low-temperature of 1.7 degrees treated for 15 days after fumigation, it seems to be no direct damage from low-temperature treatment. But quality of top of sweet pepper was decreased from 7 days after fumig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mbined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and micro-perforated (MP) film packaging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kimchi sauce stored under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Before storage, treatment with 600 MPa HHP reduced the total lactic acid bacteria in the sauce samples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1 log CFU/g). After 68-day storage, ten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he non-treated controls were identified as Pediococcus pentosaceus, whereas eight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he HHP-treated sample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regardless of the packaging type. Additionally, the samples treated with HHP and packaged in a multilayer film bag (ML-HPP), as well as those in the MP-HHP group, exhibited higher pH values and reduced sugar content than the ML-control or MP-control after 68-day stora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regarding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salinity, and CIE a* values at the end of storage. However, there was no O2 reduction or CO2 accumulation in the MP-HHP group after 68-day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ation of HHP treatment and MP-film packaging can extend the kimchi sauce's shelf life without packaging expansion during long-term storage.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총 15명의 임산부를 운동+프로바이오틱스섭취군(PEX, n=5), 운동군(EX, n=5), 대조군(CON, n=5)으로 구분하였다. PEX 집단과 EX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으며, PEX 집단은 매일 공복에 프로바이오틱스 1 캡슐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출산 후 PEX 집단의 체지방 및 WHR 수치가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미큐테스, 박테리오데스의 구성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 호르몬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PEX 집단에서 사후 렙틴, IL-6, TNF-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지질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산 전 필라테스와 프로바이오틱스 병행 처치는 출산 후 여성의 복부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며 염증 및 비만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산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