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연령별 얼굴정서 인식 비교 연구에서는 정서별로 연령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혔다. 이에 Kim(2021) 연구에서는 개별 정서가 아닌 정서공간에서 표상된 정서를 연령 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기술적 (descriptive) 비교만 시행하였을 뿐, 통계적 유의미 검증을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상 유사성 분석(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방법을 통해 연령간 실제 데이터 및 정서 모델 유사성행렬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개인차 다차원척도법(individual differences 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 연령간 정서 차원에 대한 비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제 데이터 비교에서 노년 집단은 청년 및 중년 집단과 가장 유사하지 않았으며, 쾌불쾌 차원이 포함된 정서 모델과의 유사성 비교에서도 가장 유사하지 않았다. 또한 노년 집단은 각성 차원에 대한 비중이 청년 및 중년 집단과 유사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 정서 모델, 그리고 정서 차원 비중이라는 세 가지 측정치에 대해 노년 집단과 청년 및 중년 집단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얼굴 정서자극을 이용한 정서 차원연구에서는 쾌불쾌차원(valence)과 각성차원(arousal)이라는 두 가지의 핵심정서(core affect)의 구조가 밝혀졌는데, 이러한 정서차원 구조가 일반적인 지, 그렇지 않다면 정서차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자극의 연령이 주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정하고, 6가지 정서 표현(화난, 역겨운, 두려운, 행복한, 중립적인, 슬픈)이 세 연령(청년, 장년, 노년)층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두 얼굴 자극의 유사성을 직접 물어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서 간 유사성 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 두 가지 얼굴 자극이 함께 제시될 때 두 정서 표현이 같은지 다른지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 하는 간접적인 측정을 하였다. 각 연령별 데이터를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 연령대 모두 화난-역겨운, 그리고 슬픈-역겨운 정서쌍이 유사성이 높았다. 연령간 차이로는 노년 정서자극에 대해서 위 두 쌍 외에 화난-슬픈, 화난-중립적 인, 중립적인-슬픈, 역겨운-두려운의 정서쌍에 대해서도 유사성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나머지 두 연령 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같은 정서 쌍에 대한 결과에서는 ‘슬픈’이 노년층에서만 정확도가 매우 낮았으며, 이는 슬픔을 표현하는 노년층의 얼굴 정서를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두 얼굴 정서에 대해 직접적 인 유사성을 묻는 것이 아닌, 정서 판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서 간 유사성을 유도하는 방법으로도 정서 차원 연구가 시사한다. 또한 여러 연령 별로 전반적으로는 쾌불쾌, 각성이라는 주요 정서 차원이 잘 드러나지만 노년층의 특정 정서 표현에 대한 인식이 다른 연령대의 정서 표현보다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육우 송아지 출하월령(3, 6, 9, 12개월) 조건에 따른 채끝등심(m. longissimus lumborum)과 꾸리육(m. tricep brachii)의 이화학적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특성을 비교하여 송아지고기의 상품성을 조사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채끝등심육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던(73.20~79.23%) 반면에 단백질(19.51~23.13%) 및 지방(0.76~1.99%) 함량은 증가하였다. 육색의 경우 두 부위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L*값(30.62~43.81)은 감소하는 반면에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P<0.05). pH는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5.96)이 꾸리육은 3개월(5.67) 및 6개월(5.73) 령이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미오글로빈 함량은 채끝등심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을 측정한 경과 채끝등심육 은 3개월령(5.94 kg)과 12개월령(4.34 kg)이 6개월(9.16kg) 및 9개월령(9.57 k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꾸리육은 3개월령(2.83 kg)이 9개월 (4.47 kg)령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가열감량은 채끝육의 경우 출하월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육은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12개월(28.37%)령이 낮았고 3개월(36.55%)령이 높았다(P<0.05). 한편 채끝등심과 꾸리육은 모두 12개월령이 근절길이가 길었고 보수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에 C18:2n6, C20:1n9, 총 다가불포화지방산 (PUFA), 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UFA/SFA) 및 오메가-6(ω-6)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6:1n7, C18:1n9,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MUFA),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꾸리육의 경우 3개월령에 C20:1n9 함량이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4:0, C18:1n9, 총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5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Hanwoo heifers slaughtered at different ages. Twenty one Hanwoo heife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32, 36 and 40 months age), with 7 steers each, respectively. In the result,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s were 125.6 and 651.0 kg, respectively.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low at final stage compared with other growth stages (p<0.05). Dry matter intake was the peak at the intermediate fattening stage (p<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t growing stage compared to other stages (p<0.05). In yield traits, carcass weight was greater in 40 months age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Yield index was greater in 32 months group compared to 40 months of age (p<0.05).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p>0.05). However, marbling score tended to be increased in 40 months age group (5.9)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appearance rate (%) of meat quality grade more than 1+ was greater at 40 months old group than other groups.
        4,000원
        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매상에서 판매하고 있는 염소육의 영양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료는 1년생, 2년생, 3년생 염소육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연령별에서 3마리씩 4부분의 다른 부위(어깨, 목, 허리, 다리)를 선정하여 총 36점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염소육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료의 외형, 색, 냄새, 육즙, 일반조성분, pH, 총균수, 대장균군과 효모수를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염소육의 pH는 평균적으로 5.647- 5.692로 나타내어 각 부위별 염소육의 pH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연령별 염소육의 pH는 5.585-5.743로 유의적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각 연령별 염소육의 육즙함량은 32.24-42.10%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내었으며, 마블링은 다른 부위보다 목살부위에서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염소육의 단백질 함량은 20.78-27.71% 의 결과로 유의적 차이(p < 0.01)를 나타내었고, 다리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각 부위별 염소육의 지방 함량은 2.657-11.469%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염소육의 수분함량은 69.20- 73.31%, 1년생 염소육의 회분함량은0.989 ± 0.129%로 다른 연령대의 염소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 또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내었다. 칼슘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1년생 염소육의 인의 함량은 0.149 ± 0.0251%로 다른 년생의 염소고기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연령별 염소육의 총균수 수준은 5.05- 5.15 log cfu/g으로써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각 부위별 염소육의 대장균군의 오염수준은 2.56-3.05 log cfu/g 으로 유의적인 차이(P < 0.01)를 나타냈다. 연령별 염소육 또한 대장균군 오염수준은 2.79-2.84 log cfu/g 으로써 유의적인 차이(P < 0.05) 를 나타냈으며 1년생 염소육의 대장균 오염수준은 다른 연령의 염소육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모의 오염수준 또한 각 부위별(P < 0.01), 연령별(P < 0.05) 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염소육의 영양학적, 미생물학적 품질은 염소의 연령과 판매 부위에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okinetic moment of quadriceps and hamstring strength ratio among women of different age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184 women referred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S district. All subjects were aged 20 to 69 years old and divided into 5 groups; 20s (n=248), 30s (n=255), 40s (n=248), 50s (n=228), and 60s (n=205). Th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and flexor, quadriceps, and hamstring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60 degrees/second with an isokinetic machine. We calculated the peak torque, peak torque %BW (%Body Weight), deficit of peak torque and hamstring/quadriceps ratio of the knee.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 way ANOVA to investigat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trength variation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and were computed by ⊿% difference from women in their 20'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Peak torque of the knee extensor, quadrice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30, but peak torque of the knee flexor, hamstr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50 compared to women in their 20's. (p<.05). 2. Peak torque %BW of the knee extensor, quadrice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20, but peak torque %BW of knee flexor, hamstr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40 compared to women in their 30's (p<.05). 3.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y of the age groups in the deficit of peak torque of the knee extensor and flexor, but the deficit of peak torque of knee extensor among women between 30 and 50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normal range of deficit. 4.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y of the age groups in the hamstring/quadriceps ratio These results showed that peak torque, peak torque %BW, deficit of peak torque, and hamstring/quadriceps ratio of the knee were reduced in each age group, but especially among the women over 50. Further longitudinal study may be needed to see if volume of muscle mass and intervention of exercise affect knee strength in spite of aging.
        4,000원
        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브로콜리의 측지재배에 있어서, 엽령이 다른 시기의 생장점 제거가가 브로콜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적심은 육모기중 본엽 2매, 3매, 4매시에 실시하였으며, 무적심을 관행재배로 하였다. 초장은 처리간 생육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체중은 적심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심처리의 경우 무적심에 비하여 엽수 및 측지수가 증가하였다. 정화리 형성일은 2매 적심처리에서 무적심에 비하여 3일 정도 빠라졌다. 정화뢰(첫번째 화뢰) 무게는 무적심에서 244g으로 가장 무거우T으며, 적심처리의 경우 무적심에 비하여 엽수 및 측지수가 증가하였다. 정화뢰 형성일은 2매 적심처리에서 무적심에 비하여 3일 정도 빠랄졌다. 정화뢰(첫번째 화뢰) 무게는 무적심에서 244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적심처리의 경우 적심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2번째 화뢰중은 본엽 2매 적심처리에서 157g으로 가장 무거웠다. 총 화뢰중은 본엽 2매시 적심처리에서 378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4매 적심시 196g으로 가장 가벼웠다. 상품수량은 무적심 1,184kg에 비하여 본엽 2매 적심시 1,754kg으로 48%의 증수효과를 보였으며, 본엽 4매 적심시 820kg으로 가장 적었다. 첫 수확일은 본엽 2매 적심처리에서 무적심에 비하여 6일 정도 조기수확이 가능하였다.
        4,000원
        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sensing performance on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containing CNT by curing age. The mixing amount of CNT was set at 1.0%, and SHCC fibers were mixed with PE 1.0% and steel fiber 0.5%. Th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for the tensile strain sensing performance was based on AC method and 4 probe methods. Test results indicated that electrical sensitivity of SHCC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curing age.
        10.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ginsenosides Rb1 (G-Rb1) and Rg1 (G-Rg1) are used as marker compounds, and are the principal bioactive compounds assessed in the quality control of white ginse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ite ginseng samples of different and to obtain useful data for the quality control of white ginseng. Methods and Results: The variation in the content of G-Rb1 and G-Rg1 was evaluated among 35 samples of 4-, 5-, and 6-year-old white ginseng. The content of both G-Rb1 and G-Rg1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ages, and the relative ratio of the maximum to the minimum content of these within ginseng of the same ages was more than two. However, the ratio of G-Rb1 to G-Rg1 content in the 5- and 6-year-old ginse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4-year-old one. According to the ‘Ginseng industrial act’, the standard (w/w, %) minimum G-Rg1 and G-Rb1 content is 0.10% and 0.20% or more, respectively. Among the 35 samples examined, the content of G-Rg1 was found to be 0.124 - 0.399% with none being less than the standard level, while that of G-Rb1, was 0.147 - 0.595%, with 4 samples (11.4%) failing to meet the standard levels. The content of G-Rg1 and G-Rb1 did not show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ginseng.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content of both G-Rg1 and G-Rb1 varied wid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tion ag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ight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quality control of raw ginseng and processed white ginseng using marker compound.
        11.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alence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preschool children has shown a recent increase and macrolideresistant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has been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among children of different ages and different years for the most recent seven year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linical data of 735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due to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2.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ge: the A group (<3 years), B group (≥3 years and <7 years), and C group (≥7 years). In additio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year in which the disease had developed: the early period (2006 and 2007 year), and the late period (from 2010 to 2012 year). The infant group (A group) presented mainly with a shorter duration of fever and more frequent wheezing. In the late period, the interval until improvement after a macrolide was prescribed increased. Clinical features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differed among children of different ages, particularly between infants and school-aged children.
        12.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을 지하부는 물론 지상부 경엽 부위를 채소용 또는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낮은 연령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인삼의 초장, 근장, 근직경,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기준으로 생육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Folin-Denis 방법에 따라 인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총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22.0 - 76.3 mg kg1)가 지하부(19.0 - 28.3 mg kg1)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지하부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연령별 인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역시 지상부(23.3 - 138.6 mg kg1)가 지하부(0 - 10.8 mg kg1)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지하부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인삼연령별 항산화성을 분석한 결과 인삼의 지상부는 낮은 연령에서, 지하부는 높은 연령에서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의 경우 3년생이 추출물 2,500 mg kg1에서 82.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이 l년생 75.3%, 2년생 68.6%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나머지 4, 5, 6년생은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지하부(14.8-39.4%)는 지상부 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고, 5년생, 6년생, 4년생, 3년생, 2년생, 1년생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인삼연령별 세포독성은 연령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5년근의 세포생장 억제율은 52.8%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억제율은 3년생에서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생체중은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컬 소거능(r2=0.7366-0.7870 )과 아질산염 제거능(r2=0.5604-0.8794 )은 총페놀함량과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