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74, the urban subway has been used as a major form of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 Korea. The air quality in the subway environment depends on the introduction of air pollutants from roadway air and its generation is caused by subway operation in the tunnel. In the subway tunnel, PM10 concentration was monitored from March 8 to 15, 2018 and from March 26 to 28, 2018, and compared with concentrations that are routinely monitored at the subway concourse and the nearest roadsid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RAQMS). Overall PM10 concentration at the concourse was similar to that of the RAQMS. However, PM10 concentration in the tunn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ubway concourse and RAQMS, and showed distinct diurnal variation caused by train operation. The dominant peak concentration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train operations per hour. The minimum PM10 concentration was observed between 2 am to 5 am when the train was not operated. This was similar to that of the RAQMS. Although the diurnal variation of the PM10 concentration at the concourse is not significant, the overall trend is similar to that in the tunnel.
Day-care center is one of living micro-environments for children. In urban area, day-care centers may be influencedby air pollutants emitted from the vehicle exhaust. In this work, diurnal variation of major pollutants and effectof outdoor air on indoor air quality were investigated using real-time instruments for a day-care center locatednear the heavy road. 48-h continuous monitoring at both indoor and outdoor were made in summer. The day-care center equipped with ceiling system air-conditioners was operated from 7:30 a.m. to 19:30 p.m. Indoor CO₂concentration responded greatly to the human activity. Indoor NO₂ concentration shows a big difference betweendaytime and nighttime, implying that outdoor NO₂ may penetrate into the indoor through opening of doors orwindows during the daytime. Indoor to outdoor concentration ratio of submicron particle surface area is <1 dueto the penetration of outdoor ultrafine particles.
본 연구는 3년(2005. 12. 1-2008. 11. 30) 동안 부산의 PM2.5 대기오염자동관측소(장림동: 공업지역, 좌동: 주거지역) 측정자료 중 고농도 PM2.5(24시간 환경기준 50μg/m3)에 대한 PM2.5 및 PM2.5/PM10 농도비의 일변화 특성과 함께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농도 PM2.5는 장림동과 좌동 각각 182일 및 27일이었다. 장림동에서 고농도 PM2.5의 시간평균농도 및 PM2.5/PM10 농도비의 일변화는 모든 계절에서 오후에 비해 새벽과 오전 및 야간에 높은 비슷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좌동의 여름 주간에 PM2.5/PM10 농도비가 증가하는 것은 해양조건에서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이차 입자상물질 중 PM10의 거대입자 농도가 미세입자인 PM2.5 농도보다 더 감소하기 때문이다. 시간대별로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등급)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PM2.5는 장림동에서 공업단지의 산업활동에 의한 오염물질 정체와 주변지역의 오염물질 이동에 의해 발생되었다. 좌동에서는 주로 주거와 상업활동으로 인한 지역적 오염물질 정체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 복사의 지구 대기 산란광을 근 적외선 영역에서 분광 관측하여 H2O와 O2 흡수선을 측정하고 이것으로 태양 복사량에 따른 두 기체의 등가폭 변화를 계산하였다. O2는 태양 복사량이 증가할수록 등가폭이 줄어들고 복사량이 감소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H2O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특히 두 기체가 만드는 흡수선 등가폭의 합은 하루 중에 대체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이 태양광에 의한 광해리와 재결합이 O2와 H2O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추측한다.
구상나무 침엽의 엽록소형광과 생육지의 환경요인의 일변화를 계절별로 조사하여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구상나무의 환경 적응성을 규명하였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 즉 Fv/Fm은 겨울에는 0.19-0.36으로 매우 낮은데 반하여 여름에는 0.8-0.86으로 높았다. 낮시간의 Fv/Fm이 겨울에는 아침, 저녁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서 겨울철 한낮의 환경조건이 구상나무 잎의 광합성기구에 우호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에는 낮시간에 광억제가 다소
낙동강 하류의 담수에서 환경요인과 담수조류의 일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온, DO, pH는 15시를 전∙후로 하여 최고치를 보였다. Alkalinity는 주간에 높고 야간에 낮았고 수심이 깊을수록 매우 증가하였으며 pH와는 역 상관이었다. 하루 중 DO 농도는 주기성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담수조류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담수 조류의 수직분포에 있어서는 수심에 대한 감소형, 균등 분포형 및 역전형의 3가지로 분류되었다. 녹조 Chlamydomonas spp., Eudorina elegans, 유글레나조 Euglena spp.는 감소형, Chroomonas spp. 등 은편모조류는 역전형이었고 규조 Cyclotella meneghiniana는 수심에 따라 차이가 없거나 저층의 밀도가 다소 높았다. 영양염 중 SRP 및 NH4는 수심이 깊을수록 농도가 증가하거나 주∙야간에 따른 변동이 관찰된 반면에, NO3는 수심에 따른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트로올선 No.85 Ptaro가 1975년 9월부터 1976년 8월까지 대서양 아프리카 연안 어장에서 조업한 어획상황을 분석한 결과 예망당 어획량의 일주기변동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오징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54:17로 획간에 많았다. 2. 갑오징어는 개체중량 300g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다소 많고 일몰후에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비는 45:28로서 획간에 많고, 개체중량 300g 미만의 소형어는 주야간의 어획량비가 40 : 32로서 큰 차이가 없다. 3. 문어는 개체중량 700g 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적으며, 오전보다 오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43 : 31로서 획간이 많으나, 개체중량 700g 미만의 소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32 : 44로서 야간에 많았다. 4. 서대류는 일출후에 현저하게 적고 일몰후에 월등하게 많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16 : 41로서 획간에 많았다. 5. 돔류, 기타 A, B 잡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돔류 51 : 19, A 잡어류 50 : 19, B잡어류 42 : 25로서 획간에 많았다.
Cosmic rays are ions that move at relativistic speeds. They generate secondary cosmic rays by successive collisions with atmospheric particles, and then, the secondary particles reach the ground. The secondary particles are mainly neutrons and muons, and the neutrons are observed by the ground neutron monitor. This study compared the diurnal variation in cosmic ray intensity obtained via harmonic analysis and that obtained through the pile-up method, which was examined in a previous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aximum phase of the diurnal variation using four neutron monitors with a cutoff rigidity below approximately 6 GV, located at similar longitudes to the Oulu and Rome neutron monitors. Expanding the data of solar cycles 20–24, we examined the time of the maximum cosmic ray intensity, that is, the maximum phase regarding the solar cyclic modulation. During solar cycles 20–24, the maximum phase derived by harmonic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at derived by the pile-up method. Thus, the pile-up method,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process to analyze diurnal variation, could replace the complex harmonic analysis. In addition, the maximum phase at six neutron monitors shows the 22-year cyclic variation very clearly. The maximum phase tends to appear earlier and increase the width of the variation in solar cycles as the cutoff rigidity increases.
In this study, changes in daily temperature range were investigated using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of Busan and Daegu for last 81 years (1934-2014), and also characteristics of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easonal fluctuations by urbanization were examined. First, elapsing changes showed a lower decreasing trend in Busan (0.32℃) than Daegu (1.2 8℃) for last 81 years. Daily temperature range showed the highest rise in winter in both Busan and Daegu. Second, daily temperature range due to urbanization showed that Busan had a pronounced decreasing trend before urbanization meanwhile Daegu showed the same trend after urbanization. On seasonal changes, the results of Busan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ummer before urbanization, and in autumn after urbanization. For Daegu, the results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pring before urbanization, and in winter after urbanization. Seasonal fluctuations of Busan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urbanization, except in winter and summer. There was large difference in daily temperature range in winter after urbanization, and in summer before the urbanization. The results in Daegu showed that there was decreasing trend of daily temperature range in all seasons after urban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urface ozone, NO and NO2 concentration data from 1997 to 1999 in Daegu. It investigates effect on precursor during high-ozone episode days. The high-ozone episode is defined when a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100 ppb(ambient air quality standard of Korea) in at least one station among six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The frequency of episodes is 13 days(33 hours). The frequency is the highest in May and September, and the area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Nowondong and Manchondong. The average value of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ith high ozone episode is 81.6 ppb, and that of 8-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s 58.6 ppb. It means that ozone pollution is continuous and wide-ranging in Daegu. The daily variation of NO, NO2 and O3 in high-ozone episodes are inversely proportional one another. Nowondong an industrial area, is affected by pollutants that are emitted from the primary sources, while Manchondong a residential area, is affected by the advection of O3 or by the primary pollutants like VO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urnal wind variation between coastal and inland areas using the hourly wind data of 58 AWS-stations in the South Korea which are collected during the 10 years from 1980 to 1989. Diurnal variation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FFT), and the wind direction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Cr with Cv represented the constancy of wind.
For the scalar wind speed, the maximum wind speed occurs in the daytime from 14h to 16h. The maximum diurnal amplitude at coastal areas occurs from 12h to 16h, and is about 2 hours faster than that at inland areas. Vector mean wind speed is strong at coastal areas and Chupungnyong, Kumi, Taegu of inland areas. The diurnal variation ellipses make a right angle with coastline show that the land. and sea breezes are prevailing. The constancy of wind is strong at all observations in Janu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 and Cv , Cv is higher than Cr.
터널식 보온절충못자리 육묘에서 고온장해를 막기 위한 바람트기는 묘의 광합성과 관련하여 상내 CO2 공급 또한 중요하므로 바람트기 방법에 따른 상내 온도와 CO2 농도의 낮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맑은 날(5월 20일)에 조사한 바람트기 방법별 상내 CO2 농도는 바람트기 방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통풍이 가장 낮았고, 관행이 가장 높았으며, 가로일자찢기는 중간 정도였다. 상내 CO2 농도가 가장 낮아진 시각은 무통풍에서는 10:30시에 58ppm, 가로일자찢기에서는 15:30시에 155ppm, 관행은 17: 30시에 272ppm 이었다.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낮 동안의 상내 CO2 의 평균 농도는 외기 15.74m ㏖/㎥에 비하여 무통풍은 3.27m ㏖/㎥, 가로일자찢기는 12.81m ㏖/㎥이었다. 2. 외기온도에 대한 상내 기온울 보면 무통풍에서 외기가 22℃ 일 때 46℃ 까지 높아졌으며, 이때 가로일자찢기는 37℃ 였고, 관행은 32℃ 였다. 상내 기온이 15℃ 이하에서는 가로일자찢기가 관행보다 더 큰 보온효과를 보였다. 3. 해돋이 전 상내 기온이 10℃ -15℃ 로 비교적 낮은 때 CO2 농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해독이후 상내 기온이 20℃ 까지 높아지고 동시에 광합성이 이루어지게 되면 급격히 감소하다가 20℃ 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CO2 농도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40일묘의 묘소질은 건물중, 충실도 모두 가로일자찢기에 의한 바람트기가 가장 높았고, 관행이 그 다음이었으며, 무통풍이 가장 낮았다. 5. 보온 못자리의 바람트기는 튼튼한 모기르기를 위한 보온, 고온장해 방지 , CO2 공급 등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인정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