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ry matter yield and weed control of alfalfa according to postemergence herbicides treatment during spring seeding alfalfa. The seeding time of alfalfa was April 21, 2021, the seeding amount was 20 kg/ha, and the seeding method was by 20 cm wide. The alfalfa harvest was carried out at the early bloom stage (10% of flowering), and the harvest date was June 29, 2021. The test treatments were non herbicide (NH), hand weeding (HW), herbicide 1 (Trifluralin, H1), herbicide 2 (S-metolachlor, H2), herbicide 3 (Alachlor, H3), and herbicide 4 (Pendimethalin, H4). Alfalfa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H2 (62.1±1.4 cm) followed by H3 (61.7±1.6 cm), HW (58.5±1.0 cm), H1 (57.2±1.3 cm), H4 (56.1±1.3 cm), and NH (54.1±1.2 cm) (p<0.05). Based on HW, H2 and H3 were high and H1 and H4 were short, but N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HW and H1~H4 (p<0.05). The dry matter yield of alfalfa in NH, HW, H1, H2, H3, and H4 were 717.2±94.2, 2,613.8±254.1, 1,667.8±94.1, 2,498.3±120.2, 2,435.0±118.3, and 1,793.7±354.3 kg/ha. HW is the highest among them (p<0.05). The feed composition of alfalfa was 22~24% of the dry matter yield, and the CP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H (23.6 %) (p<0.05). The NH had higher (p<0.05) NDF and ADF, but RFV was lower (p<0.05). The weed plant height was NH 98.0±3.3cm, HW 73.3±1.7 cm, H1 91.9±1.5 cm, H2 53.3±5.8 cm, H3 81.4±3.5 cm and H4 96.6±2.2 cm, and H2 was significantly smallest in the group (p<0.05). The weed dry matter yield was NH 4,770.4±232.5 kg/ha, HW 316.3±91.9 kg/ha, H1 2,353.4±173.7 kg/ha, H2 114.5±10.2 kg/ha, H3 752.7±440.6 kg/ha and H4 2,220.6±775.6 kg/ha. The weed control value was HW 94.1%, H1 53.5%, H2 98.2%, H3 84.9%, H4 48.7%, the weed value of H2 is similar to weed control value of HW.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postemergence herbicide treatment controlled weeds by more than 50% compared with no treatment, and among herbicides, H2 (S-metolachlor) was found to be on a similar level to hand weeding.
        4,0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in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under Korean environment conditions.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five plots, viz. (1) Control treatment: no herbicide; (2) Alachlor; (3) Simazine; (4) Pendimethalin and (5) Mixture of alachlor and simazine herbicides in RCBD have three replications. Results depicted that treated herbicide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 over control of weeds. Simazine herbicide alone or mixed with alachlor had adverse effects on soybean but enhanced (p<0.05) corn production in terms of survivability, dry matter and digestible nutrients yield. Corn-soybean coupling and total dry matter yield were greater (p<0.05) in pendimethalin. Simazine-alachlor mixture reduced (p<0.05) soybean height. Conclusively, simazine could not be suitable for corn soybean intercropping because of having an adverse effect on soybean component. Pendimethalin could maintain growth and yield of corn and soybean both components. Effect of alachlor was comparable to that of pendimethalin.
        4,000원
        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파종방법 및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 및 생산성을 비교하여 안전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 장에서 수행하였다. 제초제 종류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in vitro 조건 에서 발아율 분석결과 control > simazine > methaventhiazuron > alachlor 순으로 나타났으며 alachlor 처리시 shoot의 길이 는 1~1.3 cm 범위로 무처리 4.37 cm와 비교했을 때 약 1/4 배 정도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root는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alachlor는 shoot 보다 root에 약해를 더 심하 게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시험에서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는 in vitro 시험과 마찬가지로 alachlor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파종 방법에서는 조파가 약해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주수의 경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파종방법에 따라 조파의 경우보다 산파에서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처리에 따른 잔주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건물수량의 경우 제초제 종류별로 보면 조파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 리 대비 101%와 99%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32%와 56%였다. 산파 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리 대 비 89%와 84%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13%와 29%로 나타났으 며, alachlor 보다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이 건물수 량 감소가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 조파가 alachlor에 대한 약해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DN 수 량 역시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모두에서 TDN 수량이 가장 낮게 나왔 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는 조파의 경우가 제초제 시 용에 따른 수량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파종방법 및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 및 생산성을 비교하여 안전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제초제 종류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in vitro 조건에서 발아율 분석결과 control > simazine > methaventhiazuron > alachlor 순으로 나타났으며 alachlor 처리시 shoot의 길이는 1~1.3 cm 범위로 무처리 4.37 cm와 비교했을 때 약 1/4배 정도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root는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alachlor는 shoot 보다 root에 약해를 더 심하게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시험에서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는 in vitro 시험과 마찬가지로 alachlor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파종방법에서는 조파가 약해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주수의 경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파종방법에 따라 조파의 경우보다 산파에서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처리에 따른 잔주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건물수량의 경우 제초제 종류별로 보면 조파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리 대비 101%와 99%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32%와 56%였다. 산파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리 대비 89%와 84%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13%와 29%로 나타났으며, alachlor 보다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이 건물수량 감소가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 조파가 alachlor에 대한 약해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DN 수량 역시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모두에서 TDN 수량이 가장 낮게 나왔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는 조파의 경우가 제초제 시용에 따른 수량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체 내에서 HPPD(4-hydroxy phenylpyruvate dioxyge-nase)를 저해하여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억제하는 제초제benzobicyclon 및mesotrione+pretilachlor의 처리 약량에 따른통일형 벼의 약해 발생 정도와 약해발생에 따른 수량영향을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MP) 처리 후6~12일에 통일형 벼인 한아름벼, 한아름2호, 다산벼는 모두잎의 백화약해 증상이 나타났고, 기준량 처리시 약해는 각각34~64%, 63~75%이었으며, 배량 처리에서는 약해발생이 더심해 각각 76~83%, 83~89% 이었다. 또한 벼식물체는 기준량 처리시 고사되지 않았으나 배량 처리시 식물체 고사율은benzobicyclon은 6.5~11.5%로 MP 2.1~3.3% 보다 고사율이 높았다.2. 출수기는 benzobicyclon 및 mesotrione+pretilachlor처리에 따른 약해로 대조인 butachlor 처리보다 1~2일 지연되었다.3.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 처리시 통일형 벼 생육은 butachlor 처리에 비해 한아름벼, 한아름2호 및 다산벼 모두 기준량 처리시 m2 당 수수가 14~67개가 적고 등숙비율이 2.7~8.6% 낮아져으며 현미천립중이 0.0~1.2g 가벼웠다.4.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 처리시 쌀 수량은 대조인 butachlor처리의 644~725kg/10a에 비해 한아름벼는 5~9%, 한아름2호와 다산벼는 5~8% 감소되었고, 2배량 처리시 수량감소는 더욱 증가하여 한아름벼는 16~28%,한아름2호는 20~24%, 다산벼는 14~23% 감소하였다.
        4,000원
        7.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ibiotics marker-free with herbicide-resistant tall fescue plants were produced through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Embryogenic calli derived calli were infec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EHA105 harboring the pCAMBIA3300 vector containing the bar and the CP4-EPSPS genes. The PPT-resistant calli and plants were selected with 10 ㎎/L PPT, respectively. Soil-grown plants were obtained about 14-16 weeks afte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regenerated plants growing under selection was demonstrated by PCR, and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one copies of the transgene were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 of each transgenic plant. Expression of the bar and CP4-EPSPS genes in transgenic plants was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and CP4-EPSPS genes in transgenic plant ELISA uses antibody protein by ELISA Assays. Transgenic plants sprayed of two herbicides with glufosinate ammonium or glyphosate remained green and healthy. We therefore report here a successful and reliable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two herbicide-resistances and this method may be useful for routine transformation and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new varieties of tall fescue with several important genes.
        10.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equate regrowth control of weeds and shrubs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problem for pasture establishment by overseeding on reclaimed forest hilly la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sloping shrub land near Anseong, Gyeonggido to evaluate the eff
        4,000원
        11.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초지개량시험(草地改良試驗)의 일환으로서 ha당 2.9kga,i의 Glyphosate를 철포(撤布)한 후(後)에 선점관목(先占灌木)을 그대로 방치한 것과 또 살포후 관목을 10, 20, 30, 40일 간격으로 예취제거(刈取除去)하였을 때 이러한 처리가 겉뿌림한 오차드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 유식물(幼植物)의 정착(定着)과 생육(生育)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
        4,000원
        12.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4,000원
        13.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단그라스계 잡종(雜種)인 Pioneer988의 수량(收量)과 잡초억제(雜草抑制) 및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에 대한 파종량(播種量)과 제초제(除草劑)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량은 ha당(當) 25kg와 50kg으로 처리하였으며 제초처리(除草處理)는 인력제초(人力除草), alachlor 처리, simazine 처리 및 alachlor와 simazine을 복합(複合)처리하였고 대조구로 잡초(雜草) 효임구(效任區)를 두었다. 수량(收量
        4,000원
        14.
        197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밭 토양에서 Simazine, Nitrofen, Propanil 및 Butachlor 등의 제초제가 시비한 질소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요소와 약제를 처리한 후 에서 배양하면서 암모니아태, 아질산태 및 질산태 질소와 pH의 변화를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요소분해에 의한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에 있어서 모든 약제가 실용농도 수준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Butachlor는 실용농도의 10배와 50배 수준에서, Nirtofen은 50배 수준에서 일시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시일이 경과하면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Simazine과 Propanil은 전 처리수준에서 영향이 없었다. 2. 질화작용에 있어서도 모든 약제가 실용농도수준에서는 영향이 없었다. 실용농도의 10배와 50배 수준에서 Butachlor와 Nitrofen은 아질산의 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ropanil은 암모니아의 산화를 크게 억제하였으나 아질산의 산화억제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이 산화억제 효과는 시일이 경과하면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Simazine은 전 처리수준에서, 질화작용에 대해 영향을 인정할 수 없었다. 3. 약제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의 pH 변화경향은 양 중 질소의 형태변화를 잘 반영하여 주었으며 약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은 찾을 수 없었다.
        4,000원
        15.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수상태하에서 Butachlor, Nitrofen, Benthiocarb+Simetryne, Propanil, Perfluidone 등의 제초제가 시비한 질소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요소와 약제를 처리한 후 에서 배양하면서 무기능 실소, pH 및 Eh의 변화를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trofen, Benthiocarb + Simetryne, Propanil 등은 전 처리농도에서 요소의 분해에 의한 암모니아의 생성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Butachlo 와 Perfluidone은 표준시용량의 8배의 고농도 처리에서 처음 암모니아의 생성을 다소 감소시켰으나 이 분해억제효과는 시일이 경과하면서 바로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2. Propanil을 제외한 공시약제 모두 전 처리농도에서 실화억제 효과를 찾아 볼 수 없었다 Propanil은 표준량의 8배의 고농도 처리에서 암모니아의 산화를 억제하여 앙모니아태 질소를 축적하고 아질산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의 생성을 다소 감소시켰는데 이러한 경향은 시비질소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다소 명확하여졌다. 3. PH와 Eh의 변화에 대한 공시약제의 영향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4,000원
        16.
        197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근부흡수선택성 또는 안전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약제들에 대하여 MO 모내기 후 처리를 대조로 SiCL 토양조건에서 시용약량, 혼화심도,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모내기 전 토양혼화처리 (Ronstar, Saturn, TOK, Saturn-S)와 모내기 전 토양표면처리(Machete, PCP, MON-0385)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효과 1차 조사결과(모내기 27일후 조사) 처리구 모두 의 우수한 제초효과를 나타냈다. 2차 조사시(모내기 73일후)까지 이상의 제초효과를 유지한 plot는 Ronstar 전 처리구 및 Saturn-S 3-4kg prod./10a 구였다. 다소 제초효과가 저조한 구는 MON-0385 175g ai/10a구와 TOK 280g ai/10a 혼화구였다. 2. 초기약해 및 생육관계 PCP 1,000g ai/10a의 모내기 전 토양표면처리구가 눈에 뛸 정도로 약해를 내었으나 처리 50여일 후 까지는 회복이 되었다. Saturn-S 4kg prod./10a구에서 초기 국부적으로 미해가 있었으나 곧 회복이 되었고 그 이외의 처리구에 있어서는 거의 약해를 인정할 수 없었다. 3.수량 방임구가 수량감소를 나타낸 이외에는 관행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낸 Plot는 없었다. 특히 관행구보다 증수된 plot는 Machete 210g ai/10a 1DBT 및 2DBT, Ronstar 60g ai/10a 2.5cm 혼화구 및 12cm 혼화구, Saturn-S 3kg prod./10a 혼화구 그리고 MON-0385 175g ai/10a 1DBT구 등이었다.
        4,000원
        17.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재배에 있어서 선택성약제를 찾아내기 위하여 약제에 대한 콩의 저항성실험과 사양토 조건에서 폿트 및 포장실험을 병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에 대하여 고도의 선택성이 있어서 표준시용량의 2-3배량 처리로도 정상 생육이 가능한 약해는 Triallate, Lasso, Machete, Propachlor, Nitrofen, MO, Chloroxuron, Nitrofen+Dinoseb 약제등이었다. 2. 약간의 선택성이 있는 약제는(표준시용량의 1-2배 사용) Propazine, Propazine, Diruon, Metabromuron, Swep, Linuron, HE-314, PCP등이었다. 3. 감수성이 예민하여 표준시용량에서도 고사 또는 심한 약해를 낸 약제는 Simazine, Fluorometuron 이었다. 4. Mathete, Lasso, Kerb, Nltrofen, Nitrofen+Dinoseb, Swep, Linuron, Simazine, PCP 등 약제의 폿트 및 포장실험에서의 비교실험 결과에 있어서 가) 심한 약해를 입힌 약제는 Simazine (포장)이었고 Linuron, Kerb 처리구에서도 부분적으로 약간의 약해를 냈다. 나) Nitrofen, Nitrofen+ Dinoseb, Lasso, Machete, Swep는 초기부터 최후까지 전혀 약해를 불수 없었다. 다) 제초효과는 포장에서의 Simazine 처리구를 제외하고 모든 약제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라) Simazine, Linuron 처리구에 있어서는 특히 피와 바랭이에 대해 약효가 없는 편이었다. 마) 방등산이와 개망초는 Kerb에 대하여 지항성이었다. 바) Lasso, Machete는 화본과잡초에 매우 강력한 살초력을 가졌으나 여뀌 등이 약간의 내성을 보였다. 5, 콩밭 잡초방제를 위하여 사용된 Lasso, Machete, Nitrofen, Swep, Nitrofen+Dinoseb, Linuron, Kerb 구등은 파종후 1회의 약제 살포로 수확기까지 무제초 방임재배가 가능하며 수량면에서도 관행구에 뒤지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1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PPD 효소를 저해하여 카로티노이등 생합성을 억제하는 최근에 등록된 제초제 benzobicyclon 및 mesotrione+pretilachlor에 대한 통일형(장립종) 및 일반벼(단립종)간 약해 발생 차이 및 수량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 MP 및 bezobicyclon에 대한 약해 반응은 벼 생태형에 따라 달랐는데 통일형 벼인 한아름벼, 한아름2호, 다산벼는 대부분 약해인 백화증상이 나타났으나 일반형인 주남조생, 일미벼, 주남벼는 약해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제초제 별로는 MP가 benzobicyclon보다 초기에 약해발생이 심하였으나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통일형 벼는 제초제 처리 후 5일부터 백화증상을 보였고 10일에 약해증상이 뚜렷하였으며 처리 후 20일에는 약해증상이 처리 후 10일 보다 약해지는 경향이었다. 제초제 처리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합성은 백화현상과 비슷하게 butachlor 대비 MP 처리가 benzobicyclon처리보다 초기에 더 억제가 되었으나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3. Benzobicyclon 및 MP 처리에 대한 약해로 통일형벼의 출수기가 butachlor 처리보다 3일가량 지연되었고, m2 당 수수가 11~50개가 적고 등숙비율이 0.9~7.5% 낮아져 쌀 수량은 benzobicyclon 처리가 7~10%, MP처리는 3~5% 감수하였다. 4. 하지만 일반형 품종은 benzobicyclon 및 MP를 처리해도 출수기, 벼 생육특성 및 쌀 수량은 butachlor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2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mixed treatments of wood vinegar and sulfonylurea-based herbicides on weed control,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quality of rice was investigated. Two herbicides were tested namely: imazosulfuron-ethyl+thiobencarb[ethyl-1-(2-chloroimidazo[1,2-α ]pyridin-3-ylsulfonyl)-3-(4,6-dimethoxypyrimidin-2-yl) urea+S-4-chlorobenzyl diethyl(thiocarbamate)], and bensulfuronmethyl+butachlor [methyl α -[(4,6-dimethoxypyrimidin-2-ylcarbamoyl)sulfamoyl]-o-toluate+N-butoxymethyl-2-chloro-2',6'-diethylacetanilid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and 5 treatments. Treatments used were recommended(RH: 100%) and half-recommended(HRH: 50%) application rates of each herbicide. Half-recommended application rates were combined with 1 mL wood vinegar 500mL~;water-1 (500) and 1 mL wood vinegar 1000mL~;water-1 (1000) wood vinegar. Plots for no herbicide treatments were also prepared and used as control. Results showed that wood vinegar significantly increased efficacy of HRH in bensulfuron-methyl+butachlor while high efficacy was already obtained in HRH treatment of imazosulfuron-ethyl+thiobencarb. Wood vinegar did not improve the efficacy of imazosulfuron-ethyl+thiobencarb but improved rice yield. Significantly similar rice yields were obtained in the HRH+1000 WV and RH treatments of both herbicides.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yield components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differences in yield can be attributed to the variations in the spikelet number and ripening ratio. Data on rice quality analysis did not show clear trend on the effects of the treatments on grain appearance and nutritional qualit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