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ause intact FMDV particles (146S) are often unstable in vitro, stabilizing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antigens remains a key challenge in studying viral charateristics. Therefore, finding optimal condition to stabilize the FMDV is essent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ormulations and potentials of several stabilizers such as appropriate buffer, excipients, and storage condition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146S. Inactivated FMDV O-Jincheon (O-JC) was dissolved in various buffer formulations, and stored at 4℃ for two months to evaluate quantity of 146S at every 2-week interval. Among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ris buffered saline (TBS), HEPES buffered saline (HBS), and MOPS buffered saline (MBS), PBS showed more effective 146S stabilization that showed 1.3-1.6 fold higher 146S fraction than TBS, HBS, and MBS after storage for 2 weeks. However, constant dissociations of 146S were observed in all formulations at 8 weeks. Compared with other FMDVs, A22 Iraq and SAT-1, in PBS, O-JC proved to be the least stable in PBS. A variety of excipients including carbohydrate, sugar alcohol, cryo-protectant were tested for the capability in protecting O-JC from dissociation. By adding 4-8% sucrose, more than 60% of 146S fractions were maintained at 8 weeks, those were at least 1.8 fold higher than the PBS-only control. Addition of 1% β-cyclodextrin showed synergistic enhancement in O-JC stabilit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PBS-based buffer together with 4-8% sucrose + 2% sorbitol or 2% sucrose + 2% sorbitol + 1% β-cyclodextrin could help the better stability of the O-JC in vaccine preparation.
목적 : 신체균형 측정기를 이용하여 주시거리와 다양한 시각 상태가 신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총 23명(23.92±2.09세)으로 진행하였으며, 시각 조건은 모두 ‘완전교정, 흐림 조건(시력 0.5 logMAR 미만) 그리고 10° 이내의 시야’이다. 신체 안정성 측정은 ‘3D Guidance‘를 사용하였다. 결과 : 완전교정 상태에서는 주시거리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0). 그러나 흐림 조건에서는 주시거리에 따라 측면 및 전·후면 흔들림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p=0.004, p=0.027), 시야가 10° 이 내로 제한되었을 때에도 유의한 신체 흔들림이 관찰되었다(p<0.050). 결론 : 주시거리에 따라 신체 안정성의 변화가 나타나며, 특히 흐림과 제한된 시야 상태에서는 주시거리에 따른 차이가 더 유의하였다.
김치를 10℃에서 8일간 숙성시켜 산도 0.6~0.7%로 숙성된 김치를 -70℃와 -20℃로 냉동하여 -20℃에서 저장하면서 배추 조직의 elasticity, hardness, 세포 조직의 변화, 드립양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0℃에서 급속 동결한 것과 -20℃에서 완만동결한 냉동 김치중 배추조직의 elasticity는 냉동저장 15일까지 감소하다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hardnes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냉동 방법에 따른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ontrol의 경우 세포벽이 매우 두꺼우며 세포의 모양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20℃로 냉동 처리하여 해동시킨 세포벽들은 많이 손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70℃로 급속 냉동 시료의 경우 세포벽의 손상 정도가 -20℃로 냉동 처리한 시료보다 덜 파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냉동 저장기간 동안 드립의 손실량의 변화는 -70℃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드립양은 3~4%정도로 -20℃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5~6%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investigation, the reservoir stability was reviewed using hydrological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review showed that, Both sites were analyzed to lack embankment height and sidewall height in the event of flooding, and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s to increase st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adding more dam cest and increasing side wall of a spill way. In addition, analysis and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other reservoir deteriorat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