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vocabulary depth and reading fluency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advanced Korean EFL learners in college. By doing so, the scope of paradigmatic relations, as part of vocabulary depth, was extended to encompass associative vocabulary as well as synonyms and antonyms, and reading fluency at the discourse level was considered. For this study, 139 college students were tested on a range of vocabulary depth tests, as well as reading comprehension and text-level reading fluency.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though both vocabulary depth and reading fluency are significant contributors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 predictability of vocabulary depth was larger than that of reading fluency. In addition, associative vocabulary not only revealed additional predictive power for reading comprehension on top of reading fluency, synonyms and antonyms, but also showed stronger predictability compared to synonyms and antonyms.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both vocabulary depth, especially the knowledge of how words are related together, and text-level reading fluency play a crucial role in boost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of even advanced L2 readers.
최근 홍콩에서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을 합격시킨 주류 중등학교들이 급증하고 있다.(2016, 입법회). 이 학교는 이러한 학생의 학습 차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대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학생들이 중국어 학습을 잘 마칠 수 있게 지원하여, 그들의 진학이 구직난을 해소하고 사회 상류로의 진출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Leung et al 2017; Loh & Tam, 2016). (중국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중국어 교육법을 제공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해결해야 할 급선무 문제가 되었다.(shum, 2015).
본 연구는 이러한 홍콩의 상황에 집중하였다. 「阅读促进学习」(Rose&Martin, 2012) 교수법은 비 중국어 사용자 학생들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중등학교 한 곳을 선정하고, 제2외국어 교육 과정을 중국어로 하는 대외한어교육현장에서 제 2외국어 학습 기관(홍콩교육국, 2014) 및 국제 일반 중등학교 교육 증서(IGCSE)의 교육과정 개요를 참조하여, 본 교육과정(커리큘럼)을 수정 하였다. 협업과 회의를 통해 공동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교육현장을 관찰하는데, 교사와 학생들이 모인 소그룹 인터뷰, 필기 및 수업 원본 분석 등의 방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교수법이 학생들에게 설명문 종류의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본문을 자세하게 읽도록 한 후, 그룹 협업을 통해 그 문장에 서 핵심 키워드를 발췌하여 노트에 기록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법(Note Making)을 시행하고, 이어서 학생들은 상호 간의 교류와 협력에 의해 문장 속에 등장한 핵심 단어들과 구 형식, 문장 형식을 활용하여,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글을 창작하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각자 개별적으로 작문을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술한 단계가 학생들이 문장 형식에 따른 다양한 언어 능력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돕는데 효과적이며, 서로 다른 글쓰기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원전 분석 및 소그룹 인터뷰 또한 위 교수법이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과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믿음이 증가한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阅读促进学习 교수법이 학생들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개선하고, 각 교육 절차의 실천적 성과들이 모두 시사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시를 읽는 일은 사물을 읽은 일과 같다. 유식과 무식을 떠나 인간은 생존을 위하여 끊임없이 주위의 대상들을 읽어야 한다. 그런데 인간은 사물자체 혹은 본질에 도달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사물자체가 아니라 사물에 대한 의미생산에 그치고 그 의미는 타자들에 의해 상속되고 갱신된다. 따라서 주/객의 일치를 선언한 그리스도를 제외하고 인간사회에서 객관적인 대상으로서의 사물, 사건, 작품에 대한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견해는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상대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봐야 하는 운명을 지니고 때어났다. 항상 밑바닥에서 시작해야하는 시시포스의 운명처럼. 이런 관점에서 읽어본 본 작품의 내용은 영국의 탄압에 직면하여 식민지 아일랜드의 내/외의 비우호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있는듯하다.
Taking the cognitive psychology approach,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Korean learners’ French text reading. Especially, it examined the readers’ eye movements (i.e., fixation and saccade) recorded by the eye-tracker. To this end, 14 Korean students of the French language at the language level of A2 and B1 or even higher, and three French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reading, the learners’ eyeballs did not follow the text but moved irregularly (i.e., ‘saccade’). The six major results were observed: (1) decoding a word in a syllable unit; (2) more fixation on grammatical words of Korean learners compared to French speakers; (3) reading repeatedly with numerous regressions; (4) irregularity of the duration of fixation; (5) numerous fixed points of long gaze duration; and (6) diversity of reading strategies. This suggest that readers pay a lot of attention when they process words, sentence structure,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ruct Korean learners of French to reconcile spelling and phoneme as well as to reduce the learners’ anxiety towards French texts. Cette recherche, s’inscrivant dans le domaine de la psychologie cognitive, a pour objet de mieux connaître la lecture de textes français chez des lecteurs coréens. Nous avons étudié en particulier les mouvements oculaires (fixation et saccade) des lecteurs, enregistrés à l’aide de l’oculométrie. Pour ce faire, nous avons mené une expérimentation auprès de 14 coréens, étudiants du français, de niveau A2, B1, voire plus, et de 3 français. Le résultat nous a montré que la lecture ne se fait pas de façon linéaire, mais de manière saccadée. En outre, six phénomènes sont particulièrement observés chez les coréens: (1) décodage en syllabique d’un mot; (2) fixation attribuée plus fréquemment aux mots grammaticaux par rapport aux français; (3) lecture répétitive venant des saccades régressives; (4) irrégularité de la durée de fixation; (5) nombreuses fixations de longue durée; et (6) diversité des tactiques de lecture. Ces phénomènes montrent que les lecteurs ont attribué beaucoup d'attention aux traitements des mots, des structures de phrase, etc. Par conséquent, il est nécessaire d’enseigner la correspondance entre graphie et phonie et de supprimer une attitude craintive à l'égard des textes français, chez les apprenants coréen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y of reading text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ou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series published by three publishers were evaluated by Word Critical Factor (WCF). WCF considers cognitive demands for word recognition; it assesses the match of linguistic content in the text with the phonetically regular and high-frequency words that are associated with particular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all of the words that appear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from fou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y two criteria, that is, the ratio of high frequency words and phonetically regular words among 100 running words, and the number of unique words in each textbook.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textbooks’ difficulty levels were very high considering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This was due to the textbooks having a low repetition of words and also the complicated vowel patterns that were above the reading abilities of students. All of these factors combined are what have caused the difficulties presented in English textbooks.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ading text introduces a variety of genres and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skills, most reading text could not assist the reader’s cognitive processing.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using the same text and test-takers' text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312 third-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ok three different English tests, adapting types of test-items from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Each test included items using the same texts, presented in exam preparation books published by EBS in Korea, but different question types. To estimate levels of their topic familiarity, two surveys were carried out. Repeated measures ANOVAs reveal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among the items using the same text with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opic familiarity. The results indicate a greater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than topic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using the same tex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need to manage their reading classes by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the CSAT.
Over the last three decades, various disciplines of discourse analysis have shared a common interest in language use, especially in how people use real language. It is therefore of immediate interest to language teachers when selecting and devising teaching materials or when engaging learners in activities aimed at leading them to be more proficient users of their target language. This paper begins with outlining essential written discourse elements, such as grammatical and lexical cohesive devices, clause relations and larger text pattern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syntactic and semantic cohesion and coherence in written texts. Then, the procedure of a written discourse analysis on a news text is described. The paper ends with a discussion on the insights from the written discourse analysis, which might be applicable, in specifiable ways, to language teaching, focusing on how to apply written discourse elements to teaching written English in real classrooms.
가독성은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해설판의 정보전달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해설판의 가독성이 탐방객의 관심유발과 해설판 읽기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가독성과 해설판의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2003년 8-11월중에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관찰로 탐방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을 대상으로 관찰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중 이용 가능한 350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가독성은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독성 이 높으면 높을수록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가독성과 더불어 관심유도와 선호도도 해설판 읽기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 변수중 선호도는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설판의 가독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해설판 읽기 행동의 증대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xt, task, and L2 reading ability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reading strategy use. The participants performed Word Translation, Theme Summarization, and Question Generation tasks while reading either narrative or expository passages. The strategy use was examin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inkaloud protocols. When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the students’ strategy use patterns were not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text type groups and between the two L2 reading ability groups. The task type seemed to affect the strategy use to some degree, but the difference was not extensive. Overall, a few particular strategies were used very often regardless of the text type, the task type and L2 read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verbal protocols suggested that the task types affected the strategy use to some degree, but the influence was limited as w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is short essay is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a presentation read at the annual Institute seminar held at SNU on the 5th of December to exchange views on the function of read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t begins with the discussion of a need on the paπ of policy makers of English teaching to reassess and revise the dominantly pragmatic and instrumentalist philosophy particularly working in the pedagogy of reading in English. According to the revisionist review of the present writer, the guiding spirit of the 4-skill orientation has so far tended to overvalue the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r ’grammar’ as is termed here to contrast with the 'text’ that follows) at the cost of the human or readerly values carried by signifying textuality of the reading material. Language should and is fated to reflect and realize the lived experience of concrete and individualized people and society. English is a natural and cultural language that embraces a11 these cultural resourcefulness and expressiveness before it is a foreign language. Strategies of reading pedagogy ought to reflect this fundamental as well as human or value-oriented aspect of language despite the limited level of the language on the part of its leamers.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읽기 능숙자 집단과 미숙 자 집단을 나누어 사고구술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유형별로 두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 양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설명문을 읽을 때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만 서사문을 읽을 때 전략 각 범주의 분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능숙자 집단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미숙자 집단은 거의 같은 전략을 사용하 는 경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능숙자 집단이 서사문보다 설명문에 더욱 뛰어나고 우세를 가졌지만 미숙자 집단은 설명문보다 서사문을 조금 더 빠르게 읽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 이독성 공식의 하나인 Dale-Chall 공식을 사용하여 한국어능력시험 11회부터 21회까지의 읽기 지문을 분석하고 산출된 이독성 지수로 각 등급별 난이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영어에 기반한 다양한 공식 중 특히 가장 정확한 공식인 Dale-Chall 공식을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지문 분석을 위해 공식 측정 기준을 재설정하였다. 출제된 텍스트에서 발견된 문장과 어려운 어휘의 수는 이독성과 관련이 깊었다. 상․중․하에 따른 난이도 정도는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고 초급의 경우 텍스트의 난이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반면 중․고급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단어 수가 적절하게 분포되었다. 따라서 단어 난이도의 적절한 유지를 통해 텍스트의 난이도 균등성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