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for sesame cultivation in a double cropping system after harvesting onion and garlic in the Muan region. It compared the growth, yield, disease susceptibility, and labor hours for two varieties of sesame (Landrace and Geonbaek sesame) at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Plant height in the Landrace sesame showed no significant variation with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whereas Geonbaek sesame increased in height with higher planting densities. Both cultivars increased the number of viable branches at lower densities. The stem diameter was thicker in Landrace sesame with decreasing planting density, while in the Geonbaek sesa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m diameter regardless of planting density.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for the Landrace sesame increased with decreasing density, whereas Geonbaek sesa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Yield for both cultivars was higher at greater densities. However, the late direct sowing time and shorter cultivation period significantly reduced the yield of sesame cultivated in a double cropping system compared to that of sesame grown in a single cropping system, due to the late direct sowing time and shorter cultivation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ease occurrence based on planting density. Furthermore, although labor hours did not vary with planting density when comparing the labor hours required for cultivating the Landrace sesame and Geonbaek sesame, the latter needed less labor time. This study reveals the optimum planting distance and density for sesame cultivation as a double cropping after harvesting onion and garlic, providing invaluable data for establishing sesame double cropping cultivation techniques.
        4,0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ithin sesame plant when subjected by regulating water leve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ground water level(GWL) 0, 20, and 40 cm in a paddy field soil. The results showed that sesam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shoot length, stem thickness,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same at GWL 0 cm at 10 days after treatment(DAT) and 20 DAT than in those grown at a GWL of 40 cm. The shoot length and stem thickness of sesame grown at a GWL of 20 c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grown at a GWL of 40 at 10 DAT. The chlorophyll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plants grown at a GWL 40 cm at 10 and 20 DAT over sesame grown in GWL of 0 and 20 cm. The stomatal conductance remained consistent in all the GWL at overall time period. Moreover, the Ca content of sesame was reduced in both GWL 40 cm and 20 cm at 10 DAT and 20 DAT as compared to GWL 0 cm. The K content was increased at 10 DAT but was reduced at 20 DAT at both GWL 20 cm and GWL 40 cm over plant grown at GWL 0 cm. Likewise, the P content was decreased at 10 DAT in both GWL 20 and GWL 40 cm 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20 DAT in GWL 20 cm as compared to plant at GWL 0 cm. Since the experimental soil is paddy field soil these results helps to understand the efficiency of sesame to tolerate the different stress levels of soil moisture. Therefore, these research may help to predict the appropriate level of irrigation to be provided at different time period for the sesame if it is grown in rice field as a commercial crops.
        4,3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참깨 과립종자의 저장 시 활력손실 정도를 파악하여 적정한 저장 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저장고의 온도 를 4, 15, 25oC로 하고 상대습도를 40, 60, 80%로 달리하여 1개월 간격으로 4개월간 저장기간별로 종자의 수분함량 및 활력유지 정도를 비교하였다. 1. 무처리 종자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점토 단 독처리이거나 점토성분이 함유된 과립에서는 수분함량이 많았 고, 활석처리에서는 종자수분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상대습도가 80%일 때는 4oC에서 15oC와 25oC일 때보다 종자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개월째는 종자수분함량이 가 장 높았으며 이때 발아율은 가장 낮았다. 3. 종자활력검사결과를 종합해보면 점토+질석의 조합으로 과 립화할 경우 15oC이하이면서 상대습도 80%이하로 저장할 경 우 50%이상의 활력을 3개월 이상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25oC로 저장할 경우 2개월까지만 가능하였다. 점토 +피트모 스 +활석의 조합으로 과립화할 경우 15oC이하이면서 상대습 도 80%이하의 조건에서 2개월까지 50% 이상의 활력유지가 가능하였지만, 25oC이하와 상대습도 80%이하의 조건에서는 1 개월까지만 저장 가능하였다. 활석 단독으로 과립화할 경우 25oC이하 및 상대습도 80%이하의 조건에서 1개월까지만 저장 가능하였다. 따라서 점토+질석의 조합으로 과립화하였을 때 종 자의 저장수명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깨 종자의 발아율 향상 및 초기생육 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의 적정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priming 약제 및 농도,priming 기간과 온도 및 priming후 저온 및 고온에서의 발아율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참깨 종자의 Priming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PEG 6000, 농도는 −0.75MPa이었으며, priming처리 기간은 15에서 4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 적이었다.참깨 종자의 priming처리가 최종 발아율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지만 초기 발아율 향상 및 T50 단축에 효과 적이었다. 참깨 종자의 Priming처리는 20oC 이상 보다는 15oC 저온에서 T50 단축에 효과적이었고, 발아율도 향상되어 재배적온보다는 저온하에서 Priming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iming 처리 후 건조 온도 조건에 따른 발아율에는 차이가 없어 25oC에서 3시간 정도 건조 시키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었다.
        4,000원
        6.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깨 시들음병(病) 발병환경(發病環境)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3년(年)과 1985년(年) 2 개년간(個年間) 년(年) 참깨 연작포장(連作圃場)에서 광산깨를 4월(月) 20일(日) 외(外) 5시기(時期) 직파재배(直播栽培)하여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발병정도(發病程度)와 발병환경(發病環境) 요인중(要因)中 온도(溫度)와의 관계(關係)를 비교검토(比較檢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참깨 생육(生育)에 부적당(不適當)한 의 비교적(比較的) 저온조건하(低溫條件下)에서 재배기간(栽培期間)이 55일(日) 경과(經過)된 구(區)에서 2개년(個年) 평균발병률(平均發病率) 83.7%, 40일(日)이 경과(經過)한 파종구(播種區)는 68.2%, 25일(日)이 경과(經過)한 파종구(播種區)는 59.4%로 저온(低溫)에 오래 재배(栽培)된 것일수록 발병(發病)이 심(甚)하였다. 2. 비교적(比較的) 고온(高溫)인 에 파종(播種), 재배(栽培)한 구(區)에서는 3% 미만으로 발병율(發病率)이 극(極)히 낮았고 6월(月) 15일(日) 파종구(播種區)에서는 적기(適期) 파종기(播種期)인 5월(月) 20일(日) 파종구(播種區)에 비(比)하여 수량(收量)이 13% 증수(增收)되었다. 3. 병원균(病原菌) 인위접종시(人爲接種時) 의 저온하(低溫下)에서는 묘령(苗令)에 관계(關係)없이 100% 발병(發病)되었고 4. 의 고온하(高溫下)에서는 묘령(苗令)이 어린 쪽이 발병(發病)이 적었고 많은 쪽이 발병(發病)이 심(甚)하였다.(新梢上端葉)과 2차생장(次生長) 신초(新梢)의 엽(葉)에 주(主)로 가해(加害)하였다. 4. 사과굴나방의 유충기생봉(幼蟲寄生蜂)으로는 깡충좀벌과(科)의 H. testaceipes, 좀벌과(科)의 수종(數種) 및 고치벌과(科)의 Apanteles sp.가 조사(調査)되었고, 깡충좀벌은 년(年) 4회(回) 발생(發生)하였으나, 좀벌류(類)는 사과굴나방과 비슷하게 년(年) 5회(回) 발생(發生)하였고, 고치벌은 단지 9월(月)에만 소량(少量)이 발생(發生)하였다., 엽당(葉當) 마리의 가해시(加害時) 피해엽(被害葉)에 대한 피해면적율(被害面積率)은 정도(程度)였다.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pH 5.0에서 침전시킬 때 평지종실단백질로부터 Phytate를 제거하는 효과가 가장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수자의 대부분(87.3%)이 매일 또는 때때로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4. 장수자(長壽者)의 과거(過去)와 현재(現在)의 중요 식품(食品)의 섭취상태(攝取狀態)를 주(週) 회(回)이상 섭취(攝取)로 비교(比較)하여 보면 육류(肉類), 어류(魚類), 난류(卵類) 및 두유제품(豆類製品)은 50.4%, 67.5%, 우유(牛乳) 및 유제품(乳製品)은 26.6%, 51.5%, 야채류(野菜類)는89.9%, 81.0%, 지방질(脂肪質) 식품(食品)은 58.9%, 64.0%, 해초류(海醮類)는 57.0%, 62.9%를 각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이들 장수자(長壽者)의 은퇴 후 취미(趣味) 및 오락활동(娛樂活動)의 내용(內容)을 보면 TV 시청(視聽)(79.2%), 손자(孫子)와의 대화(對話)(54.2%), 집안에서 잔손질(35.4%), 신앙생활(信仰生活)
        4,000원
        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same (Sesamum indicum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ilseed crops with high oil contents and rich nutrient value. The development of a core collection could facilitate easier access to sesame genetic resources for their use in crop improvement programs and simplify the genebank management.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re collection of sesame based on 5 qualitative and 10 quantitative trait descriptors on 2,751 sesame accessions. The accessions were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 About 10.1 percent of accessions were selected by using the power core program to constitute a core collection consisting of 278 accessions. Mean comparisons using t-test, Nei’s diversity index of 10 morphological descriptor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raits indicated that the existing genetic variation for these traits in the entire collection has been preserved in the core collec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 germplasm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rograms in sesame.
        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same (Sesamum indicum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ilseed crops, having seeds and its edible oil that are highly valued as a traditional food.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health value of sesame seeds and oil. Among the bioactive components in sesame seeds, lignans and tocopherol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ajor antioxidants responsible for the resistant oxidative deterioration of sesame seeds and oil. These same antioxidants have been reported to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human disease such as neurodegenerative disease. This review summarizes the chemical properties of lignans including lipid-soluble lignans, lignan glucosides and tocopherols, and their bio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ity and neuroprotection. We also review the biosynthesis of lignan in sesame seeds and transformation of lignans during food processing in sesame oil. Sesame seeds and its antioxidants may be a potent natural agent with both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use in preventing human illness such as neurodegenerative disease.
        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plication of genotype by environment (G~;~times~;E ) interaction would be used for identifying optimum test condition of the varietal adapt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breeding purpose.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used to perform additive main effect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 (AMMI)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for G~;~times~;E interaction were observed for all variable examined. For yield, 0.18 of total sum of squares corresponded to G~;~times~;E interac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genotypic scores of the first interaction principal component axis (IPCA 1) for agronomic character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IPCA 1 for yield and capsule bearing stem length (CBSL),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OC). The biplot of grain yield means for IPCA1 which accounted for 34% of the variation in total treatment sums of squares showed different reaction according to G~;~times~;E interaction, genotypes and environments. Taegu showed relatively lower positive IPCA1 scores, and it also showed smaller coefficient variation of yield mean where it is recommendable as a optimal site for the sesame cultivar adaptation and evaluation trial. In case of variables, Yangbaek and M1 showed relatively lower IPCA1 scores, but the score direction showed opposite each other on the graph. Ansan, Miryang1, Miryang4, and Miryang6 seemed to be similar group in view of yield response against IPCA1 scor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to select experimental site for sesame in Korea to minimize G~;~times~;E interaction for the selection of promising genotype with higher stability.
        10.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9월 하순~10월 중순에 호밀, 헤어리벳치, 귀리 등을 파종 후 이듬해 5월 상순 환원하여 2004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윤작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여 단일연작 48.9kg/10a 대비 33% 증수되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하여 10~15% 증수되었고,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윤작 시 연작에 비하여 병발생, 토양의 시들음병균 밀도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과 헤어리벳치재배에서 양호하였고, 공극률은 윤작과 연작의 호밀재배에서 가장 높았다. 연작기간이 경과할수록 시들음병 및 역병 발생이 많았으며, 연작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수량도 가장 많았다.
        13.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samin and sesamolin, antioxidant lipidsoluble lignan compounds, are abundant in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 oil and provide oxidative stability of oil related to sesame quality. The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s of 403 sesame land races of Korea were determined by HPLC analysis of methanol extract (HPLC value), and their total lignan content was compared with those by using UV-Vi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UV method) of methanol (UV-MeOH value) and hexane (UV-Hexane value) extracts. HPLC values of total lignan content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UV-Hexane (r=0.705**) and UV-MeOH (r=0.811**) values. The UV values from both the extracts were 3.8-4.7 times higher than those of HPLC values. Lignan content was overestimated by UV method because total compounds in the mixture solution were quantified by absorbing at the same ultraviolet wavelength as in HPLC method. UV method could more rapidly analyze small amount of sample with higher sensitivity of detection than HPLC method. Average contents of lignans in sesame germplasm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2.09~pm1.02mg/g of sesamin, and 1.65~pm0.61mg/g of sesamolin,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variation for lignan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UV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samin and sesamolin could be practically used as a faster and easier method than HPLC by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1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농경지활용도를 높이고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참깨 단작 등 4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량은 보리+참깨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작부유형간에는 보리+참깨는 후작물에서 많았으나, 그 외에서는 전작물에서 많았다.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의 작부유형은 전ㆍ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소득도 참깨 단작에 비하여 각각 21%, 61% 높았다. 참깨+배추에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들깨가 후작물로 도입시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에서 양호하였다.
        20.
        198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 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 16.7 7.2cm)당 10m 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