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2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음악동화 모의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태도 향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 소재 4년제 대 학 ‘아동음악교육’ 수강 여학생 20명이었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음악적 개념(리듬, 멜로디, 빠르기, 강약, 화성)과 연계가능한 그림책 20권을 선 정·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노래지도,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감상 등의 활동이 포함된 음악동화를 창작하여 팀별 모의수업을 기획·실기활 동 및 발표하게 하였다. 교육은 주 1회 3시간씩 총13회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동일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프로그램은 음악교수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인 ‘개인교수 효능감’과 ‘교수결과기대’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음악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태도에서는 자신감, 편안함, 감정적 판단, 필요성 그리고 전체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 의 음악교수효능감 증진과 음악활동에 예바유아교사의 긍정적 태도에 효 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 본 프로그램 을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현장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 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화에 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7,000원
        2.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적 영향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면 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절실 히 필요한 실정이다. 공급자 중심의 단편적인 보육 정책이 아닌 보육교 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애착형성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며, 영유아의 애착형성에서 심리적안녕감과 교수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애착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8,300원
        3.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 resources are a core compon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and scientific modeling can be used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water resources. With recent shifts internationally toward standards-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ers have noted the ne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use curric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cience teachers interact with the curriculum and help better determine the rol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curriculum play in how they implement the curriculum in teaching water resources. The concept of ‘curriculum use’ relates to the ways in which a teacher interacts with and is influenced by material resources constructed to support instruction. Further, this study focused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role within the teachercurriculum relationship, where these might range from that of an enactor of a planned curriculum to that of a collaborator with curriculum material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ir notions influence their curriculum use. Three teachers were purposely selected for a post-curriculum implementation interview follow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with 21 science teacher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Finally,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 better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the curriculum emerged which highlighted how curriculum resource designs can be improved to take advantage of how teachers work with curriculum materials.
        4,800원
        4.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혁신교수법을 적용하여 운영한 지역학 수업, 구체적으로는 <베트남학입문> 교과목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 12 명과의 면담 자료를 근거이론에 기반해 분석했다. 총 52개의 개념과 18 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6개의 상위 범주로 통합한 뒤, ‘혁신교 수법을 통한 학습 성과’라는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학습 성과를 ‘연결형’, ‘도전형’, ‘기본 충실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능동적이고 실천적인 탐색 학습자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교 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결형’ 학습자들은 언 어 학습에 대한 흥미 저하를 사회적 이슈나 다전공 분야와 연결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강화했다. ‘도전형’ 학습자들은 현지어 자료를 탐색하고 현 지인과 직접 교류하는 과정에서 정보 수집과 분석, 문제해결 과정을 능 동적으로 수행했다. ‘기본 충실형’ 학습자들은 혁신교수법을 적용한 구조 화된 학습 환경에서 언어 학습에 대한 만족과 몰입을 경험하며 베트남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6,300원
        7.
        202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erimentally compares the efficacy of 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SLT) versus traditional methods in Comprehensive Chinese Language Courses (CCLC).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data analysis, the study confirms SLT's superior efficacy in enhancing grammatical competence and productive skills over traditional methods. The findings highlight SLT's effectiveness in creating authentic communicative contexts, fostering practical language application, and supporting skill integration.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adopting SLT in CCLC, particularly for grammar instruction and productive skill development,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textually grounded teaching practices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4,600원
        8.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학습 참여동기, 교수 신뢰, 학습 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D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 20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인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학습 참여동기, 교수 신뢰,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 신뢰는 부분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 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 이들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강화하고 교수와 학습자 간 상호신뢰를 구 축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6,600원
        9.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서 읽기 및 스토리텔링을 통한 교 수법(TPRS)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중국어 교육에서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언어습득 이론에서 크라센의 입력 가설을 바탕으 로 TPRS의 개념과 절차를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중국에서 발표된 다양한 TPRS 교육 사례를 분석했다. 사례 분석 결과, TPRS 방식은 의미 중심 입력을 통해 학습자 의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듣기, 말하기, 읽기, 문법 및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토리 기반 수업이 언어와 문화를 통합하고 학습자 의 공감을 촉진하며 자발적인 말하기를 장려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스토리 구성, 수업 설계, 교사 역량 부담, 전용 교재 부족 등의 과제가 존재 한다. 국내 중국어 교육에서 TPRS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토리 뱅크 구축,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기존 스토리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6,600원
        10.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a pedagogical approach to learning modern Greek imperative forms using machine translation and evaluates its relevance in language education. While imperatives frequently appear in textbooks and exams, they present challenges for beginners, highlighting the need for effective instruction. Machine translation can serve as a practical learning aid in this context. The study h as tw o k ey a ims: e valuating t he q uality of G reek-to-Korean imperative sentence translations from Google Translate and DeepL, and identifying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for helping students recognize and acquire imperative forms, specifically in instructional texts. The analysis shows that although machine translation captures core meanings, it struggles with contextually accurate expressions and complex syntax. The study suggests using machine translation to familiarize beginners with imperative forms and support intuitive learning. For more advanced learners, comparing machine and human translations can promote deeper grammatical understanding. Ultimately, machine translation can function not only as a translation tool but also as a means for linguistic analysis and grammar aware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5,800원
        11.
        202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신설된 고등학교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의 탐구 활동 에서 교육과정의 교수·학습의 방향이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이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인간과 경제활동 교육과정은 경제학의 기본 원리나 개념에 대한 설명보다는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경제 문제를 자신의 삶과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체험 활동을 구현했 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수·학습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디어 활용 학습, 협동 학습, 토의·토론 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게임 학습, 프로 젝트 학습, 시뮬레이션 학습, 인공지능 활용 학습 등 기존의 경제 교과서에서는 잘 다루지 않았던 교수·학습 방법들이 새롭게 시도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지역사회 경제 전문가와의 협력 학습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에서 시도 된 다양한 체험 활동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제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000원
        1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A대학의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적용된 강의를 수강한 514명의 학생이며,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학습 역량 변화를 측 정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 만족도 평균도 4.52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학생 퍼실리테이터 활용,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학습 사이클 적용,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등의 요소가 학습 성과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만족 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향후 개선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 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강의식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제 해결형 수업 모델이 실제 대학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학생 퍼실리테이터, 에 듀테크, 경험학습 사이클 등을 통합한 구체적인 운영 사례를 제시함으로 써, 타 대학에서도 적용 가능한 실천적 교수 전략을 제공하였다. 셋째, 혁신교수법의 효과성 평가 체계와 개선 방향(예: 퍼실리테이터 양성, 실 습형 수업과의 연계 등)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육 정책 수립에 기초자 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5,700원
        1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기존 메타버스 관련 개별 연구를 혼합연 구의 방법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수업 모형 개발을 통해 구체적인 교 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차 선정된 한국 어교육 분야의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52편을 대상으로 통합 요소를 도출하고, 양적·질적·혼합적 방법으로 결과를 통합하였다. 먼저 양적 통 합 결과 교육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 학습자 대상 및 숙달도 수준의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혼합적 통합 결과 메타버 스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과 기대, 몰입감 및 실재감과 관련된 의견을 통합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질적 통합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수 업 모형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 방안과 방향성 내용을 통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활용 모듈식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안 하였다. 이 모형은 지식 중심, 상호작용 중심, 수행 중심 모듈로 구분되 며 수업 환경이나 학습자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효용성이 높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8,900원
        14.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ategies that teachers employ when presenting the meaning and form of a novel English word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is case study observed and interviewed three teachers who taught five ASD student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varying language proficiency.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a top-down approach, based on the vocabulary teaching strategies commonly used with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 and a bottom-up approach, based on the emerging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similar to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new English word were introduced by connecting to the first language, providing first language definitions, relating to real objects and phenomena, encourag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elicitation, and conducting oral drills and word spelling. However, unlike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 the teachers presented English vocabulary to ASD students while making an effort to capture their attention and engag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teacher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5,800원
        15.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on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has seen a relatively late start in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is little experience in teaching handwritten characters in previou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for non-native speakers have developed gradually. The latest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list the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 as a separate item, strengthening the guid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of character recognition and writing principle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It also allows us to re-examine the issue of handwritten instruction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those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his paper examines issues in Chinese character teaching based on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formation, focusing on three levels of mastery: whole character, component, and stroke. The component teaching method has gained a high level of attention in recent pedagogical circles, and this method offer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troke instruction, often overlooked, is also essential for mastering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Stroke instruction goes beyond merely practicing basic strokes and their order and emphasizes understanding of the logic behind stroke writing.
        5,1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과정과 교육방식 현황분석을 통 해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효과적인 교육방식 적용 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 적인 교육훈련기관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육방식, 그리고 교육목표와의 연계성 등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특성과 교육목표에 적합한 교육방 식 적용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육훈련기관 의 교육운영계획서 및 관련자료, 선행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 으며, 결과에 따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상관없이 대면 교육방식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다. 둘째 하이브리드 교육방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셋째, 교육방식과 교육목표의 정합성 정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교육방식과 무관하게 유사한 교육목표 유형을 설정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방식 채택기준 에 대한 표준화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6,7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의 관 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 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가 적용되었다. 분석 결 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 변화개방성, 전문성 지원환경, 디지 털 놀이지원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 량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 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하여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지원환경을 중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 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5,8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원장의 진성리더십, 교직 원의 지지, 조직공정성, 교사 인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 보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2월부터 5월까지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초임 교사로 재직 중인 유아교사 418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 트스트랩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과 교사 인성은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또한 교사 인 성은 교직원의 지지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초임유아교사 의 교직헌신을 높이는데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의 공정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들을 높여내는 것이 필요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에서는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 공정성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본 다.
        6,6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 기술이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됨에 따라 ‘혼합형’ 수업 교육 모델이 대학 교의 개방 교육에 점차 융합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대학교들은 시대의 조류를 따라 현대 정보 기술과 원격 개방 교육의 결합을 통해 온라인 핵심 과정, 온라인 학습 공 간, 온라인 교수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온라인 학습 평가, 온라인 교수 관리 등을 중심으로 한 ‘혼합형’ 교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개방대학의 ‘응용 한국어’ 전공 교재 편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한 자율 학습을 강조하는 하는 교재 편찬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 시대에 적합한 교재의 내용 및 디자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는 한국어 발음, 전문 용어, 한국어 문법 및 문법 프로젝트, 평가 방안 등 교재 편찬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각 항목 별로 제시되는 편찬 순서를 구체적으로 소 개하였다.
        6,1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academic Korean curriculum for immigrant students in grades 5~6, analyzing i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Korean achievement and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academic Korean during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llaboratively developed academic Korean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academic Korean achievement of immigrant student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ree assessments.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 discussion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curriculu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academic Korean proficiency and their learning in other subjects. However, learning difficulties and elevated levels of anxiety during the course were common among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achievement levels.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proposed several strategies for more effective academic Korean teaching, such as expanding individualized support and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students’ families and homeroom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lies in its empirical demonst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Korean teaching, 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6,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