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an 8-ja (1,66 m) gnomon built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127°22′32″ N, 36°23′57″ E) in 2011. This gnomon is an astronomical instrument with the same function as the Small Gnomon, which was built in 1440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The length of the column’s (or crossbar’s) shadow cast by the sun at the meridian passage was measured for a total of 303 days out of the 1,492-day observation period, which lasted from December 2015 to December 2019. The shadow lengths showed a measurement error of -0.8 to 1.2 cm compared to modern calcul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estimated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using shadow lengths obtained from modern calculations for 50 days befor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This calculation method was first introduced in the Daming Calendar (462) by Zu Zhongzhi (祖冲之, 429-500) and was applied to the Shushi Calendar (1281) by Guo Shoujing (郭守敬, 1231~1316).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did not demonstrate a constant value on the days befor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but showed a decreasing pattern, which had a constant slope each year. The tropical year can be obtained from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of two consecutive years. The fractional part of the tropical year (0.242 189 days) was estimated 0.242 789 ± 0.003 570 days in 2015-2016 (using data from 23 days both befor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and 0.242 480 ± 0.004 616 days in 2016-2017 (using data from 45 days both befor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Ultimately, the length of the tropical year estimated from the shadow lengths measured by the KASI’s 8-ja gnomon achieved an accuracy of 365.24 days. The observation value of the 8-ja gnomon showed an error of 0.1624 (±0.1229) days. It was found that this actual measurement error could result in an error of 3.9 h in the estimation of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or the accuracy of the length of the tropical yea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겨울철 강수량이 음()과 양(+)의 극값으로 각각 관측된 2021/2022년과 2023/2024년 사 례를 중심으로, 북극 성층권부터 열대 태평양까지 이어지는 전구 규모 대기 변동이 동아시아 대륙-북서 태평양을 거쳐 중국 동부-황해-한국 지역 대류권 하층 강수 발생 메커니즘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였다. 1991-2024년 동안 한국 겨울철 강수량은 연평균 0.55±0.80 mm yr1 , 강수일수는 0.04±0.08 day yr1로 증가하였으나, 2021/2022년에는 74.9 mm, 2023/2024년에는 +150.1 mm의 극단적 아노말리가 발생했다. 2021/2022년 겨울에는 북극 성층권 냉각으로 강한 극소용 돌이가 발달해 중위도 대류권 상층이 온난해졌으나, 티벳 고원의 눈 덮임으로 형성된 한랭 고기압이 중국 동부-황해-한 국에 북서풍을 강화하고 수증기 발산을 유도함으로써 강수량이 크게 줄었다. 반면 2023/2024년 겨울에는 성층권 돌연 승온과 엘니뇨가 겹쳐, 서태평양-남동아시아 해역 해수면 온도가 양(+) 편차를 보이는 가운데 온난 고기압이 대류권 하 층 남서풍을 강화해 수증기 수렴과 구름 생성을 촉진하여 극단적인 강수량 증가로 이어졌다. 결국 북극-열대 태평양 간 그리고 동아시아 대륙-북서 태평양 간 외부 요인이 내부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국 겨울철 강수량 극값 변동을 유발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겨울 몬순 기후 예측 및 이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ENSO) does not appear to regulate TC activity over Korea. By dividing the TC season into two sub-seasons, i.e. summer and autumn, we found the opposite response of TC activity over Korea to ENSO phases between the sub-seasons. In summer, about 1.2 more TCs affect Korea during El Niño than during La Niña, while about 1.2 fewer TCs do so in autumn. The opposite responses to ENSO could redu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SO and TC activity over Korea when the entire TC season (July to October) is considered. In summer, the southerly anomaly over the southern sea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eastward retreating subtropical high allows a greater number of TCs to approach Korea during El Niño compared to La Niña. On the other hand, in autumn, the northwesterly anomaly due to the westward extension of the subtropical high leads to a smaller number of TC approaches.
천적과 함께 천적의 서식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Natural Enemy in First method; NEF전략을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적용하여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5년간 지속적인 총채벌레 밀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천적 적용 3년차에는 총채벌레 의 평균 밀도가 엽당 1.8마리로 전년대비 64.1%, 5년차에는 엽당 0.003마리로 전년대비 99.6%의 밀도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최초 천적 방 사 시의 천적 밀도와 비교해서 4년 후에 평균 31배 이상 높아졌다. 따라서 지속적인 천적의 적용과 해충 밀도가 증가하기 전에 예방적으로 천적을 처리하는 NEF전략이 총채벌레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산 중·소경목 이용확대 및 목재마루판으로써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남양재인 티크, 멀바우와 국내산재인 낙엽송과 백합나무를 혼합적층한 직교형적층패널을 제작하였고, 상온침지 및 내수 침지박리시험을 실시하여 치수안정성과 내수성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24시간 침지 후 측정한 흡수율은 3.4% - 6.8%의 범위에 있었고, TLa (Teak-Larch)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흡수두께팽창률은 TTu (Teak-Tulip tree)가 4.7%로 가장 낮았고, TLa가 7.0%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La를 제외한 모든 시험편이 KS에 고시된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6%이하에 부합하였다. 내수침지박리시험 후의 박리율의 경우, TLa가 1.1%로 가장 낮았고, MLa (Merbau-Larch)가 50%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Tu (Merbau-Tulip tree)와 TLa는 KS에 고시된 품질기준에 부합하였으나, MLa와 TTu는 고시된 품질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내수침지박리시험 후의 흡수율과 흡수두께팽창률은 각각 13.3% (TLa) - 29.1% (MTu), 7.5% (TTu) - 9.8% (MTu)의 범위로 흡수율은 4.3배, 흡수두께팽창률은 1.4배 상온침지 후의 그것보다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recent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common bed bug and tropical bed bug in shared areas highlights the need for rapid species identification at infestation sites, which is crucial for implementing targeted control measures due to differences in genetic and physiological traits. In this study, molecular diagnostic methods were developed using species-specific ITS2 sequences. Both multiplex PCR an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otocols with a DNA release method successfully distinguished between the two bed bug species regardless of developmental stages in 0.5~2.5 hours, even with dead specimens. Especially, LAMP's simplicity and speed make it applicable for rapid and accurate bed bug diagnosis at infestation sites.
Vietnam is a country in Southeast Asia, long from north to south, with temperate, subtropical, and tropical climates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Based on the results of two years of insect surveys in the subtropical and tropical regions of Vietnam,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Noctuoidea (Insecta: Lepidoptera) in the two survey areas, Bach Ma National Park and Protected Forest in the Vạn Xuân region. In addition, the host flora of the identified moths were analy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host communities.
본 연구에서는 지역 영역 기상 수치 예보 모델의 여러 수평 영역 및 수평 해상도에 따른 이상적인 열대저기압 의 진로와 베타자이어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모델의 이상적인 초기 조건은 경험적인 함수로 생성된 3차원 축대칭 모 조 소용돌이와 허리케인 활동 시기의 평균 대기 조건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델 설정에 따른 이상적인 열대저기압의 변 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배경 흐름은 제거되었다. 수치 모델의 수평 영역 및 수평 해상도에 따른 이상적인 열대저기압의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지역 영역 수치 모델로서 W RF (Weather Research a nd F orecasting) 모델을 사용하였다. 모의된 열대저기압의 바람장으로부터 베타자이어를 추출하기 위해, DFS (Double-Fourier Series) 국지 영역 고차 필터 를 사용하였다. 모델의 수평 영역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베타자이어의 구조와 강도가 약해졌으며, 이는 열대저기압 진로 의 차이를 발생시켰다. 수평 영역의 크기를 본 연구의 실험에서 가장 작은 영역인 3,000 km3,000 km로 설정하였을 경 우에 베타자이어 통풍류의 서진 성분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수평 영역을 더 넓게 설정한 실험들에 비해 열대저기압의 진로가 동쪽으로 편향되었다. 본 결과는 열대저기압과 관련된 바람장 전체를 포함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작은 수평 영 역을 사용할 경우, 열대저기압의 진로가 적절히 모의 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반면, 5,000 km5,000 km와 6,000 km 6,000 km의 수평 영역에서는 그 민감도가 매우 작게 나타났다. 수평 해상도가 감소할수록 이상적인 열대저기압의 진 로는 매우 서쪽으로 편향되었다. 베타자이어의 크기와 강도도 수평 해상도가 감소할수록 크고 더 강하게 나타났다.
As global warming and consumer’s preference for tropical/subtropical fruits increase, the number of orchards cultivating tropical/subtropical fruits in Korea is increasing. Accordingly, concerns about the introduction of exotic invasive pests that host tropical fruits. In this study, efficacy of ethyl formate(EF), as alternative to methyl bromide(MB), was evaluated. Commercial trial of EF was conducted in mango post-harvest storage conditions for controlling Scirtothrips dorsalis. Application of 10 g/m3 of EF for 4 hours at 10 ℃ showed proven efficacy on S. dorsalis without any phytotoxic damage on mango fruits in that condition.
Lovenia elongata is a member of the family Loveniidae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tropical echinoids. This species has a broad distribution range in the sub- and tropical regions of the Indo-Pacific Ocean, extending from the Mozambique to the Hawaiian Islands, and from southern Japan to northern Australia. It is commonly found in subtidal areas and on coral reefs within these regions. This species was for the first time recorded from the Ulleungdo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 teardrop-shaped test that reaches up to 5 cm in length, with a deep groove at the front and tapered at the back end. The petaloid is not obvious, and the primary spines are long and band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the newly recorded L. elongata in Korea.
The biological efficiencies of promising Pleurotus spp. were evaluated.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tuberregium,and Pleurotus sajor-cajuwere investigated at temperatures of 22oC, 20oC, and 18oC to determine their ability to adapt to temperatures that are likely to be found in subtropical reg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ubstrate comprising Popular sawdust 60% + cotton seed 20% + beet pulp 20% under a relative humidity of 6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biological efficiency between the species: P. tuber regium 128.84% at 22oC, P. ostreatus 108.41% at 22oC, and P. sajor-caju is 80% at 20oC. The common temperatures at which all species showed the highest biological efficiencies were 22oC and 20oC.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evaluated species was equal to or surpassed biological efficiencies reported in tropical environments, thereby demonstrating a potential opportunity to adapt to tropical environments without compromising quality standards.
열대저기압이 한반도로 접근할 때 중심최대풍속이 34 knot보다 약해졌더라도(weak tropical cyclone; WTC) 수 도권 지역으로 상륙하면 상당한 피해를 일으키지만 WTC만 독립적으로 조사한 학술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 따르 면 WTC 활동은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DO가 음의 위상일 때는 양의 위상일 때보다 95% 신뢰구간에서 유의하게 더 많은 WTC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DO 양의 위 상에 비해 음의 위상 시기에는 북서태평양 북부에서 양의 상대소용돌이 아노말리가 나타난 반면, 북서태평양 남부에서 는 강한 연직바람시어와 음의 상대소용돌이 아노말리가 나타났다. 이런 조건 하에서 열대저기압의 발생위치가 보다 북 쪽으로, 즉 동아시아 대륙에 더욱 근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열대저기압의 전체 생애가 짧아졌을 것 이다. 게다가 PDO 음의 위상 시기에 일본열도 상공에 자리한 고기압성 아노말리는 열대저기압의 진로를 좀 더 서쪽으 로 밀어내어 육지에 의한 마찰과 황해 저층 냉수대의 영향도 증가하였을 것이다. 이에 따라 열대저기압의 생애최대강도 와 상륙 시 강도가 약해져 PDO 음의 위상 때 WTC 활동이 한반도에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