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14

        272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금융상품의 추상성, 금융약관의 복잡성, 금융가격의 사후확정성 등으로 인하여 금융소비자와 금융업자 간에 정보의 격차가 발생하고, 교섭력의 불균형은 금융소비자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금융소비자문제 중 설명의무 위반 등 계약체결과정상 하자로 인한 불완전판매는 최근 규제완화에 따른 금융기관의 겸업화 추세에 따라 그 피해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금융상품의 불완전판매는 크게 계약서 등 교부의무 위반, 설명의무 위반, 단정적판단의 제공, 적합성 권유 위반, 불초청권유 위반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민사적으로는 정보제공의무․설명의무 위반과 행정적으로는 권유방침의 위반이 혼재되어 나타난 것으로 본다. 최근 소비자정책의 방향은 정보제공 모델로 시장의 실패를 보완하기 위해서 소비자보호 범위를 독점규제와 공정거래질서의 확립과 같은 경제법적 영역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의무나 의사표시의 하자이론 등을 확장시켜 사법상의 구제수단에 까지 확장하는 것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법경제학적 관점에서도 소비자보호의 방향을 행정명령 또는 형사벌칙의 제재(penalty) 수단을 사용하는 公法的 행정규제와 이를 위반하거나 피해가 발생하면 私法的 손해배상 즉 책임원리(liability rule)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억지시스템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행정업법에 사적소송을 촉진시키는 시스템을 가장 우월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융상품 중 펀드와 보험을 중심으로 불완전판매 피해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민사적 규제과 행정적 규제를 중심으로 양 법제의 규제에 대해서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금융상품의 불완전판매를 억제하는 금융소비자보호 법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2722.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해상운송인의 면책사유와 관련한 2004년 대법원 판결에 관한 해석론을 피력하면서 항해과실 면책을 그대로 존속시켜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하고 있다. 대법원 판결에서의 쟁점은 해상운송인의 면책사유 중 특히 항해과실 면책에 관한 가부를 쟁점으로 하는 것이었다. 법원은 사안에서의 사고가 상법 제795조 제2항 소정의 항해과실 의한 사고이므로 운송인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울 수 없다고 판시하고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 상법은 항해과실면책(화재면책 포함)과 기타 운송인의 개별적인 면책사유를 따로 분리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구별이 필요함에도 법원에서는 이에 관해 명시적인 판단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 국제적으로는 항해과실면책이라는 운송인의 중대한 면책사유가 현재 폐지되는 추세이므로 법원이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면책을 상법 제796조의 각호와는 달리 보다 좁고 엄격하게 해석했어야 하지 않는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대법원이 이 사건에서 인정한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은 상법상의 문리적 해석을 충실이 따른 것으로 보이나, 이와 같은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은 이제 그 존폐여부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해상운송인의 항해과실 면책사유를 폐지하는 것에 찬성하며, 그 근거로는 첫째, 항해과실 면책이 사법상의 일반원칙의 중대한 위반이라는 점, 둘째, 현재 항해술과 선박 자체의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항해술의 주체인 선원들의 전문화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는 점, 넷째, 운송인의 사용인에 대한 통제력이 강화되었다는 점, 다섯째, 항해과실과 상사과실과의 구별이 매우 어렵다는 점, 여섯째, 육상운송이나 항공운송 등 기타 운송법 체제와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일곱째, 선박 자체의 성능과 전문화가 이루어졌다는 점, 여덟째, 현대의 국제해상운송법 체제의 입법 발전 추세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2723.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에 의한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도출해야 하는 지진해일 재해도 곡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00년도 이후에 기록된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기록과 1900년도 이전에 역사지진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 지진해일 기록을 이용하여 지진해일에 의한 최대파고에 대한 재현주기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Power law, upper-truncated power law 그리고 지수함수에 의해서 추세선을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동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의 기록이 10건 내외에 불과하므로 기록에 의한 지진해일 재해도 곡선추정 연구에 제한이 있으나 국내에는 지진해일의 재해도곡선 추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현실이므로 지진해일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초석을 놓은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24.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향후 우리나라의 저경제성장 움직임을 고려할 때 고령인구의 소득격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은퇴 이후 생계자금을 유지·확보하는 것이 개인차원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정책목표가 된다. 금융정책과 금융제도를 통해 은퇴자금을 확보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국민 개개인의 재정부담 뿐만 아니라 국가재정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국가들에 비해 고령화의 속도가 매우 빨리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금융정책과 금융제도를 통해 은퇴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투자자와 금융회사간에 집단적 분쟁이 빈번히 제기되고 있음은 우려할만한 상황이라 할 것이다. 더우기 2009년 2월부터 증권등 금융투자상품과 금융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새로운 금융규제법인 이른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으로 약칭)』이 발효되어 현재보다 더욱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금융투자상품들이 대거 출시될 예정이어 분쟁의 가능성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반면, 현행 금융규제법제 특히 자본시장법에 의해 전통적으로 고질화된 금융분쟁들이 사전적으로 예방되고 근절될 수 있을지는 다소 의문이다. 무엇보다 자본시장법이 高齡社會를 대비한 금융소비자보호법제라고 하기는 다소 의문이 있기 때문이다. 수요자의 구조와 규제환경이 변화된 상황에서 전통적으로 투자자보호장치로 기능해 왔던 투자관련 정보의 제공이라는 방식만으로 투자위험에 대한 책임이 금융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행 법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보호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금융투자상품에 대해 그 위험과 구조를 금융소비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해당 위험을 수용할 의지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품과 서비스의 복잡·복합화로 인해 이해의 부족과 위험수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금융소비자에게 정보제공을 담보하는 장치를 비중있게 두기보다는 상품의 권유자·판매자로 하여금 신임관계(fiduciary relationship)에 기초하여 투자자에게 良質의 適合한 상품을 제공하게 하는 장치들의 충실화가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적합성원칙 판단시 은퇴 이후 자금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전을 고려할 때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한 금융위기 발발과 그에 따른 저경제성장가능성을 예상해볼 때 국민들의 자산운용수요와 구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바 자본시장법 또한 고령사회에 부합하는 법제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으며 금융감독기관 및 금융회사 또한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2725.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에는 음소 결합 제약에 의한 음운변동 9종, 노력 경제의 음운변동 19종, 표현을 강화하기 위한 음운변동이 3종으로 모두 31종의 음운변동이 있고, 중국어에는 결정적 변동 6종, 수의적 변동이 12종으로 모두 18종이 있고, 이들 중 성조의 변동이 7종이고, 분절음의 변동이 11종이다. 한국어의 음운변동 중 중국어에도 같은 조건이 형성될 수 있어 중간언어 음운을 형성할 수 있는 변동 규칙은 무척 제한적이며, 이 논문에서는 연음, 두음법칙, 자음접변, ‘ㄹ’과 ‘ㄴ’의 유음화, ‘ㄹ’의 비음화, 그리고 특이한 현상으로 중국어 ‘r/ʐ/’ 음가의 오류에 기인한 유음화 및 비음화, ‘-ㄱ’ ‘-ㄷ’ ‘-ㅂ’의 비음화, 구개음화, 자음 위치 동화 등에 걸쳐 중국어 학습 상에 나타나는 전이 혹은 간섭으로 인해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화자가 중국어의 분절음에 대해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오류 원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구조가 모두 CVC 체계이지만, 종성 자음이 중국어에는 /n/과 /ŋ/의 두 개 뿐인데 반해, 한국어는 ‘ㅂ/p/’ ‘ㄷ/t/’ ‘ㄱ/k/’ ‘ㅁ/m/’ ‘ㄴ/n/’ ‘ㅇ/ŋ/’ ‘ㄹ/l/’의 7개로 다양하기 때문이다. 한국어에서는 ‘ㅇ/ŋ/’을 제외한 6개의 자음이 뒤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종성 자음은 뒤 음절의 초성으로 연음되어 CVC+V(C)를 CV+CV(C)의 형식으로 조절하지만, 중국어는 단음절적 특성 때문에 이러한 연음은 일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화자의 중국어 학습에서 이를 연음하는 오류가 발생하며, 또 뒤 음절의 초성 자음과 연결될 때는 어떤 형태이든 자음끼리의 충돌로 인한 변동이 아주 다양하게 일어난다. 하지만 중국어에는 종성 자음 /-n/으로 인해 일어나는 자음 위치 동화 현상 정도 밖에 없다. 하지만 한국어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 ‘ㄴ/n/’이 일으키는 각종 변동을 중국어에 전이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자음 위치 동화 역시 마찬 가지 이유로 한국어에서는 아주 복잡하게 나타나 지만 중국어에서는 비교적 간단하다. 한국어 화자는 한국어 종성 ‘ㄴ/n/’과 마찬 가지로 한국어의 각종 변동을 중국어에 전이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자음 위치 동화는 노력 경제의 수의적 변동이다. 지나친 동화는 의사소통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원래의 발음을 준수하도록 교육하는 것 이 중요하다. 중국어의 정확한 교육을 위해서는 이러한 음운변동의 상호 대비적인 이해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6,900원
        2726.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성장한 방송 사업자들 간의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요인을 조망함으로써 공정 경쟁을 위한 기초적인 논의와 규제 방향에 대한 지향점을 제공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특히, 공정 경쟁의 문제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이윤 창출 부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유료 방송사업자들(PP와 SO)의 행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공정 경쟁에 대한 실제 심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공정거래법 상의 불공정 거래 행위의 특성과 법적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두 번째는 방송위원회의 불공정거래 행위 실태 조사를 통해 실제 방송사업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정 경쟁의 현실을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차원에서 기업 결합과 관련한 심결 사례가 부각되고 있으며, PP의 경우 부당 광고 및 경품 제공을 통한 부당한 고객유인이, SO의 경우 거래상 지위의 남용과 같은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부당한 고객 유인 등이 주요 불공정거래행위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법 상의 제재조치는 표면화되고 구체적인 행위 결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비공식적인 관행을 중심으로 시장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공정 경쟁 유도 방안은 힘의 불균형에 입각하여 형성되고 있는 시장 거래 관행을 바로잡고, 시장의 집중과 시장 지배에 따른 힘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모색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6,000원
        272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Fishermen have required to expand the circumference of trap entrance for conger eel because it was difficult to take the catch out as well as to put the baits into.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coastal areas of Tongyoung, Korea in 2008 and 2009 using the traps to describe the effect of the entrance size on the catch. The experimental traps (five types) were used in filed experiments with four types circumference size traps (140, 180, 220 and 260mm) with mesh size 22mm and another type was used the same one usually using in filed with mesh size 35mm (750mm circumference). The experiment results were, the conger eels of total length 35mm more or so were caught 85, 93, 142 and 176 individual by the experiment traps with mesh size 22mm as increase circumference size from 140mm to 260mm, respectively. And the small conger eels of the total length below 35mm to be prohibited to catch by law were caught 145, 160, 288 and 304 individual according to increase the circumference size of trap, respectively. In addition, in case of the trap with mesh size 22mm, bycatches were 230 - 260 individuals and much more than bycatches of the trap with mesh size 35mm. In conclusion, when we expand the circumference size of trap according to fishermen's requirement, we should review not only economic of fishery but also increasement the bycatch of non-target fishes and small size fishes.
        4,000원
        2728.
        201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100원
        2731.
        201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736.
        2010.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737.
        2010.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가상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에 관한 문제 중 특히 특허권의 침해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가상 세계에서의 특허침해는 아직 현실적으로 문제가 된 사례는 없으나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Second Life와 같은 가상 현실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충분히 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가상 세계에서 특허권이 문제되는 경우는 이미 현실 세계에서 어떤 종류의 물건에 특허가 주어졌을 때, 가상 세계에서 현실 세계의 특허권 침해 행위와 동일한 행위를 한 경우 이를 특허의 침해로 볼 것인지 여부이며, 논문에서는 특히 가상 쥐덫을 예로 들어 가상 세계에서 기계특허의 침해문제를 다루고 있다. 가상 세계에서 사물의 창조, 판매 및 사용 과정은 현실 세계와는 기술적으로 구별되기 때문에 현실 세계의 특허가 그대로 인정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현실 세계의 특허에서 권리범위를 특정하여 가상 세계의 특허까지 보호되는지를 검토하고, 문언상 한계를 넘어 균등침해에 해당하는지와 관련하여 균등론의 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상 세계에서 특허권이 보호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한 침해 행위를 직접 침해나 간접 침해로 나누어 어떤 유형에 해당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우리나라 및 미국의 특허법상 이를 특허침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현실 세계의 특허권자가 가상 세계에서의 특허침해에 대하여 특허권을 보호하고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실효적인 구제수단을 검토하여, 특허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가상 세계의 특허를 기재하거나 방법발명으로 출원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가상 세계에서의 특허권 보호의 가능성을 조명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