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4

        34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후 우리 사회의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휴대용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및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그 전원으로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리튬이차전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에 대해 기공 구조 및 물리화학적 물성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와 함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리튬이차전지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막으로서,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분리막 자체는 전지 내 전기화학 반응에는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나, 앞서 언급한 기능들에 의해 전지 성능 및 안전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최근 들어, 이러한 분리막의 기본 특성 이외에, 전지 안전성 강화 및 금속 이온 흡착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 부여를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현재 상업화된 폴리올 레핀 분리막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질 폴리올레핀 분리막, 부직포 분리막, 세라믹 복합 분리막 및 화학 활성 분리막 등으 로 대표되는 최신 분리막 기술들을, 차세대 전지 개발 방향과 관련 지어 기술하고자 한다.
        4,600원
        34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fety and life during the fatigue load by the configuration of seat frame. On back frame at seat frame, the life and damage are analyzed. The deformation and equivalent stres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vibr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can be applied to develop the automotive seat frame with durabilty and safety.
        343.
        201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r conditioner is an instrument to make a low degree fresh wind by compress a refrigerant and through the heat exchanger. As change a refrigerant of low degree and low pressure to high degree and high pressure, it is needed to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compress a refrigerant by transfer the rotational energy to reciprocating energ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for easy use to failure diagnosis of an automotive compressor according to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failure types of automotive compressor. To do this, we have prepared the normal products and made some detective products which several kinds of detective types to measure and analysis of vibra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s, we have made a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kinds of detective type.
        3,000원
        34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uggests a specific model that could efficiently improve the interaction and the interface between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erver and PDA terminal throug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bar-code system in automative transmission shipment place of the finished assembly parts. The proposed model shows that the new method by RF-Tag system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to reduce processing time and loading time for shipment, compared with the current approach by bar-code system. It is noted in case of the method by RF-Tag that the effects of proposed model are as follows; (a) While the shipping lead time per truck for carrying by the current method was 35 minutes, the shipping lead time by the new method was 15 minutes. (b) While the accuracy for carrying by the current method was 50%, the accuracy by the new method was 99%.
        4,000원
        34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automobile industrial is in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of more competitive global market and lower demand. Therefore, domestic as well as global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making greater efforts in cost reduc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logistics cost in domestic manufacturers is higher than advanced countr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program to effectively manage standard time of procurement logistics, and confirm based on A-automobile factory data. For the purpose, we develop the system which is possible to manage standard time as well as calculate man-hour. Program is not just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standard man-hour, scenarios analysis function will be added to calculate benefit while introduce logistics automated equip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scenario using AGV instead of electric motor while move component. In the scenario analysis, job constitution is changed,and then we use system to compare the result. We can confirm standard man-hour is reduced from 22.3M/H to 14.3M/H.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scenario analysis function, and develop algorithm with realistic constraint condition.
        4,000원
        346.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luminum with the light weight has been used at the automotive car body. As the aluminum is applied to the automotive seat, the optimum design becomes important by investig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basic data for the optimum design of automotive seat frame.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simulation analysis on the entire structure of seat frame. Two study models using the real commercial vehicles are designed with CATIA program and analyzed with ANSYS program. The harsh condition during the driving state is supposed by using the analyses of natural frequencies and harmonic responses. As the real frequency ranges in this study are set by selecting the natural frequencies through modal analysis. The critical frequencies are analyzed by harmonic response on which the driver is seated. The values of maximum equivalent stresses at models 1 and 2 are shown to be 18.073MPa and 2259.2MPa respectively. The critical frequency at models 1 and 2 are also shown to be 77 Hz and 206 Hz. The maximum stress at model 1 becomes far bigger than model 2. By comparing two models, model 1 has more critical condition than model 2. At the design of automotive seat frame at the dynamic vibration condition, the material of design with the durability and safety can be secured through this study result.
        4,000원
        34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the goal of the weight reduction of automobile components, the researches about lighter and stronger wheel carriers have been studied without sacrificing the safety of them. In this study, the weight reduction design process of wheel carrier could be proposed based on the variation of von-Mises stress contour by substituting an AA6061 (aluminum 6061 alloy) having tensile strength of 310 MPa grade instead of FCD600 Irons. From the stress analysis results before and after design modification, the stress relaxation was done at every given loading conditions. Therefore, it could be reached that this approach method could be well established and be contributed for light-weight design guide and the optimum design conditions of the automotive wheel carrier development.
        4,000원
        34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parately from a single body, crash box is maufactured into the two alumnae by bonding adhesive. Crashbox has the property to absorb the shock by impact transferred to the car body at the collision between car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ffect and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holes punched at this crash box. The optimal structure is investigated for optimal design data of aluminum crash box. The equivalent stresses of study models distributed by compressive load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analysis program of ANSYS. Total energies and mechanical strengths of study models at the real situation are also analyzed. As analysis results,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es of 40880MPa, 42368MPa, 43176MPa, 44960MPa and 43476MPa are shown at study models due to the hole positions of 10mm, 15mm, 20mm, 25mm and 30mm from the upper plane of crash box respectively. Also, the total energy on analysis are verified within the error range of 10 % by comparing that on experiment at the hole position of 10mm. It is thought that the crash box due to the hole position from the upper plane of crash box can be effectively designed through this study result.
        4,000원
        34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기오염에 관한 관심은 국내·외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자동차와 연료분야 연구자 들은 청정 (친환경 대체연료) 연료와 연료품질 향상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엔진 설계, 혁신적인 후 처리 시스템 등의 많은 방법으로 차량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배출 가스 및 가솔린 차량의 PM 입자 배출 두 가지 이슈로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미규제 물 질, PM (입자상 물질) 입자는 환경오염과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자동차 배 출가스의 주요 물질인 입자상 물질은 작은 입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은 크기 때문에, 흡입된 입자는 쉽게 폐 깊숙이 침투 할 수 있다. 이 입자의 거친 표면들은 대기중에서 다른 독성 물질과 결합하기가 쉽다. 따라서 입자흡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함산소 연료첨가제 유형 (MTBE, 바이오 ETBE, 바이오 에 탄올, 바이오 부탄올)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가솔린 자동차 배출가스 및 미규제 물질, 나노입자 배출에 산소함량의 영향을 토론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두 가지 시험모드를 사용하여 배출가스 특성을 평가하 였다. 시험모드는 FTP-75 및 HWFET 모드이었다.전체 측정항목에서 배출가스 규제 값보다 적게 배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산소함량이 증가하 면서 측정항목에 따라 증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35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올가닉이라 하면 자연속의 생물들 즉, 덩쿨이나 나뭇잎 등 인공과 무 관한 식물들을 생각하게 된다. 올가닉은 생명이 있다는 것이 첫번째의 조건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기재료로 만들어진 것까지도 포함하며 그 범위는 매우 넓어졌다. 곡선형의 디자인을 올가닉디자인의 형태로 말할 정도로 최근의 제품들은 올가닉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부드럽고 사용성 도 높은 디자인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볼 때 올가 닉의 영역은 매우 넓어졌고 수용자들은 거부감 없이 선호하게 되었다. 올가닉 디자인의 정의와 실제 적용되어 있는 사례들을 찾아보고 이들을 비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올가닉 형의 근원은 인체라는 것과 생 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 또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곡선적 이미 지가 적용된 디자인은 올가닉 조형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차나 산업제품은 물론 시각디자인분야에서도 올가닉의 형 체가 적용된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생명력과 곡선, 그리고 유선형 의 디자인 결과물은 올가닉 형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인간이 자연으로의 회귀와 자연속에서 살아가려고 하는 마음들도 근본적으로 올가닉 형체 로 태어났고 또 자연으로 돌아가는 인간의 행태가 올가닉의 범위 안에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올가닉에 대한 기본 개념과 그 이념을 디자인의 모든 분야에 적용하여 가장 친밀한 디자인의 결과물 들이 많이 생산되어 편안하고 풍요로운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계기가 되 기를 희망한다.
        6,000원
        35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선진 4개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도로교통스톡 수준을 분석하였습니다. 한국과 각 국가별 도로 연장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2005년과 2013년 국토계수당 도로연장*을 산정하였습니다. 2005년 국토계수당 도로 연장을 살펴보면, 미국·독일·영국은 3.0 이상을 상회하며, 4개국 국제평균 (4.12)대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일본은 5.7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 확인되었습니다. 반면 한국은 1.47로 4개국 평균의 절반수준에도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2005년도와 비교 하여 미국의 2013년 국도계수당 도로 연장은 감소하였으며, 독일・영국・일본은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한 국(1.48)은 소폭 증가하였으나 2013년에도 여전히 4개국 평균(4.15)보다 훨씬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 니다. 자동차 등록 대수 부문에서는 2005년과 2013년에 미국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례적 으로 일본이 2005년에 비해 2013년의 자동차 등록수가 감소하였습니다. 도로화물운송 부문에서는 2005년과 2013년을 비교했을 때 미국과 한국은 도로화물운송이 점차 증가하 였으나, 독일・영국・일본은 도로화물운송이 감소하였습니다. 도로여객수송 부문은 2005년과 2013년 모두 미국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어 독일이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례적으로 일본이 2005년 에는 1km당 933,005 백만 인을 수송하다가 2013년에는 76,000 백만인-km로 현저히 낮아졌는데, 이는 2010년 이후 계속 유지되고 있는 추세로 보입니다. 한국은 2005년과 비교하여 2013년에 도로여객수송이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선진국 평균에 비교해서는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도로부문의 에너지소비량 은 2005년 대비 2013년 한국을 제외한 4개국에서 점차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며, 도로부문의 인프라 투자의 경우 일본을 제외한 미국・독일・영국・한국은 2005년 대비 2013년 투자를 확대 하였습니다.
        35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작업구간 사고의 경우 2012년 기준으로 일반국도의 유지 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국토관리사무소 관내 도로보수원은 583명으로, 작업중 사상자는 27명으로 보고되어 도로보수원의 약 5%가 사망사거나 부상을 당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소방공무원 직종의 사상자 비율(0.97%)보다 높다. 주요 간선도로망 구축이 마무리되는 가운데, 도로정책은 혼잡해소를 위한 ʻ운영・관리ʼ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일반국도 보수 예산배정 예: ʻ14년 531백만원에서ʼ 15년 923백만원으로 170% 증가)된다. 따라 서 지속적인 공사장 증가가 예상되며 장기공사보다는 단기 및 이동공사장 빈도증가가 예상된다. 도로 공사구간 임시 교통통제시설 중 임시 울타리(국토교통부, 도로공사장 교통관리지침)는 차량유도 기 능과 작업활동구역으로 일반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시설로, 종방향의 차량 충돌에 대해서는 작업 장보호를 위한 충돌 안전거리가 명시되어 있으나 횡방향의 충돌에 대해서는 방호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사장 작업인부 등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적인 강도성능 등을 포함한 국토교통부에서 정한 차 량방호 안전시설(국토교통부, 차량방호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로써의 기능을 갖춘 방호시설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단기・이동 공사 빈도증가에 대응한 작업성(설치용이성) 측면에서 공사구간 노면에 매설하 거나 부착하는 시설보다는 차량기반의 이동식 방호울타리 설치가 유리하다. 본 연구는 단기・이동공사에 특히 효과가 기대되는 공사장용 이동식 방호울타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 로 수행중이며, 단순히 작업성뿐만 아니라 횡방향 진입차량 방호를 위한 강도성능을 갖춘 방호울타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동식 방호울타리는 국내 자동차 기준을 감안하여 이동시에는 자동차기준 에 부합된 길이로 운행하고 공사장에 설치시는 길이가 확장되어 차량방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동식 방호울타리는 기구학적 메커니즘에 따라 블록굴절형과 텔레스코핑형으로 구분하였다. 블록굴절형 은 접이식 구조로 도로운행시에는 접혀져 있다가 공사장에서는 펼치는 형식이다. 텔레스코핑은 망원경 구조 로 도로운행시에는 단위체들이 겹쳐있다가 공사장에서는 펼치는 형식이다.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서 이론 및 개념설계를 담당하고 기구학적 구동메커니즘 검토 및 시작품 제작을 담당하여 수행하고 있다. 현재 개념설계를 반영한 기구학적 설계 및 시작품 제작 단계에 있으며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차량방호 성능기준(국토교통부, 차량방호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만족여부를 검토하고 실물차 량 충돌시험을 시행할 계획으로 있다. 다만, 도로변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방호울타리(가드레일 등)와는 설치장소에 차이가 있고, 공사장에 설치되는 임시적인 시설이라는 관점을 감안하여 도로변 방호울타리와 는 충돌환경적 차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기술검토를 병행하고 있다.
        353.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도로의 용량이라 함은 주어진 도로 조건에서 일정시간(15분)동안 무리없이 최대로 통과할 수 있는 승용차 교통량을 1시간 단위로 환산한 값을 말한다. 용량을 분석하는 목적은 해당 도로의 용량을 명확 히 밝힘으로써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도로투자를 적절히 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로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차두시간 분포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는 실제 교 통량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기존 용량분석 방법을 기초로, 자전거도로 의 용량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선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용량분석 방법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분석방법으로써 KHCM에서도 적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자전거도로는 기존의 자동차 도로와 특성이 다르므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 이유는 기존 방법론에서 가장 중요 한 조사내용 중의 하나가 혼잡상태에서의 교통류가 관측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자전거도로는 현실적으로 혼 잡상태를 관측하기는 쉽지가 않다. 자전거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운전자는 주행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도로 의 혼잡 이전에 자전거도로의 진입을 포기하거나, 자전거도로 이외의 통행로(차도 혹은 비포장 여유공간 등)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이는 2차로자동차도로의 용량분석에서 현장의 용량상태를 관측하지 못하여 정확 한 용량을 산출하지 못하는 것과 유사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HCM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연속류 특성을 가진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자전거 교통류군(群)의 차두시간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연속류 자전거 교통류군(群)의 평균 차두시간은 1.01초로 조사되었 으며, 이에 따라 연속류 자전거도로의 용량은 약 3.600대/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35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전거도로의 인프라 확대에 따라 주로 레저를 중심으로 자전거이용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서울의 경우에도 주말에 한강이나 안양천, 중랑천 등을 이용하는 자전거 인구는 2006년도의 530 만 명에서 2010년에는 1,020만 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자전거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서울시의 경우 사망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 108 명에 이르고 부상자도 9,108명이 발생하여 자전거이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 다. 그러나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자전거교통류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조차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다. 자전거교통류는 주행속도 분포가 낮게는 5~10kph에서 높게는 40kph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행 자보다는 자동차의 교통특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교통류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 행속도와 차두시간(Headway)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전거교통류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 저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실험을 통해 자전거속도와 차두시간간의 기본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는 연령 별로 총 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최소속도(5kph)와 최대속도(30kph)를 모의주행하면서 형성하는 차두시 간을 측정하였다. 맨 앞의 운전자는 속도계를 통해 각 실험단계별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맨 앞의 운전자는 시작점에서 출발한 후 특정 지점에서부터 정해진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후발 운전자 들은 편안한 상태에서 앞 자전거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였다. 자전거의 주행방법은 일반적인 도로주 행과 앞 자전거와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주행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행속도에 따 른 차두시간 그래프가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향후 주행속도와 차두시간에 따른 자전거도로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55.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93년 수립된 국가기간간선도로망 계획(7×9)에 따라 추진되어온 우리나라의 국토간선망 건설은 국민 의 교통애로 해소와 경제성장 및 지역 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회의 요구가 사회복지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도로건설을 둘러싼 주위환경은 더욱 엄격한 경제적 타당성을 요구하 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국토간선도로망이라 할지라도 과거와 같이 고규격 도로인 고속도 로 건설만으로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업추진 방안 마련이 필요하게 되 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면서 기존 국도를 활용하여 국가기간망을 건 설함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토간선망 중 동서5축의 일부에 해당하는 증평~괴산 구간을 대상으로 고속도로 건설시와 기존 국도를 활용한 자동차 건설시의 공사비, 용지비, 부대비 등의 사업비를 비교하였으며, 지역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주민이 요구하는 간선도로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고속도로 건설시 42.7km에 16,914 억원에 이르는 공사비는 자동차전용도로 건설을 통해 1,295억원으로 절감이 가능하였으며 지역주민들은 통행료가 없는 자동차전용도로 건설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가기간망 건설시 교통수 요가 적은 오지 지역의 경우 기존 국도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명되었다.
        356.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의 경우 전국대비 12%의 면적에 인구 49.4%가 거주하고 있으며, 도로율이 전국대비 22.4%인 반 면 자동차 등록률이 44.5%로 상습 지정체가 심각한 수준이다. 상습 지정체로 인한 수도권 교통혼잡비용 이 전국대비 57%를 차지하고 있어 혼잡구간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간선도로의 밀도가 타 지역 에 비해 높아 다양한 선택경로가 존재하고 있어 교통혼잡 관리를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 양한 선택경로의 교통정보를 민간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간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우회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우회경로 정보제공을 위해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서 운영하고 있는 ITS 운영구간 총 835.5km를 대상으로 우회가능 도로구간 선정 기준에 따라 우회도로 로 활용이 가능한 34개 구간을 선정하였다. 우회도로 구간을 선정한 후 우회경로의 수, 진행방향(직/좌/우) 인지성, 정보제공 유연성, 도로선형, 운 전자 인지성 등을 검토하여 교통정보제공 수단인 도로전광표지(VMS)의 형식을 검토하였다. 현재 민간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우회경로 안내를 위한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으며, 2016년 하반기 이후 본격적으로 다양한 우회경로를 제공하여 본선도로와 우회도로에 대한 정보제공을 통한 도로망의 효율적 인 이용으로 교통체증 완화 및 교통량 분산 유도 등 통행속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57.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전에 전달하고, 또한 행동을 동일하게 통제함으 로서 도로상의 안전 확보 및 교통 소통을 증진하는 시설이다. 교통안전시설 중 선으로 표시하는 중앙선, 구분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에게 진로 및 도로선형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야간에 차선이 보이지 않아 운전자들의 야간 주행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야간 주행 문제는 최근 3년간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체 사망자 수의 52.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노면표시의 시인성은 자동차 전조등에서 나오는 빛을 유리알에 의해 재귀반사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유리알에 의한 재귀반사는 전조등 거리 에 따른 시인거리에 한계가 있고, 전조등 빛이 닿지 않는 구간인 굴곡이 심한 산지부 도로나 커브가 있는 회전구간에서 시인거리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해외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축광 노면표시는 재귀반 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조명시설이 부족한 구간에 설치 시 야간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하지만, 대부분 축광에 의해 도료 자체에서 방출되는 빛만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자동 차의 전조등이 비추는 영역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자동차 전조등이 비추는 근거리에서는 재귀반사를 통한 시인성을 확보하 고, 원거리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축광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유리알 성능과 노면표시 두께에 따른 축광 노면표시의 재귀반사도 및 휘도 성능을 비교・분 석하였고,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축광 노면표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재귀반사와 휘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축광 노면표시 의 색도는「KS M 6080」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축광 노면표시의 건조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경찰청 재귀반사 기준인 240 mcd/(㎡・Lux)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습윤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도 유리알 1종 1호를 제외한 유리알 1종 3호와 2종 1호를 살포 한 축광 노면표시 시편은 경찰청 우천시 재귀반사 기준인 100mcd/(㎡・Lux)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라 축광 노면표시에서도 유리알 살포시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재귀반사로 근거리 시인성 확보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축광 노면표시는 일반 노면표시에 비해 유리알을 살포하지 않아도 도료 자체적으로 건조상태 재귀반사 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광 노면표시 도료가 자체적으로 빛 을 발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축광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 고, 유리알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휘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광 노면표시의 두께가 두 꺼워질수록 휘도가 증가하긴 하지만 일정수준 이상으로 두께가 증가할 경우 축광 성능이 포화되어 더 이 상 휘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5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우리나라는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교통지체 및 교통사고 잦은 지점을 중심으로 일반 평면 교차로에서 회전교차로(Roundabout)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약 400개소가 운영 중 이다. 국내・외의 급격한 회전교차로 증가는 회전교차로의 독특한 기하구조와 운영방식에 의해 교통소통 및 안전 개선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회전교차로 설치 전 대비 교통사고 발생 건수 평균 약 40% 감소, 통행시간 평균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에서도 회전교 차로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가 설치전보다 30~8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다양한 도로・교통 환경 에서 자동차 통행이 가능하기 위해 2014년에 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을 개정되었지만, 국외에 비해 더 제 약적인 국내 도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기 위해 더 유여한 설계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회전교차로 의 설계 요소들(내접원, 중앙교통섬, 회전차로 폭, 진출입 차로 폭 및 회전반경)은 설계자동차와 연관성이 상당히 높으며, 건설비용, 안전 혹은 운영측면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기준 제시는 인프라 성능・안전 적정 유지와 공사비용에 중요하다. 그러나 너무 보수적인 설계기준을 적용한다면 지나 친 건설비용 혹은 높은 속도에 따른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 전교차로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회전교차로 중심의 왼편으로 편형에 따른 진출입 차로 폭과 회전반경 영향 정도를 정립하여 유연한 기준 값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주행 궤적 분석 시뮬 레이션 프로그램(AutoTURN)을 이용하여 1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세미트레일러)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대형자동차+세미트레일러)의 각각 한 가지 설계조건(내접원 지름)을 대상으 로 편형에 따른 관련 설계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전교차로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그 중심의 왼편으 로 편형에 따른 방식이 같은 회전반경에서 진입차로 폭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형 이 클수록 그리고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서 관련 영향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편형 방식을 통해 공사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좁은 차로 폭으로 인한 접근 차량 속도 감소를 유도하여 안전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359.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간 우리나라 등 후발주자의 추격과 그 성과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 으나, 후발주자가 개발한 제품의 아키텍처가 추격 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는 극히 부 족하였다. 또한 공작기계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핵심 부품인 수치제어장치 분야에 서 우리나라는 반도체, 조선, 자동차 산업과 달리 과거 4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다양한 개발 체제 운영과 정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인 추격 성과를 보이거나 추격에 실패하였다. 이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작기계 수치제어장치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제품 아키텍처가 추격 성과에 미친 영향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해 동 분야의 후발주자임에 도 불구하고 세계 선도 기업으로 성장한 일본 화낙의 수치제어장치 아키텍처 진화 사례에 대 한 심층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화낙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수치제어장치 아키텍 처의 개방형 모듈화를 달성함으로써 다양한 공작기계 생산 기업의 요구 사항에 부응하면서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수치제어장치를 개발⋅생산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화낙은 시장 점유율 확대 및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반면 우리나라는 1970년대 말 이후 약 40년 간의 추격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치제어장치 아키텍처의 개방형 모 듈화를 달성하지 못함으로 인해 다양한 수요 기업이 생산하는 공작기계에 채택되는데 실패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제한된 추격 성과에 그치고 말았다. 또한 이러한 제한적인 추격 성과 는 개발 주체의 파산과 매각, 폐쇄 등으로 이어지면서 기술적 지식의 누적에 큰 어려움을 겪 었으며, 이로 인해 수치제어장치 아키텍처의 개방형 모듈화를 달성할 수 있는 만큼의 기술을 축적하거나 설계 역량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품 아키텍처 관점 에서 후발주자의 추격 성과를 규명하고, 성공적인 기술 추격에도 불구하고 시장추격에 실패 하는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8,400원
        360.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글로벌 M&A 이후 자회사 현지직원의 조직일체감에 대해 실증 분석한 연구이다. 조직과 자신을 일치시켜 조직의 성공 등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인 조직일체감은 조직행동 분야에서 활 발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국제경영 분야에서의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다국적기 업에 의해 M&A된 국내 자회사 직원들이 M&A 이후 기업의 조직공정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인수 후 자회 사에 부여되는 전략적 자율성이 높고, 기업의 외부명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그들의 조직일체감 수준이 높아질 것 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직원들의 향상된 조직일체감의 결과로서 이직 의도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해외기업이 인수한 국내자동차회사에 근무 중인 141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하였 다. 설정한 가설처럼,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을 제외한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그리고 전략적 자율성과 외부평판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일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조직일체감은 이 직 의도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해외기업에 인수된 국내 자회사 직원들의 조직일체 감에 관한 연구로서, 조직일체감 연구에 관한 학문적 기여뿐만 아니라 다국적기업의 자회사 관리측면에서의 실무 적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