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삽화는 현행 과학 교과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표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 결과, 6차와 7차 모두 예시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7차의 경우 사진과 삽화의 기능들이 6차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이것은 지구과학 II 보다는 I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6차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던 보충적 기능과 설명적 기능이 7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장식적 기능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 6차에 비해 7차에서 참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본문과의 연계성 면에서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독 사진이나 삽화에 비해 다중 구성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짝이나 연속 구성에서는 발전된 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 사진과 삽화의 기능에서 탐구적 기능을, 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을 추가할 것과 사진과 삽화를 포함한 시각적 표상의 기능과 구조 측면을 과학 교과서 검정 준거로 활용할 것을 논의하였다.
Samples of active carbon of 1150 m2/g surface area were impregnated with ammoniacal salts of copper, chromium and silver, with and without triethylenediamine. The samples of impregnated carbon were aged at 50℃, with and without 90% RH (relative humidity), for a little more than one year and chemically evaluated periodically. Initially copper (II) and chromium (VI) reduced very fast in the samples in humid atmosphere to the extent of 30% and 60% respectively in four months. These values were found to be unaffected by the presence of triethylenediamine (TEDA) indicating that the chemical did not retard the reduction process of chromium (VI) and copper (II). However, in the absence of humidity the reduction of the impregnants was significantly less (10-12%, w/w) in four months. It was quite evident; therefore, that the moisture was mainly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of chromium (VI) and copper (II) species in impregnated carbons. The prolonged ageing of the samples with and without triethylenediamme after four months with and without humid atmosphere showed that the extent of reduction of chromium (VI) was very low, i.e. 5-10% and of copper (II) was 2-25%. Silver is not reduced due to carbon, as it remained unchanged in concentration on storage. The impregnated carbon samples (100 g) without triethylenediamine, which were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5 years in absence of humidity and unaged when evaluated against cyanogen chloride (CNCl) at a concentration of 4 mg/L and airflow rate of 30 lpm showed a high degree of protection (80- 110 minutes).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58개 지역에 분포하는 2 배체 및 3배체 참나리 86계통을 이용하여 각 genome 간의 유연관계와 유전적 변이성을 분석하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참나리의 배수성은 flow cytometer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PCR반응에 사 용된 10개의 RAPD primer에서 총 69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다형화를 나타내는 band의 수 는 42개(60.9%)로, 1개의 RAPD primer당 평균 4.2 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수집된 참나리 86계 통에 대하여 RAPD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화 band들 을 이용하여 UPGMA 방법에 따라 dendrogram을 작 성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 유사성 85% 수준에서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첫 번째 그룹에는 강화 도를 포함한 내륙지역에서 수집한 대부분의 3배체 계 통들과 일부 예외적인 2배체 12계통을 포함하고 있었 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대부분의 2배체 계통들과 백령 도에서 수집한 3배체 1계통(42) 그리고 2배체와 중나 리간에 교잡된 2계통(60, 61)을 포함하고 있었다. 대체 로 3배체 참나리는 제 I 그룹에 포함되었고 2배체 참 나리는 제 II 그룹에 포함되었다. 유전적 변이성은 3 배체 참나리 집단보다 2배체 참나리 집단에서 보다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wood vinegar (WV) on the fecal microbes and gas emission in weaned pigs. In Exp. 1, 224 weaned piglets (L×Y×D, 21 d-old, initial BW 6.02 ± 0.52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of different WV levels in randomized completely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es (14 piglets/pen) for 28 days, including phases I (0-2 wk) and phase II (3-4 wk). The dietary treatments were 0, 0.1, 0.2 and 0.3% of WV added to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measured at 0 h and 24 h in feces did not differ among dietary treatments (p>0.05), but it was linearly decreased (p<0.05) in 0.2% and 0.3% addition level measured at 48 h and 72 h.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had no significant change (p>0.05) within treatments measured at different time. The fecal total bacteria (TBC), Lactobacilli(LAB) and E. coli were measured on 14 d and 28 d. TBC were higher (p>0.05) in WV added treatments than the control.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LAB. But E. coli populations were decreased (p<0.05) in treatments added WV compared to control measured on 14 d and 35 d. In Exp. 2, 288 weaned piglets (L×Y×D, 21 d-old, initial BW 6.62 ± 0.31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ly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es (18 piglets/pen) for 28 day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negative control, NC), 0.2% organic acid (positive control, PC), 0.2% antibiotic (AT) and 0.2% WV added to a corn-soybean meal basal diet. The fecal total bacteria (TBC), Lactobacilli(LAB) and E. coli were measured on 14 d and 28 d. TBC, LAB and E. coli showed lower counts in pigs fed AT diets than oth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ood vinegar could reduce the NH3 concentration of fece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이 연구의 목적은 高等學校 <漢文> 수업을 관찰하고, 관찰한 결과를 통해 드러난 ‘읽기’ 영역의 敎授學習 活動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에서 유의미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을 찾고, 이것을 분석함으로써 읽기 교수학습 요소를 발굴할 수 있다.이 연구에서 다루는 ‘읽기’는 2006년 발표된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온 ‘한문’ 영역의 중영역 중의 하나인 ‘읽기’ 영역을 의미한다. 필자는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 수업의 면밀한 관찰과 기록을 위해 微視文化記述的 硏究 方法을 이용하여 수업을 분석한다.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관찰한 수업에 드러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은 ⅰ) 본문에 나온 字句를 익히기, ⅱ) 허사 등을 학습하여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ⅲ) 문장의 해석을 위해 逐字的으로 풀이하기, ⅳ) 바르게 끊어 읽기를 위해 소리 내어 큰 소리로 따라 읽기, ⅴ) 문장을 익숙하게 보기 위해 반복하여 따라 읽기, ⅵ) 문장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의미까지 파악하기 등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찾아낸 ‘읽기’ 교수학습 요소는 字句 學習, 構造 把握, 解釋, 聲讀, 復讀, 精讀이다.이 연구는 일상적인 교육 활동으로 여겨 으레 그러려니 생각한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요소를 찾은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North-East slope in Mt. Songni (1,057.7 m). This work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October 200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9 families, 215 genera, 296 species, 4 subspecies, 33 varieties and 6 formae, totaling 339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 (2.63%)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special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38 taxa; V rank species 2 taxa, IV rank species 2 taxa, III rank species 10 taxa, II rank species 10 taxa and I rank species 14 taxa. A naturalized plants were 8 species, correspond to 2.74% of totaling 292 naturalized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Heme oxygenase-l (HO-l) exhibits cyt oprotective effect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and is induced by nicotine exposur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However‘ therole of HO- l in cancer cells exposed to nicotine has not previously been descnb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cotine on HO-l protein expression and cell viability in immortalized (IHOK) and malignant (HN12) human ora l keratinocyte cells using the MTT assay and Western blotting. We al so examined the involvement of t he phosphoinosit ide-3-0H- kinase (PI3K), mitogen-acti vated protein kinase (MAPK) , and nucJear factor-κ B (NF-κ B) signaling pathways in nicotine-induced cytotoxicity and HO- l levels in IHOK and HN12 cell s‘ Nicotine induced HO- l pro ducti on and had cytotoxic effects on cells in both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Nicotine-induced cytotox icity and accumulation of HO- l were greater in JJ-IOK cells than in HN12 cells Molecular inhibitors of the ERK, p38 MAP kinase, PI3K, and NF-κ B signaling pathways blocked the cytotoxic effects and induction of J-IO-l expression by nicotine. Treatmen t with an t ioxida nts (bil irubin, N-acetyl cysteine) protected cells against nicotine-induced cytotoxicity and blocked the upregula tion of J-IO- l, the effects of which were more pronounced in II-IOK cells than in HN12 cells Collecti 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J-IO- l plays a principal role in the protective response to nicotine in oral cancel and immortalized keratinocytes. Moreover, the addition of exogenous antioxidants may help to protect oral epithelial cell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nicotine-induced oxidative stress.
Heme oxygenase-l (HO-l) exhibits cyt oprotective effect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and is induced by nicotine exposur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However‘ therole of HO- l in cancer cells exposed to nicotine has not previously been descnb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cotine on HO-l protein expression and cell viability in immortalized (IHOK) and malignant (HN12) human ora l keratinocyte cells using the MTT assay and Western blotting. We al so examined the involvement of t he phosphoinosit ide-3-0H- kinase (PI3K), mitogen-acti vated protein kinase (MAPK) , and nucJear factor-κ B (NF-κ B) signaling pathways in nicotine-induced cytotoxicity and HO- l levels in IHOK and HN12 cell s‘ Nicotine induced HO- l pro ducti on and had cytotoxic effects on cells in both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Nicotine-induced cytotox icity and accumulation of HO- l were greater in JJ-IOK cells than in HN12 cells Molecular inhibitors of the ERK, p38 MAP kinase, PI3K, and NF-κ B signaling pathways blocked the cytotoxic effects and induction of J-IO-l expression by nicotine. Treatmen t with an t ioxida nts (bil irubin, N-acetyl cysteine) protected cells against nicotine-induced cytotoxicity and blocked the upregula tion of J-IO- l, the effects of which were more pronounced in II-IOK cells than in HN12 cells Collecti 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J-IO- l plays a principal role in the protective response to nicotine in oral cancel and immortalized keratinocytes. Moreover, the addition of exogenous antioxidants may help to protect oral epithelial cell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nicotine-induced oxidative stress.
본 연구는 지붕개폐형 구조물에서 지붕을 개폐함으로써 나타나는 음장의 특성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20스케일의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대상으로 개폐율을 조절하면서 음장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공간의 음향설계 시 사용되는 기존의 설계 및 평가파라메타들을 검토한 결과, 잔향음의 감쇠과정이 비선형적이며 기존의 잔향감 평가파라메타인 잔향시간에 의해서 적절한 설계 및 성능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비선형적 감쇠구간에 대한 선형적 curve-fitting에 의해 실제 청감과는 거리가 먼 매우 긴 잔향시간이 도출되어 실질적인 효용성이 의심된다. 따라서 잔향시간(T30)을 음향설계 및 평가과정에서 중요설계변수로 활용 시 완공 후 얻게 되는 음장특성과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EDT의 경우 전체적으로 초기감쇠시간은 개폐율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파수별로 저주파수대역에서의 감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감쇠율은 둔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명료도 관련 파라메타인 D50 또한 개폐에 따른 음장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객석부위별로는 지붕개폐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객석에서 개폐율 증가에 따라 선형적인 감쇠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직접 노출되는 객석의 경우에는 40%이상의 개폐율에서는 명료도와 잔향감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편에서는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고체역학문제의 정식화 과정이 소개되었다. 후편에서는 수치예제를 통해 이동최소제곱 유한차분법의 정확성, 강건성, 효율성을 검증했다. 탄성론 문제의 해석을 통해 개발된 해석기법의 우수한 수렴률을 확인했다. 탄성균열문제에 적용하여 간편한 불연속면 모델링이 가능하고, 적응적 절점배치를 통해 특이 응력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국소화 밴드문제 해석결과를 통해 변위나 응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수문제에 대한 정확성과 효율성을 확인했으며, 본 해석기법이 다양한 특수 공학적 문제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1편에서 얻어진 온도분포와 박리시간이력을 이용하여 지하박스구조물의 열응력을 산정하고 이에 기반한 열모멘트를 산청하였다. 또한 이때의 온도분포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열적비선형성을 고려한 극한모멘트를 산정하여 구조물의 내하력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상부슬래브의 부모멘트 구간은 단면의 온도경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모멘트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모멘트 구간은 박리에 의해 화염에 노출된 철근의 항복응력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rubber wood sawdust by chemical activation using phosphoric acid have been utilized as an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Cu(II) from aqueous solution in the concentration range 5-40 mg/l. Adsor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batch process and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effect of contact time, initial copper ion concentration, carbon dosage, and pH on percentage removal have been studied. Adsorption results obtained for activated carbon from rubber wood sawdust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mmercial activated carbon (CAC). The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samples increased with contact time and attained maximum value at 3 h for CAC and 4 h for PAC. The adsorption results show that the copper uptake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the optimum efficiency being attained at pH 6. The precipitation of copper hydroxide occurred when pH of the adsorbate solution was greater than 6. The equilibrium data were fitted using Langmuir and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equation. The kinetics of sorption of the copper ion has been analyzed by two kinetic models, namely, the pseudo first order and pseudo second order kinetic model. The adsorption constants and rate constants for the models have been determined. The process follows pseudo second order kinetic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ngmuir model gave a better fit to the experimental data than the Freundlich model. It was concluded that activated carbon produced using phosphoric acid has higher adsorption capacity when compared to CA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rthComm implementation in the U.S. high schools in terms of demographic background including school size, urban/rural area, a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using the visions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Two modular of the EarthComm curriculum were used for this purpose with thirty one teachers and around thousand students involved across four states. Findings were that EarthComm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ially in schools of varying sizes and school location, i.e., urban and rural area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impact student achievement scores for Module I but did significantly impact for Module II. It is noted that the two results seemingly conflict with each other similar to other research findings (Ferguson, 1998; Yager et al., 1988). Student higher-order thinking skills,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studying with EarthCom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본 연구는 한우의 자궁내막염에서 발현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를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상적인 자궁내막과 자궁내막염이 있는 자궁내막을 비교한 결과, 전체 확인된 4,560개의 유전자 중 2,026개의 유전자가 자궁내막염에서 증가하였고, 2,534개의 유전자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위 조절되는 유전자 10개씩을 정리하였다. 자궁내막염에서 filamin A, pancreatic anionic trypsinogen, Rho GDP dissociation inhibitor alpha, collagen type VI alpha 1, butyrate response factor 2, aggrecanses-2, annexin 14, aminopeptidease A, orphan transporter v7-3 및 epithelial stromal interaction 1의 발현율이 26배 이상 증가하였다. MHC class II antigen, integrin-binding sialoprotein, uterine milk protein precursor, down-regulated in colon cancer 1, glycoprotein 330, dickkopf-1, cfh protein, Ca2+-dependent secretion activator, UL16 binding protein 3 및 proenkephalin은 25.5배 이상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유전자 정보는 한우의 자궁내막염 진단에 필요한 유용한 생물지표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 난자의 체외성숙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여전히 그 효율성은 낮다. 본 연구는 개 난자의 체외성숙 시, 성선 자극 호르몬인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그리고 시스테인(cysteine)을 각각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체외성숙시킨 후 핵성숙율(GV: germinal vesicle, GVBD: germinal vesicle break down, MI: metaphase I, MII: metaphase II, UK: unknown stage)을 확인하였다. LH와 FSH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은 군과 GV, MI 및 MII율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GVBD율은 첨가군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성선 자극 호르몬을 첨가한 배지에 10 ng/ml의 EGF를 첨가하였을 때 MII율이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4.54% vs. 7.06%). cysteine을 첨가하였을 경우, 핵성숙율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핵성숙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 난자의 체외성숙 시, 10 μg/ml의 LH와 FSH, 10 ng/ml의 EGF 그리고 0.57 mM의 cysteine을 첨가하는 것이 핵성숙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돼지의 품종개량, 형질전환 돼지생산 등과 멸실위험에 처해 있는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미성숙 난포란의 적정 체외성숙 시간을 알아보고, 배양액의 종류 및 체외 배양시의 산소 농도에 따른 체외수정란의 생산 효율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별 제2감수분열중기(M II)까지 성숙된 비율이 체외성숙 38, 40, 42시간째에 각각 61.1%,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