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to obtain a homogeneous mixture and to produce solid solutions and intermetallic compounds of Fe and Al nano particles by simultaneous pulsed wire evaporation (S-PWE) have been investigated. The Fe and Al wires with 0.45 mm in diameter and 35 mm in length were continuously co-fed by a special mechanism to the explosion chamber and simultaneously exploded. The characteristics, e.g., phase composition, particle shape,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Fe-Al nano powders have been analyzed. The synthesized powders, beside for Al and -Fe, contain significant amount of a high-temperature phase of -Fe, Fe Al and traces of other intermetallics. The phase composition of powders could be changed over broad limits by varying initial explosion conditions, e.g. wire distance, input energy, for parallel wires of different metals. The yield of the nano powder is as large as 40 wt % and the powder may include up to 46 wt % FeAl as an intermetallic compound.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식생구조 회복과정과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인 백운산의 벌채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2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7년과 1999년, 2001년, 2003년에 식생조사를 하였다. 벌채후 10년간 벌채지의 산림식생변화는 다음과 같다.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벌채 후 1년째에는 잔존 수목인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및 비목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벌채 후 6년째에는 근주맹아목인 때죽나무와 비목나무, 실생목인 두릅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고, 벌채 후 8년차부터 벌채 후 10년차 까지 비목나무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벌채지 산림내부의 종다양도지수는 남서사면에서 계속 낮아졌으며, 북동사면에서는 6년차까지 증가하다가 벌채 후 8년차부터 감소하였다. 흉고직경급(DBH) 분석에서 벌채 후 10년경과시 남서사면의 경우 졸참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의 개체수가 출현율이 높았고, 북동사면의 경우 당단풍나무,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 비목나무. 두릅나무의 개체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기저면적은 남서사면의 경우 8년차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북동사면 경우는 증가하여 사면간 차이를 보였다.
상록활엽수림을 목표로 한 식생복원시험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1996년 전라남도 완도수목원에 밀도조절, 택벌, 상록활엽수종 식재 등 상록활엽수 복원처리를 한 시험구와 대조구를 포함하여 18개 고정 시험구를 설치했다. 식생복원시험 처리 후 7년 경과시 붉가시나무군락의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의 시험구에서는 교목층의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크게 증가했으며, 소나무군락의 시험구에서는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증가하였다 상록활엽수 복원시험구의 산림식생은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식생천이가 촉진되거나 성숙되고 있었다. 또한 시험처리 후 7년 동안 상록활엽수림 복원시험구에서 상록활엽수의 상대우점치와 난대수종 수, 흉고단면적이 대조구보다 증가한 반면 이식한 상록활엽수목들의 수세는 쇠퇴하였다.
Basic idea of Randall-Sundrum brane world model I and II is reviewed with detailed calculation. After introducing the brane world metric with exponential warp factor, metrics of Randall-Sundrum models are constructed. We explain how Randall-Sundrum model I with two branes makes the gauge hierarchy problem much milder, and derive Newtonian gravity in Randall-Sundrum model II with a single brane by considering small fluctuations.
큰양송이(포토벨라)의 발이 및 생육에 적정한 온도를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발이 소요일수는 15℃에서 23일로 가장 짧았으며 그다음은 18℃, 21℃ 순이었다. 2. 자실체 발생 개체수는 15℃에서 2,364개/3.3㎡로 가장 많았으나, 수량은 18℃처리구에서 39.2 kg/3.3㎡로 가장 높았다. 3. 온도별 자실체특성은 21℃에서 상품(上品)비율이 75.1%로 15℃, 24.5%와 18℃, 48.9%보다 양호하였다. 4. 수량은 15℃와 18℃에 있어서 평당 36.5∼39.2kg으로 비숫하였으나 18℃에서 상품비율이 48.9%로 높아 100평당 소득은 16,013천원으로 높았다.
겨울철 저온에 의한 식물의 반응 및 생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찬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O-J-I-P곡선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에 J, I, P-단계에서의 형광세기가 현저하게 간소하였다. 문주란 잎의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 즉 Fv/Fm은 겨울철의 온도변화 추이와 유사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어 겨울철 저온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1. The concentrations of Ang. II were 7.20.91 × 10³, 3.80.34 × 10³, 3.50.30 × 10³, 2.80.22 × 10³ pg/ml in bovine follicular fluids from 1∼3 mm, 3∼5 mm, 5∼7 mm and 8∼10 m follicle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Ang. II decreased in follicular fluids from large follicles. 2.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ng. II, a higher proportion of oocytes developed to MII stage in medium with 100 ng/ml (79.5%) Ang II compare to that without Ang. II (58.8%). When oocytes from different sizes of follicles were separately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100 ng/ml Ang. II, maturation rates were higher in oocytes from small and medium follicles those from controls. 3. GSH content in oocytes cultured for 24 hrs in TCM-199 medium containing 10 and 100 ng/ml of Ang. II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oocyte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0 or 10 ng/ml Ang. II.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0, 10, 100, 1,000 ng/ml of Ang. II, the concentrations of GSH were 5.1M, 5.5M, 7.2M, 8.7M, respectively. 4.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10, 100, 1,000 ng/ml Ang. II,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rates were 84.0%, 90.0%, 78.0% and 28.0%, 36.0%, 20.0%, respectively. When oocytes were cultured with an addition of Ang. II in media, in vitro maturation rates higher than that of their controls (76.0%).
본 연구는 이종간 핵이식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과 활성화 과정에 있어서 수핵난자 및 전기적 융합조건이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 및 체외 발달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축되어지는 소 및 돼지의 난소에서 난포란을 채취하여 TCM-199 및 NCSU-23에 혈청 및 호르몬을 첨가하여 39℃, 5% CO₂ 배양기내에서 24 및 48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여 수핵난자를 준비하고, 공여세포의 준비는 산양의 귀세포를 채취하여 0.25% Trypsin-EDTA의 처리로 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계대배양과 함께 세포는 TCM-199 + 10% FBS + 10% DMSO로 동결을 실시하였다. 핵이식은 성숙된 난자의 극체 및 전핵을 laser system으로 투명대를 drilling 하여 제거하고 준비된 공여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주입하여 전기적 자극으로 융합을 실시하여 융합된 난자는 전기적 자극으로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활성화가 이루어진 복제 수정란은 수핵란이 소난자의 경우 monolayer가 형성된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에서 7∼9일 동안 체외배양하였으며, 수핵란이 돼지의 경우 10% FBS가 첨가된 NCSU-3 배양액으로 6∼8일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여 배반포기로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자극의 세기를 1.95 kv/cm와 2.10 kv/cm로 주었을 때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47.7및 44.6%였으며, 분할율도 41.9 및 54.5%로써 차이가 없었다. 수핵란이 돼지 난자인 경우는 융합율은 51.3 및 46.1%로써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도 75.0및 84.9%로써 차이가 없었다. 전기자극 시간을 30 또는 60μsec, 횟수는 1 또는 2회 주었을 때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 μsec 1회(50.8%) 와 2회(31.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μsec 1회(19.3%)가 가장 낮았다(P<0.05). 융합란의 분할율은 30μsec 1회(53.3%)와 2회(50.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μsec 1회(18.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돼지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μsec 1회(48.1%), 2회(45.2%)및 60μsec 1회(48.6%)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은 30μsec 1회(78.4%)와 60μsec 1회 (79.4%)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μsec 2회(53.6%)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종간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상실배와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이 22.6%로써 단위발생란 30.6%와 차이가 없었으며, 돼지 난자의 경우는 이종간 핵이식란이 5.1%로써 단위발생란 37.4%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이종간 핵이식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하여 수핵란으로 소와 돼지를 사용하여 복제수정란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란, 공여세포, 융합, 활성화 및 배양조건 등 아직 초보 수준에 있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멸종위기 상태에 있는 동물들의 종 보존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present results of a H13CN J=1-0 mapping survey of molecular clouds toward the Galactic Center (GC) region of -1.6° ≤ l ≤ 2° and -0.23° ≤ b ≤ 0.30° with 2' grid resolution. The H13CN emissions show similar distribution and velocity structures to those of the H12CN emissions, but are found to better trace the feature saturated with H12CN (1-0). The bright components among multi-components of H12CN line profiles usually appear in the H13CN line while most of the dynamically forbidden, weak H12CN components are seldom detected in the H13CN line. We also present results of other complementary observations in 12CO (J=1-0) and 13CO (J=1-0) lines to estimate physical quantities of the GC clouds, such as fractional abundance of HCN isotopes and mass of the GC cloud complexes. We confirm that the GC has very rich chemistry. The overall fractional abundance of H12CN and H13CN relative to H2 in the GC region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regions, such as star forming region and dark cloud. Especially cloud complexes nearer to the GC tend to have various higher abundance of HCN. Total mass of the HCN molecular clouds within |l|≤ 6° is estimated to be ~2 ×10 7 M⊙ using the abundances of HCN isotopes, which is fairly consistent with previous other estimates. Masses of four main complexes in the GC range from a few 10 5 to ~ 10 7 M⊙ All the HCN spectra with multi-components for the four main cloud complexes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line widths of the complexes. The largest mode (45 km s-1) of the FWHM distributions among the complexes is in the Clump 2. The value of the mode tends to be smaller at the farther complexes from the GC.
종빈돈의 번식효율 증진을 위해 후보종빈돈의 분만후 포유기간, 등지방두께 등이 번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ㆍ분석하여 우수한 후보 종빈돈의 조기선발에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모돈의 포유기간이 17∼21일일 때에 등지방두께는 19.19mm였고, 포유기간이 22∼26일 일때에는 16.52mm로 포유기간이 길수록 분만모돈의 이유시 등지방두께는 유의적으로 얇았다.(p<0.01). 2. 분만모돈의 포유기간이 17∼21일인 경우에 발정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ES (Bohyunsan Observatory Echelle Spectrograph) CCD camera is presented. In order to get optimum gain and readout noise of the CCD, we examine the variation of the gain and readout noise by changing the value of output drain voltage of the CCD and measuring the gain using transfer curve, which is defined as the plot of variance versus mean exposure level of a homogeneous light onto the CCD surface. The gain and readout noises are optimised to be 0.5e −/ADU and 3e−, which is good for highest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 for the low light level characteristics of the BOES. We also measure the dark count of the CCD by getting five dark images with 3600 seconds exposure time. The mean dark count from median stacked dark images is essentially zero. A table of positions of defected pixels is also presented.
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의 부정합적 경계면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에서 심부시추와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모든 시추 퇴적물에서 현세 퇴적층(Unit I) 하부에 놓이는 최대 4m두께의 산화되고, 반고화된 특징을 보이는 황갈색의 산화대층(oxidized-sedimentary layer)이 발견되었다. 이 세립질의 산화대층에서 나타나는 황갈색의 퇴적물 색, 높은 N 값과 낮은 함수율의 준고화된 상태, 동토구조, 스멕타이트 광물의 부재 그리고 높은 퇴적물 화학적 풍화지수(Ba/Sr 비) 등의 다양한 특성은 퇴적물의 대기중 노출과 풍화의 중요한 증거로 제시된다.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함께 이러한 여러 증거들을 고려할 때, Unit II의 상부 산화대층은 초기 현세까지 계속되는 저해수면 동안 대기중에 노출되어 풍화 및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퇴적물의 특성이 변질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산화대층의 상부 경계면은 현세와 선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을 구분하는 부정합면으로 제시되며,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강한 반사면(prominent near-surface reflector)과 잘 일치한다.
한우의 mt 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II, 및 III complex지역의 유전적 다형현상을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PCR primer 6종에 대하여 20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하였으며, Pst I, Pvu II, Rsa I, Eco RI, Bgl II, and Msp I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유전적 변이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변이체와 한우의 성장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cytochrome oxidase subu
본 실험은 실험견의 정액 동결 시 희석 액에 첨가되는 Glycerol 농도, 동결속도, 동결보존액 첨가후 평형시간, 융해온도와 시간에 따라 정자의 생존성과 운동성을 조사하여 최적의 동결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각기 다른 Glycerol 농도를 함유한 동결보존액에서 동결보존 후 융해하였을 때 4%의 Gly-cerol 농도에서 각각 68.87.4%, 73.28.3%로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과 운동성 나타냈다(P<0.05). 2.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 대조구, T; Fe, T; Fe+Mn, T; Fe+Mn+Cu, T; Fe+Mn+Cu+Zn, T;Fe+Mn+Cu+Zn+Mo 및 T; Fe+Mn+Cu+Zn+
The UV-B sensitivity was tested for the intertidal species Chondrus ocellatus from Korea, by measuring photosynthesis estimated as effective quantum yield (ΦPSII) of photosystem II (PS II), growth and content and composition of photosynthetic p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