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10년 5월) 225

22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 (B. t.) strains are important microorganism because they produced a large amount of δ-endotoxin protein per bacterial cell and their toxins are highly toxic to Lepidoptera, Coleoptera, and Diptera depending on B. t. To date, more than a hundred Cry proteins have been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195 holotypes,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The Cry proteins or cry genes from the Korean native B. t. isolates in this study were not identified yet. The electrospray ionization of quadrupole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ESI Q-TOF MS) was used to get the internal amino acid sequences of the endotoxin-spore culture mixtures of B. t. isolates, for which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iques were unable to detect the cognate genes. Most of Cry proteins seperated, excized, and extracted from the one dimensional -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D-PAGE), instead of 2D-PAGE, were matched with protein databases using MS-MASCOT search program. The internal amino acid sequences which were submitted to protein BLAST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had partially homology with the Cry protein databases. Hence, present data strongly suggest that the de novo amino acid sequencing and ESI Q-TOF/MS analysis along with MASCOT search could be used as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detection of novel Cry toxins from B. t. isolates and identification of B. t. isolates.
222.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원예용 오이방제 약제로 등록된 51종 살균제에 대하여 진디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알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였다. 농약보조제에 대한 독성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ethaboxam+Famoxadone, Copper oxychoride+dithianon, dimethomorph+ dithianon 에서 각각 21.5%, 18.6%, 16.4%의 살충독성을 보였을 뿐, 실험에 사용된 모든 약제는 30% 이하의 낮은 살충독성을 나타내었다. 10% 이상의 독성을 보인 약제는 5종 뿐이었으며 나머지 46종의 약제는 10% 이하의 독성을 보였다. Flucioxonile과 Kresoxim-methyl의 경우 콜레마니진디벌 성충에 대하여 각각 90.6%와 53.1%의 살충률을 보이나 진디혹파리 알에 대하여는 각각 3.1%와 9.7%의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22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has three major structural proteins which designated as GP4, GP5, and M. They have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arouse the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against PRRSV infection and proposed to be the excellent candidate proteins in the design of PRRS bioengineering vaccine. However, the PRRSV structural proteins are produced in low levels in the infected cells because it forms insoluble protein and possesses several transmembrane region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fused the GP4, GP5, and M with SUMO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 and expressed the fused gene in Bm5 cells and silkworm larvae. Expression of the proteins were analyzed by 12%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using 6xHis tag and porcine anti-PRRSV antibodies. In results, SUMO fused proteins were expressed at a high level in Bm5 cells. The levels of protein using the silkworm larvae is higher than that using Bm5 cells. The fused protein was purified by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UMO, when fused with PRRSV structural proteins, was able to promote its soluble expression. This may be a better method to produce PRRSV structural proteins for vaccine development.
22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우렁이는 국내에서는 유기농법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에 일부 지역 에서 이앙 후 살포된 왕우렁이들이 며칠 내에 집단폐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동지역에서 수서생물상을 조사함과 함께 왕우렁이의 폐사와 관련성이 있을 만한 원인을 조사하였다. 수서곤충상의 경우 특별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수서생물 중 개형충의 일종인 참씨벌레는 왕우렁이 살포시기에 이미 개체수의 급격한 증가 를 보이는 한편 참씨벌레에 대해 왕우렁이가 극도의 회피성을 나타내는 점이 파악 되었다. 그 외에 왕우렁이에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 였다.
22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금까지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 과피에서의 전형적인 피해 증상은 개화기에 가 해되어 과경부 또는 과정부위의 동그란 회갈색 띠가 형성되는 증상이었으며 꽃노 랑총채벌레에 의해 가해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치 않다. 최근들어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증상은 노지재배 감귤에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햇빛에 검붉게 그을린 듯 한 증상(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으로써 2007년 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에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부지 화 및 세토카 등의 하우스 감귤의 경우 과피가 하얗게 탈색되고 유통 및 저장 시 그 부위로부터 썩어들어 가는 증상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들 증상은 꽃노랑총채벌 레에 의해 가해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노지 감귤에서도 극조생 밀감을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증상들이 발생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어떤 종이 가해하고 있 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볼록총채벌레는 6월 하순경부터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 여 7월 부터는 우점하며 5월 부터 10월 하순까지 최소 7회 이상 번식하였으며 끈 이 트랩에 포획된 개체수는 2008년의 경우 7월 하순, 2009년의 경우 8월 하순경에 가장 큰 밀도를 보였다. 과실에서의 유충은 7월 하순부터 발견되었으며 피해 증상 은 9월 중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