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북한강 수계에서 번성하고 있는 Anabaena strain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 수준의 동정과 geosmin 합성 유전자의 탐침을 통해 이취미 물질의 잠재 생산능력을 분석하였다. 현장(경기도 양평군 조암면 삼봉리 수역)에서 분리 배양한 Anabaena는 직선형과 나선형 두 가지의 형태적 변이를 보였다. 이들은 세포의 크기와 사상체에서 형태적 차이를 나타냈으며, A. circinalis 및 A. crassa와 유사한 형태적 특징들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6S rDNA 계통수 및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선형과 나선형 모두 동일한 A. circinalis 종으로 확인되었다(98%~100%의 유전적 유사도). 또한 직선형과 나선형 strain 모두에서 geosmin을 합성하는 유전자 구간이 발견되어, 북한강 수계에 존재하는 Anabaena circinalis는 종의 형태적 변이에 관계없이 geosmin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 수준에서 A. circinalis의 geosmin 생산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보고로서 북한강 수계에서 geosmin 증가의 원인종 확인 및 관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TFC) of extracts from Korean cabbage and cabbage using a spectrophotometric method as well as glucosinolates concentration by HPLC. TP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308.48 ㎍ GAE/g dry weight and 344.75 ㎍ GAE/g dry weight, respectively. TF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5.33 ㎍ QE/g dry weight and 5.95 ㎍ QE/g dry weight, respectively. We found six different glucosinolates, namely progoit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and 4- methoxyglucobrassicin in the Korean cabbage extract. In the cabbage extract, there was four glucosinolates, namely glucoraphanin, sinigr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We determined the cytotoxic effect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in AGS human stomach cancer cells, HepG2 human hepatic cancer cells and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by MTT assay. Dose-depende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extract concentrations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The overall results support that both Korean cabbage and cabbage, the major vegetables in Korea, contain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ol, flavonoids as well as glucosinolates and they may play a positive role in cancer preven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sumer recognition with regard to the safety management for imported food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gram on consumer education,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89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instruction with materials on imported food safety, including the safety management of imported foods and their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achieved a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ed foods. In particular, they had firmly grasped the importance of expiration date in selecting imported foods. Before the instruction, 50.6% of total participants blam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problems arising from imported foods; only 18.0% placed the blame on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After the instruction, 39.3% had blamed the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Furthermore, 36.0% had disapproved of the foods that are imported from China before the instruction, while 32.6% found objectionable the views on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29.2% criticized the junk foods that target children (aft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via-a-vis imported foods safety supervision had improved from 2.76 ± 1.59(before the instruction) to 3.37 ± 1.58(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are concerned with the imported foods that contain adulterated or forbidden substances and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from foreign countries. Thus, consistent and informative educational programs on imported food safety could help consumers in choosing safer products,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the consumer confidence with respect to imported foods.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 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느타리버 섯, 양송이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 우리가 식용으로 하 는 대부분의 버섯은 균류 중 담자균류에 속하며, 독특한 맛 과 질감, 향기 및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식품 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 료로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 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 (68.5%)이었고,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 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구입 시 가장 고 려해야할 사항으로 신선도·위생 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버 섯가공식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 과, 조사대상자의 55.5%가 먹기 위하여 구입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다. 버섯가공식품 구입 시 고려할 사항으로 맛의 향 상을 1위로 응답하였으며, 새로운 버섯가공식품을 개발할 경 우, 연령별 선호하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20대-6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스프와 죽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이 결과를 토대로 버섯을 첨가한 제품 5종; 쿠키, 젓갈, 다 목적 기능성 밀가루, 어묵,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였으며, 특 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의 경우 많은 식품에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대부분의 버섯은 균류 중 담자균류에 속하며, 독특한 맛과 질감, 향기 및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68.5%)이었고,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구입 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신선도·위생 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버섯가공식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55.5%가 먹기 위하여 구입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다. 버섯가공식품 구입 시 고려할 사항으로 맛의 향상을 1위로 응답하였으며, 새로운 버섯가공식품을 개발할 경우, 연령별 선호하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20대-6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스프와 죽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버섯을 첨가한 제품 5종; 쿠키, 젓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 어묵,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의 경우 많은 식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