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video based system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the averaged fish size in a non-intrusive fashion. The design was based on principles of simple stereo geometry, incorporated fish dimensions weight relationships and took into consideration fish movement to lower system costs. As the fish siz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mpacts the economy of an aquaculture enterprise. Size measurements, including fork length, width or height, girth, thickness and mass, can be used to determine fish condition in the fish farm, so the averaged fish size of fish cage needs to consistently monitor in open ocean aquaculture cage. A precision of ±3% for replicate length measurements of a 60cm bar is obtained at distances between 2.0 and 6.0m, and the mean fork length and mean swimming speed of bluefin tuna were estimated to 48.8cm and 0.78FL/s, respectively.
심포니 콘체르탄테는 고전시대의 전성기인 18세기 후반에 등장한 기악음악으로 두 명 이상의 독주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다 악장 구성의 작품이다. 이 장르는 공공음악회가 활성화되어 있었던 프랑스의 파리를 중심으로 1770년경부터 발달하였으며, 초기 작곡가들은 프랑스의 작곡가들과 만하임 악파들이였다. 이 장르는 관현악 작품에서도 독주자들의 화려한 연주 기교를 보고 싶었던 당시 청중들의 취향이 반영되어진 것으로, 거의 대부분이 큰 음악회장에서 연주되었다. 따라서 당대 뛰어난 기술을 가진 연주자들과 활발한 활동을 하던 당대의 작곡가들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고 작품을 출판하였다.본 논문에서는 고전의 협주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심포니 콘체르탄테에 관한 첫 번째 연구로, 먼저 18세기와 19세기의 이론서에서 나타나는 용어의 정의와 그 쓰임새에 관하여 살펴보고, 심포니 콘체르탄테 장르의 창시자로 알려진 프랑스 작곡가 다보의 작품과, 가장 많은 심포니 콘체르탄테를 남긴 작곡가 깜비니의 심포니 콘체르탄테 작품을 선정하여 그 첫 번째 악장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또한 동 시대에 작곡된 모차르트의 심포니 콘체르탄테 작품도 분석하여 그 구조적 특징을 비교하여 본다. 이러한 분석적 비교를 통하여 고전을 대표하는 비엔나 악파 모차르트의 작품과 프랑스 작곡가들 작품 사이에서 발견되는 특징은 무엇이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악곡 장르에 대한 보다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We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base obtained from various manufacturers, using a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all sensory attributes of Gangjung samples with the exception of 'toothpacking'. Sample A showed high intensities for 'external color', 'external roughness', 'sweetness', 'toasted soybean powder flavor', 'crispness', 'fracturability', 'oiliness', and 'loose particles,' whereas it had low intensities for 'rice flour flavor', 'hardness', and 'toughness' compared to those of other samples. Sample B had more 'sourness', 'butyric acid flavor', 'fermented rice flavor', and 'degree of melting' but lower 'air cell size', 'fracturability', and 'flake roughness'. Sample C showed high intensities for 'expansion', 'hardness', 'crispness', and 'flake roughness', whereas sample D showed low intensities for 'expansion' and 'sour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ngjung base samples are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의 수질 관리 정책 연구를 위한 최근의 수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2010년에 시화호 내 외측 해역에서 수질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화호 표층수 수질항목들의 수평적 농도분포는 하천을 통한 담수 유업과 배수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의 영향으로 인하여 반윌 및 시화 산단 얀근 상류지역에서는 높고 배수갑문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화호 외해에서는 TN 및 TP가 소래포구에 가까운 곳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 시화호 내해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시화호 내측의 경우, 여름철 성층 형성 및 저층의 활발한 유기물 분해로 빈산소층이 발달되고 있었다. 수질항목들의 수직적 농도분포의 경우, 용존영양염, TN 및 TP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았지만, COD, 클로로필-a 및 POC는 이와 반대로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시화호 표층수에서 염분은 용존영양염과 양호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담수 기원의 영양염 공급이 확인되었고, 이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으로 COD 및 POC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벼 고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에서 고온처리한 벼의 줄기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로부터 Rubisco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5% PEG fractionation을 실시한 후 상등액 분획의 단백질을 이차원전기 영동한 후, CBB 염색을 통해 차별적 발현을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46개의 단백질 spot이 발현양에 변화를 보였으며, 그 중 24개의 단백질이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Variable precision rough set model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problems whose domains are discrete values. However,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discrete data is not available. When it comes to the problems with interval values, no variable prec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층수관층에 출현하는 식물 다양 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면적 곡선의 분석결과 신갈나무림 내의 식물다양성의 분석에 적정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조사구 전체의 소산식물은 47과 80속 91종 11변종 2 아종 3품종으로 총 107분류군이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식물종 중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고광나무, 병꽃나무로 총 3종이다. 한편 희귀식물로는 꼬리진달래 1종 뿐이다. 생육형은 광엽초본에 해 당하는 식물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목, 교목 순이었다.
Magnesium hydroxide sulfate hydrate whiskers (, abbreviated 513 MHSH) were prepared using hydrothermal reaction with magnesium oxide (MgO) and magnesium sulfate () as the starting materials. The effects of the molar ratio of /MgO and amount of were studied. As a result, 513 MHSH whiskers co-existed with hexagonal plate at low concentration of . The molar ratio of /MgO was 7:1, uniform 513 MHSH whiskers were formed without impurity such as . Appropriate amount of has affected to formation of high quality MHSH. Their morphologies and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powder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