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침전지내에서의 흐름 및 플럭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흐름 이동특성 실험을 위하여는 Tc-99m 동위원소를, 플럭이동 특성실험을 위하여는 벤토나이트에 Tc-99m 동위원소를 흡착시킨 재료가 사용되었다. 흐름 이동특성 실험결과 침전지내 위치에 따라 유속이 상이하고 깊이에 따라서도 유속이 상이한 흐름임이 밝혀졌다. 또한, 침전지 유입 유량이 변화할 때 플럭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며, 유량이 증가할수록 침전위
본 실험은 고품질 다수성 생강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국내에서 수집한 우량생강 24클론을 포장과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조사된 클론중에서 수량과 6-gingerol 함량에서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포장에서는 CG9579(3520kg/10a)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CG95134, CG9512, CG96109, CG9596 순이었다. 우량 클론으로 선발된 클론중 6-gingerol 함량을 조사한 결과 CG9579가 4.44mg/g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G9583이 4.35mg/g, CG95134가 4.32mg/g순이었다. 하우스에서 는 수량이 CG9503과 CG9521 클론이 10a당 5529kg으로 가장 높았고, CG9515, CG9578, CG9579, CG96103 그리고 CG95105 클론이 10a당 4,000kg이상의 수량을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부 지방 농촌 소하천 제방 지역에 분포하는 죽림의 제방 보강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소하천 제방에 분포하는 죽림(분죽)과 잔디의 지중 뿌리 밀도 및 각 제방 토양의 관입 저항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나무의 경우 토양 깊이가 깊어질수록 뿌리 분포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잔디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높고 지표면(0-l0c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잔디는 지표면(0-10cm)에서 가장 높은 뿌리 밀도를 보였으며,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낮은 뿌리 밀도를 보였다. 또한, 지중 30cm까지의 전체 뿌리 분포량은 대나무가 잔디의 약 2.5배에 이른다. 죽근의 경우 지중 50cm 이상까지 분포함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이보다 차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시료채취를 위한 관 삽입 시 소요되는 타격수는 지중 뿌리의 밀도에 따라서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데 죽근의 관입 저항치(평균 21회)가 잔디(평균 8회)의 3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ification of the isocitrate lyase extracted from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was investigated. The isocitrate lyase was purified 43.6 folds by the following continuous treatment with ammonium sulfate fraction, DEAE-cellulose, DEAE-sephacel and Sephadex G-200 chromatography. The purified isocitrate lyase was showed to be a single protein band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isocitrate lyase was estimated 54,000 Da by the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Km and Vmax values for isocitrate were estimated to be 0.83mM and 0.33units/㎖, respectively. Activity of isocitrate lyase was inhibited by cystein-HCl and glutathione.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은 불임치료에 도입된 이후 남성불임 극복에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수정률, 난할률과 발생된 배아의 상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난자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해서 아직까지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의 결과가 난자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44례에서 전과정을 현미경에 부착된 CCD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하였다
부화 및 착상에서 prostaglandins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배아단계에 따라 포배의 팽창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prostaglandins를 발생단계에 따라 처리하거나, indomethacin과 prostaglandins의 양 변화를 통해 팽창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배아 단계별 PG 와 PG 의 생합성양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100M이 상 농도의 PG 처리시 거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