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8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경계 내에서 소수집단의 평등을 위해서 ‘인종’ 및 ‘반(反)차별’ 담론이 실천적인 수준에서 제대로 논의되고 있는가를 반성하며 다문화교육 의 새로운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 인종 및 반차별 담론을 반영한 다문화교육 의 핵심 개념을 인종차별 공론화, 소수자 주체화, 평등제고 그리고 기관과 제도개혁이라는 네 가지 준거로 도출하였고, 구체적으로 영국 레스터 시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에서 이것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레스터 시는 이주민과 정주민을 대상으로 이주민 차별 개선과 권한 배분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하고 있으며, 소수자의 평 등 제고를 위한 다문화 친화적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정착이 일상 생활세계가 펼쳐지는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기초하여 앞으로 다문화교육이 개별 문화 간 이해를 넘어서 이주민에 대한 인종 불평등을 해소하고 동시에 정주민들의 다 문화 인식개선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평생학습이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8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오디씨 에탄올 추출물(MSE)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MSE의 mel-an-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 실험결과, 독성을 보이지 않는 10 µg/mL의 농도까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단백질의 발현이 저해되었으며, extracellu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ERK)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MSE의 기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in vivo 모델의 실험에서도 색소 발생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오디씨로 부터 획득한 에탄올 추출물이 ERK 단백질의 발현으로 인해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혔다.
        8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의 적색소는 고추의 상품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이면서 식재료 뿐 아니라 상업적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색소 성분의 함량과 관계하는 QTL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색소 성분 분석을 위한 mapping 집단을 육성하였고, 적색소 성분에 대한 QTL mapping을 수행하였다. 적색소 분석을 위한 mapping 집단인 ‘만다린’과 ‘블랙클러스터’를 양친으로 하는 F7 RIL 집단에서의 색도(ASTA value) 분포는 1.64에서 117.26의 범주에 있으며 그 분포 양상은 정규분포를 보여 QTL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Mapping 집단의 양친들에 대해서 454 GS-FLX pyrosequencing을 이용한 NGS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만다린’과 ‘블랙클러스터’각각 120.44Mb와 142.54Mb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만다린’에서 1,025개, ‘블랙클러스터’에서 1,059개의 SNP들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 SNP들을 HRM 분석에 용이하도록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유전자 지도 작성을 수행한 결과 총 246개의 SNP 마커를 이용하여 약 512cM을 설명할 수 있는 21개 연관군의 유전자 지도가 작성되었다. 분석 집단 93계통들에서 측정된 ASTA 값을 이용하여 수행한 QTL 분석 결과 총 6개의 QTL 을 확인하였다. 이들 QTL과 근접한 마커들은 향후 고추의 적색소 함량 연구에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며, 아직까지 개발된 바 없는 적색소 함량 연관 마커 개발에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86.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캠벨얼리 포도의 자연발효 특성을 알아보는 한편 아황산 처리가 캠벨얼리 와인의 자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보다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더욱 빠르게 감소하면서 알코올의 함량이 빨리 증가하였다. 그러나 발효 종료 후 알코올의 함량은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효모 생균수는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빨리 증가하였으며 아황산 처리구에서는 발효 1일 후 오히려 생균수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7일 후부터는 더욱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임의로 분리한 효모의 PCR-RFLP 분석 결과 아황산 무처리구는 4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나타나 5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작용하였으나 아황산 처리구는 발효 1일 후부터 H. uvarum과 S. cerevisiae가 함께 발견되었으며 발효 3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여과한 와인의 유기산으로는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들이 검출되었는데 아황산 처리구에서 사과산과 주석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판올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이소아밀 알코올 함량은 낮았다. 아황산 무처리구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함량은 375.5 mg/L로서 아황산 처리구보다 약 5.3배로 높았으며 와인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88.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다문화정책을 추진해 온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오늘날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갈등과 제 담론을 분석하였고, 그것과의 연계지점으로서 우리나라의 다문화 갈등 상황과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성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의 주요 국가 지도자들의 다문화 실패론 선언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이 국제적으로 고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럽에서 다문화주의 담론의 주요 대상과 이슈는 이민자, 무슬림 논의의 사회 통합과 갈등으로 수렴되고 있다. 셋째, 유럽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다문화 실패론과 다문화정책에 대한 회의론은 반이민주의 정책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넷째, 다문화담론의 이면은 단순히 사회문화적 다양성 제고의 문제가 아니라, 통치 담론으로서 다문화주의가 활용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국민국가 체제에서 다문화적 ‘공존’은 여전히 요원한 문제이며, ‘동화’와 ‘통합’의 가치가 강조되고 있다. 여섯째, 다문화주의 관련 갈등 이슈는 다문화주의 담론이 단순히 인종과 문화에 수렴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계층과 관련을 가지며 정치, 경제, 사회 등 복잡다기한 이해관계에 따라 이념이 되기도 하고 도구가 되기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갈등은 ‘타자화’라는 측면에서 촉발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의 실제는 아직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인식의 변화와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다.
        90.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nesfatin-1/NUCB2는 시상하부 이외에 지방조직,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nesfatin-1/NUCB2가 발현되고, 생식주기에 따른 발현 양상이 다르다는 결과를 얻으면서 nesfatin-1/ NUCB2가 생식기능과 임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신 유지와 배아 발달에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태반에서 nesfatin-1/NUCB2가 발현되는 지 확인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쥐의 태반에서 nesfatin-1/NUCB2의 발현을 확인하고, 아울러 임신기간 동안 태반에서 nesfatin-1/ NUCB2 발현량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nesfatin-1/ NUCB2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기관에 비해 태반에서 다량으로 nesfatin-1/NUCB2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방법으로 태반에서 nesfatin-1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와 nesfatin-1 단백질이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태반에서 생산, 분비되는 nesfatin-1 단백질은 임신기간 중에 모체의 신진대사와 배아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임신기간에 따른 태반에서의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임신 5, 10, 15, 19일째 생쥐에서 태반을 적출하여 Western blot과 qRT-PCR 방법으로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임신중기에 증가하다가 말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신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태반에서 다량으로 생산, 분비되는 nesfatin-1은 임신기간 중에 모체의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배아와 태자 내 여러 장기에서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를 확인한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태반에서 분비된 nesfatin-1이 혈관을 통해 배아와 태자에 전달됨으로써 생쥐 초기 발생과 성장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91.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nesfatin-1/NUCB2는 시상하부 이외에 지방조직,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실에서도 nesfatin-1/NUCB2의 발현을 전 장기에서 조사한 결과, 뇌하수체, 심장, 폐,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 다량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nesfatin-1/NUCB2가 체내 주요 장기의 발달 및 생리적 기능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를 대상으로 배아에서 성체로 성장하는 동안 장기 내 nesfatin-1/NUCB2 발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nesfatin-1/NUCB2 발현과 장기의 발달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쥐 태자, 신생쥐, 성체 생쥐에서 성장에 따른 nesfatin-1/NUCB2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생쥐 태자에서 nesfatin-1/NUCB2 단백질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뇌, 심장, 폐에서 다량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TC-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nesfatin-1 발현 부위와 유사하게 뇌, 심장, 폐에서 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신생쥐와 성체 생쥐 내 다양한 장기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신생쥐에서는 다른 장기에 비해 심장과 폐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이 높았으나, 성체로 성장하면서 발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신생쥐의 신장에서는 nesfatin-1/NUCB2 발현이 거의 되지 않다가 성체가 되면서 다량 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성체 생쥐의 신장에서 암컷과 수컷 사이의 nesfatin-1/NUCB2 발현 양상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생 초기에는 nesfatin-1/NUCB2의 발현이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심장과 폐에서 많이 발현하고, 성장하면서 배설에 관여하는 신장에서 다량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nesfatin-1/NUCB2가 생쥐 성장 단계에서 특이적으로 장기의 발달과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심장, 폐 및 신장에서 다량으로 발현하고 있는 nesfatin-1/NUCB2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9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음식물 섭취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된 이후로, 최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도 다량의 nesfatin-1/NUCB2가 발현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그러나 생식기관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생식기관 중 자궁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난소를
        9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국사회에서 교육결손집단이자 사회취약계층인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교육소외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는 중도입국아동 및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교육지원사업 및 프로그램과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체제는 전 국가적인 ‘교육수월성 강화(excellence in education)’와 ‘사회적 통합(social inclusion)’을 도모하는 교육복지를 기조로 전개되고 있었다. 둘째, 중도입국 이주학생의 성공적 통합은 학교-가정-지역 커뮤니티의 다자간 파트너십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배경을 가진 이주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의 학교는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역량강화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넷째,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생활지도 및 보살핌(good pastoral care)사업을 병행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우리의 교육체제가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모든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학교 ‘안’과 학교 ‘밖’의 다양한 교육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9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섭식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백질이 생쥐의 생식기관에서도 발현을 하는지, 그리고 그 수용체가 생식기관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nesfatin-1이 생식기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암컷 생쥐에서 난소와 자궁을 획득하여 conventional PCR 방법으로 NUCB2 mRNA 발현을 조사하였고, real-time PCR 방법으로 상대적인 NUCB2 mRNA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nesfatin-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수행하였으며, biotin 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식소 내 NUCB2 mRNA 발현이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PMSG 투여 후 NUCB2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확인된 NUCB2 유전자가 시상하부에서 만큼이나 많은 양이 발현되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nesfatin-1 단백질은 협막세포와 대부분의 기질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일부 황체세포에서도 발현이 확인되었다. 반면, 난포 내 과립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특정 난포 내 난자에서는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는 난소 백막 주위의 기질세포와 협막세포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PMSG 투여 후 난소와 자궁에서 NUCB2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과 그 결합 부위의 존재는 nesfatin-1이 뇌에서 뿐만 아니라 생식기관에서도 국부조절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생식기관에 미치는 nesfatin-1의 역할을규명하기위한더많은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9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컷 살조개 Protothaca (Notochione) yessoensis의 정자 형성 과정 중 생식세포들의 분화와 성숙정자의 미세구조 특징에 관한 몇 가지 특징을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본 종의 정자형태는 원시형(primitive type)으로, 이매패강, 이치아강(Heterodonta)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유사하다. 생식세포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보조세포들은 생식세포들의 발달을 위해 영양공급에 관여한다. 본 종의 정자의 핵형은 긴 원통형이며 첨체의 형태는 모자모양이다. 정자는 길이가 대략 46~50 ㎛이며, 길다란 정핵(길이 약 2.44 ㎛)과, 첨체(길이 0.45 ㎛), 그리고 미부 편모(약 42~46 ㎛)로 이루어져 있다. 미부 편모의 악소님(axoneme)은 9+2 구조를 나타낸다. 첨체소포의 특징으로써 basal ring의 기저부 위에서 측면부위는 전자밀도가 불투명한 부위를 나타내나, 첨체소포의 앞쪽 정단부위는 전자밀도가 비교적 투명한 부위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이 이치아강에 속하는 백합과와 또 다른 여러 과들에 속하는 종들의 정자들이 갖는 첨체소포의 공통특징이다. 따라서 이치아강이 갖는 이들 첨체소포가 갖는 공통특징은 분류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써 계통․분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자 중편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수는 4개로 이치아강 내에서 백합과의 3종을 제외한 모든 종들과 다른 과들의 종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예외로, 개조개, 백합, 가무락조개 만은 중편의 미토콘드리아가 5개로 이루어져 있다. 미토콘드리아 수는 과나 또는 상과 수준에서 종들의 분류학적 분석을 할 경우, 분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97.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백나무 잎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
        98.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
        9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tisol은 난소내 다량으로 존재하며, 난소 세포에 그 수용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과립 및 황체화 세포에서 cortisol은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배란 후 난포액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과배란 유도후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하면서 5, 50, cortisol
        10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 첨체 길이는 약 2.70 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