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2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주로 나비목(Lepidoptera)의 유충 또는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주황색의 곤봉형 자좌를 형성하는 곤충기생균(Entomopathogenic fungi)의 일종이며 자낭각은 반돌출형이며 원통형의 자낭안에 실모양의 자낭포자들이 존재한다. 동충하초속균의 유용성분은 자실체에서 약리효과가 알려졌는데 약용동충하초로는 C. sinensis, C. hawkesii, C. martialis, C. militaris, C. ophioglogossoides, C. sobolifera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번데기동충하초가 생산하는 Cordycepin (3,-deoxyadenosin)은 항세균,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성이 있는 번데기동충하초를 곡물배지를 이용한 재배기술을 확립 안정적인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재배 확대로 식량작물재배농가 및 버섯재배농가의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번데기동충하초의 액체종균 배양조건은 맥아배지를 0.7%의 농도, pH는 5~5.5로 조절하여 배양하였고 배양기간 동안 광(lux)을 200 lux로 계속유지하며 배양하였을 때 균사건중량이 제일 양호하였다. 2) 번데기동충하초의 자실체발생을 위한 온도조건 및 생육습도는 17℃, 95%로 유지하고 광 (lx)을 600lx로 유지하였을 때 자실체 수량이 양호하였다. 3) 곡물배지별 자실체 생육특성은 흑미배지 보다, 현미 배지에서 배양기간, 초발이소요일수, 자실체수량은 높았지만 개체수는 흑미배지에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2.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촌진흥청 응용미생물과와 농가에서 수집한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 특성과 수목별 자실체 생육특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배지는 감자 추출물과 대나무톱밥 추출물을 이용한 PBA 배지에서 균사생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다. 2) 균사 최적 배양온도는 25℃,최적 배지 pH 조건은 모든 균주가 pH 5.0에서 균사생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고, 대부분 균주가 pH 4.0에서 균사생장은 좋았으나 밀도가 현저히 낮은 경향이었다, 3) 탄소원은 단당류인 glucose, fructose, mannose, xylose와 이당류인 maltose에서 균 사생장이 양호하였고, glucose를 1.0~5.0%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균사생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다. 4) 질소원은 threonine, peptone, glycine, glutamine 그리고 val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고 peptone을 0.3% 처리하였을 때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좋았다. 5) 꽃송이버섯 단목재배를 위한 수종 선발은 낙엽송 등 4종의 단목(직경 13~15cm, 길이15cm 내외)을 조제, 균 접종 후 초발이 소요일수는 리기다소나무가 97일로 가장 짧았고 낙엽송은 103일, 참나무는 117일로 가장 길었다. 6) 균 접종 5개월 후 조사한 발이율은 리기다소나무 98.1%, 낙엽송 88.4% 그리고 적송89.7%이었으며 참나무는 균 배양은 양호하게 이루어졌으나 발이율은 50%로 가장 낮았다. 각 수종별 단목 수량(접종 160일 후 조사)은 리기다소나무가 134.8g으로 가장 많았고 낙엽송 126.1g, 적송 45.2g 그리고 참나무에서는 45.5g이었다.
        2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uminum nitride (AlN) nanopowders with low degree of agglomeration and uniform particle size were synthesized by carbothermal reduction of alumina and subsequent direct nitridization. Boehmite powder was homogeneously admixed with carbon black nanopowders by ball milling. The powder mixture was treated under ammonia atmosphere to synthesize AlN powder at lour temperature. The effect of process variables such as boehmite/carbon black powder ratio,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n the synthesis of AlN nanopowder was investigated.
        4,000원
        3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rared spectroscopic observations and their analysis revealed man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stars with dust envelopes. Especially, AGB stars and young stellar objects are believed to be major contributors of infrared radiation from galaxies. The wavelength of the peak spectral energy for typical galaxies is about 100μm 100μm . Therefore, infrared spectral observations of galaxi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ir overall propertie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frared spectra which are made of various stars and interstellar matter will be possible through a new population synthesis.
        4,000원
        36.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OA)는 신장독성, 최기형성, 발암성 및 면역독성을 나타내며, 식품, 곡류 및 정육 등에 잔류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된장, 간장등 발효식품에서도 OA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O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A의 전반적인 위해성 평가의 일환으로 OA의 독성 표적장기인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신장독성 감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장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상물질로는 1) 기존에 독성감소 물질로 알려진 phenylalanine(Phe), 2) phenylalanine과 aspartic acid로 구성된 감미료인 아스파탐(Asp), 3) 녹차의 성분이며 free radical scavenger 및 antioxidant 작용이 있는 polyphenol(PP), 4) 최근 수명연장 효과가 있고 특히 신장질환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aloe 추출물(AE)을 선택하였다. 신장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OA를 2.0 ㎎/㎏의 용량으로 2주간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Phe(40 ㎎/㎏, i.p.)과 Asp(25 ㎎/㎏, p.o.)은 OA(2.0 ㎎/㎏, p.o.)와 병용투여하였으며, PP(200 ㎎/㎏, p.o.)는 OA 투여 2주전부터, AE(50 ㎎/㎏, i.v.)은 3일전부터 전처리하여 OA(2.0 ㎎/㎏, p.o.)와 2주간 병용투여하였다 신장독성의 확인은 혈청중 BUN, creatinine치 및 뇨중 γ-glutamyltranspeptidase와 N-acetyl-β-D-glucosarn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신장에 대한 조직병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OA를 2주간 2.0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신장독성이 유발되었으며, 독성 감소물질로 사용한 4개의 화합물 모두 혈액 및 뇨중 신장독성 지표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OA에 의하여 신장의 근위세뇨관에 변성이 유발되었으며, 4개의 화합물 처리군에서는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he, Asp, PP및 An는 모두 OA에 의한 신장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OA에 의한 신장독성 유발에는 Phe에 대한 경쟁작용 및 free radical생성이 관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ute oral toxicity of organogermanium, Ge-132 was evaluated in rats and mice.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for 14 days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Ge-132, from 0.31 g/kg up to 5 g/kg for SD rats and from 1.25 g/kg up to 5 g/kg for ICR mice. No death and toxic effects were observed for 14 days. The body weight of ra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1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in the maximum dosing group, but the decrease of body weight returned to control level 3 days after dosing.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mice. Autopsy revealed no abnormal gross findings related to Ge132. Therefore, Ge-132 has no special toxic effects up to 5 g/kg, and LD_(50) values of Ge-132 are above 5 g/kg in rats and mice.
        4,000원
        3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G009,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ha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inflamatory, antiviral, anticarcinogenic and immunomodulation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bacute toxicity of orally administered 6009 in Sprague-Dawley rats. Groups of 40 male and 40 female rats were gavaged with 0, 500, 1,000 or 2,000 mg/kg/day for 30 days. No drug-related deaths and clinical morbidities were resulted. There was no drug-related effect on the body weight gain, food consumption and water consump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everal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G009-treated groups; however, most of these change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had no relationship to dosage. Urinalysis and bone marrow biopsy showed no remarkable changes in all treated groups. Gross necrops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no evidence of specific toxicity related to G009. Our data indicate that no-observed effect level of G009 is estimated to be above 2,000 mg/kg/day in rats.
        4,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