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카테킨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으로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녹차카테킨의 간기능보호효과가 연구되었다. 녹차카테킨(50 mg/kg와 100 mg/kg)은 사염화탄소(0.5 ml/kg)와 갈락토사민(400 mg/kg)이 투여되기 전 그리고 투여 후 3일동안 흰쥐에 경구투여되었고, 간기능지표로 AST와 ALT를 측정하였다. 녹차카테킨(50 mg/kg)은 사염화탄소 처리된 랫드에서 상승된 혈중 AST와 ALT활성을 전투여군(262±11, 80±19 에서 153±33, 55±25로)과 후투여군(156±40, 105±3에서 106±22, 55±9로)모두 감소시켰다. 또한 갈락토사민으로 유도한 경우에도 AST와 ALT 수치는 전투석군(576±24, 276±68에서 236±13. 115±13로) 후 투여군(233±54, 137±11에서 119±23, 44±17로)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으로 유도된 간경변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녹차카테킨은 간독성에 의한 병변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난자의 체외성숙 및 체외배양에는 일반적으로 동물의 혈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채취한 소의 상태에 따라서 혈청의 질에 차이가 있어 실험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바이러스,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완전 무 혈청 배양액에서 난자의 성숙, 배 발생율, 세포 수, 동결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근래 혈청배지로 생산한 체외 배양 수정란은 과체중의 산자 생산, 초기 산자 사망률, caesa
연구에서는 비대칭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막을 기질막으로 하여 Pore-filled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먼저 다공성 PVDF막의 기공에 80%의 chloromethylate aryl ring을 가지고 있는 poly(vinylbenzyl chloride) (PVBCI)과 1,4- diaminobicyclo[2,2,2]octane (DABCO)을 tetrahydrofuran (THF)와 dimethylforamide (DMF)가 8:2로 혼합된 용액에 녹여서 채워 넣고 겔화시킨 후, 남아 있는 chloromethyl group에 trirnethylamine (TMA, 40 wt% in water)을 이용하여 양이온 암모니움 site를 형성시키면 pore-filled 음이온교환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2단계의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pore-filled 막은 크기의 변화가 없으며, 가교도의 조절로써 최종 막의 특성이 간단하게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SEM과 AFM의 표면촬영의 결과로부터 기질막의 기공 내에 고분자겔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투과도와 배제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용매를 조사한 결과 tetrahydrofuran (THF)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막보다 THF와 DMF를 함께 사용할 때 더 우수한 막이 제조되었다. 제조된 최종 막의 수투과도 조사결과, 가교도 10% 막의 경우 아주 낮은 압력에서(100 Kpa) 전형적인 한외여과막의 투과도(8∼10 kg/m2hr)를 보여주었으며 배제율 또한 우수한 결과(55∼60%)를 보여주었다. 압력에 대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의 성능을 관찰한 결과 압력이 증가할수록 투과도와 배제율은 함께 증가하였다.
최적설계기법을 사용한 경제적인 설계의 필요성은 오래 전부터 요구되어 왔으나, 종전의 설계가 설계자의 경험에 의한 시행착오적인 반복설계를 통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구조물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계산상의 어려움과 반복계산을 되풀이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진정한 최적설계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최적설계법이 구조물의 설계에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최적설계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구나 설계실무자는 어디까지나 사용자이기 때문에 수리적 계획수법에 친숙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최소한 이런 기법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는 있는데 대부분 그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물 설계 시 주어진 부재의 응력에 따라 단면적을 산출하여 그 단면적에 역학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단면을 선정하여 경제적인 설계단면을 구한다. 그러나 트러스의 형상, 트러스 높이에 따른 경제성의 문제는 보통 설계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하여 결정되고, 특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설계가 수행되는데, 실제 트러스 구조물에서 트러스의 형상과 높이가 전체 건설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트러스 구조물의 최적설계에서 트러스 형상, 라이즈 비(rise ratio : 높이/스팬) 및 격간 수(number of panel)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트러스 형상과 스팬에 따른 최적형상과 최적높이 및 격간 수에 대해 설계자의 초기 구조계획 시 주관적 선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실제의 지붕형 트러스 구조에 설계하중을 작용시켜 응력해석에서부터 부재 단면설계까지의 자동화된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랫 트러스의 형상, 격간 수, 격간의 간격 및 부재단면 등에 대하여 이산적인 변수의 처리와 넓은 설계 공간의 탐색능력과 더불어 문제의 비선형성과 관계없이 전체 최적해를 찾아낼 수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또한, 강 구조 한계상태설계기준(대한건축학회, 1998)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으로 플랫 트러스의 구조계획과 단면이산화 최적설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develop combination air filters for air conditioners, 2 types of charging section were constructed. One was the wire-plate type and the other was the scroll type. Each charging section was combined with the same electrostatic polypropylene (PP) media. NaCl aerosol particles with geometric mean diameter of 0.05∼0.16㎛,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1.6∼1.9 and total number concentration of 1,700∼24,000 particles/㎤ were used to determine collection efficiencies of the combination air filters for air conditioners with respect to particle size. It was shown that the scroll type combination air filter has greater collection efficiencies and lower pressure drops than the wire-plate type one does.
Insulin-like growth factor 2 (Igf-2) and H19 genes are closely linked imprinted genes which have a pivotal role in embryogenesis and fetal development. Igf-2 and H19 are coexpressed in tissues of mesodermal, endodermal and neuroectodermal origin. Rat Igf-2 has a complex structure with three promoters and a complicate imprinting mechanism having an exception of biallelic expression in the choroid plexus, leptomeninges, and fetal tissues of neuroectodermal origin. To detect the expression of maternal and paternal alleles of Igf-2 and H19 during orofacial development, fetal and neonatal hybrid rats, obtained from Wistar and Fisher interstrain rat crosses were used. We also detected the promoter-specificity of Igf-2 transcripts by primers selected from P1, P2, and P3 of Igf-2 gene. RT-PCR analysis of Igf-2 and H19 showed the monoallelic expression of Igf-2 from the paternal allele and H19 from the maternal allele in E15.5 to E19.5 orofaciall structures including the maxilla, tongue, and salivary gland. P3 promoters were active in all tested samples, whereas transcripts derived from P2 promoter arised with approximately half of the tested cases and showed variable alternation. P1 promoter was not transcribed in all tested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2 and H19 may be involved in orofacial development and exhibit parent-of-origin monoallelic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orofaciall development, P2 and P3 promoters except for P1 promoter are transcribed with variable alternative transcripts
탈지대두박을 이용한 isoflavone의 분리 및 정제를 위한 최적 조건을 찾고자 absorption resin인 Amberlite XAD-1180를 사용하여 흡착제 활성화용매의 농도, 흡착된 isoflavone의 용출용매의 농도, 용출용매의 양과 용출속도, 시료와 흡착제의 비율 그리고 수지에 미치는 pH와 io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지의 활성화와 용출에는 Amberlite XAD-1180의 경우 methanol 75%로 활성화시켜 ethanol 80%로 용출시키는 경우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때 사용하는 absorption resin은 isoflavone 흡착을 위해 사용한 단백질제거 탈지대두박용액양의 약 0.5배로, ethanol의 양은 단백질제거 탈지대두박용액 양의 4배를 사용하여 flow rate 12 mL/min의 경우가 적절한 조건임이 밝혀져 흡착제 사용이 isoflavone 함량을 최고 2~3배까지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때 분리된 isoflavone의 순도는 최고 40%까지 얻을 수 있었다. pH와 ion의 영향에서는 pH는 5.0, NaCl은 0.25 N 이하에서 isoflavone의 유출량이 높았다.
The six kinds of natural factors(It refers to wind, cold, summer-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is constantly mov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Four seasons are the largest mediation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The cold and the heat have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tervention. The dampness and the dryness have it also. In this process they raise various climate appearance. And that various climate appearance influence the whole lives on the earth.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m.